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가위 혁명으로 유전체 교정 시대 선도
Tel. 02-880-6643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503동) 106호
IBS 유전체교정 연구단
연구단장 김진수
유전자가위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이다.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IBS 유전체교정 연구단에서 유전자가위 기법을 활용한 돌연변이 교정 및 난치성 질환 원천치료를 연구하고 있다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난치성 질환을 원천치료 하는 새로운 방법을 연구
유전체교정 연구단은 인간 및 동식물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고쳐 쓰는 유전자가위 기법을 이용하여 유전체에 담겨진 생명의 비밀을 탐구하고 줄기세포 및 체세포에서 각종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를 교정하여 난치성 질환을 원천치료 하는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기법을 다양한 동식물에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가축, 농작물을 개발하는 새로운 방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유전체는 수천, 수만 개의 유전자가 포함된 생명체의 레시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놀랍게도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의 유전체는 A, C, G, T라고 표기되는 단지 네 종류의 염기가 최대 수십억 쌍 이어진 이중나선 DNA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전자가위는 유전체 상의 특정 유전자 염기서열만을 인식해서 DNA를 절단하는 인공 효소로서 인간 및 동식물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나 이미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교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기법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탐구하거나 난치성 질환을 원천치료 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의 체내에서 면역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세포 및 장기이식에 적합한 동물을 만드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우리 연구단은 이 실험기법의 최초 개발자로서 이를 더욱 개선, 발전시키고 인간의 줄기세포와 다양한 동물, 식물에 활용하여 21세기 생명과학과 생명공학, 분자의학의 신기원을 개척하고자 합니다.
'유전체교정연구단'의 하위구성으로는 연구단장아래 연구그룹이 있고, 연구그룹의 구성으로는 행정팀, 유전자가위팀(SNU, Seoul), 식물연구팀(IBS, Daejeon), 동물연구팀(SNU, Seoul), 기능유천체학 연구팀(Pankyo)가 있습니다.
유전체 교정연구단은 연구단장 아래 연구그룹이 있으며 연구그룹은 행정팀이 지원합니다. 연구그룹은 유전자가위팀, 식물연구팀, 동물연구팀, 기능유전체학 연구팀이 있습니다.
총원 | 30 |
---|---|
성별 | 15(남), 15(여) |
내·외국인 | 29(내국인), 1(외국인) |
2020년 1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