공감의 뇌 기전과 싸이코패스공원에서 엄마 손을 잡고 노는 아이가 있다. 그런데 화려한 날개를 펄럭이며 날아가는 나비를 따라 뛰어가다가 넘어져 무릎이 까졌다. 아픈 아이는 빨간 피를 흘리며 큰 소리로 운다. 엄마도 아이를 따라 울상이 되고 마음이 아파온다. 본인 상처는 없지만 아이의 고통에 공감하기 때문이다. 고통뿐만 아니라 기쁨도 공감이 가능하다. 자녀의 환한 웃음을 보면 부모는 함께 기뻐한다. 이러한 정서적 공감 외에 인지적 공감도 있다. 타인의 의도를 이해하고, 타인 입장에서 세상을 볼 수 있는 것은 인지적 공감 능력 덕분이다.공감 능력의 결여는 다양한 정신·신경질환과 관련된다. 자폐증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조현병, 조울증, 우울증, 불안증, 감정표현불능증, 외상후스...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215
202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