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냅스 단백질 연구로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제시
Tel. 042-350-8125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91 (구성동)
한국과학기술원 자연과학동(E6-3) 생명과학과 2209호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연구단장 김은준
뇌정신질환 연구분야에서 인정받는 과학자로서 아동의 자폐스펙트럼증후군(Autium Spectrum Disorder)을 발병시키는 기전을 네이처지에 발표해 세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시냅스 단백질과 뇌기능 사이의 관계 규명과 뇌정신질환 발병 기전을 연구합니다.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신경전달은 뇌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입니다. 시냅스는 수백, 수천 종의 단백질로 구성되는데, 구체적 예로서 수용체단백질, 세포접착단백질, 신호전달단백질 및 핵심단백질 (scaffolding protein)을 들 수 있습니다. 본 연구단은 그 동안 시냅스 단백질들이 어떻게 서로 모여 시냅스를 형성하고, 신경전달을 매개하고, 또 역동적으로 변화하는지에 대한 기전을 연구하였습니다. 흥미롭게도 최근의 임상연구는 시냅스 단백질들의 이상이 자폐, ADHD, 조현병(정신분열), 정신박약 및 정서장애 등의 정신질환들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습니다. 이 개념은 이제 “synaptopathy (시냅스뇌질환)”라 불리는데, 본 연구단은 synaptopathy 관련 핵심 기전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할 계획입니다. 접근방법으로서 시냅스 단백질이 결손된 정신질환 모델 생쥐를 제작하고, 발병 핵심기전을 분자, 세포, 이미징, 전기생리, 동물행동 방법으로 탐색할 것입니다.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의 하위 구성으로는 연구단장이 있고, 연구단장 하위로는 기술지원팀, 총무부, 동물실험실, 연구그룹이 있으며, 연구그룹의 구성으로는 Group1(Director: 김은준), Group2(Associate Director: 정민환), Group3(Will be selected),Group4(Will be selected),Group5(Will be selected)가 있습니다.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은 연구단장 아래 총무부, 연구그룹, 동물실험실이 있으며, 연구그룹은 5개입니다. 그룹1(김은준), 그룹2(정민환), 그룹3(미정), 그룹4(미정), 그룹5(미정). 연구단은 기술지원팀을 가지고 있습니다.
총원 | 62 |
---|---|
성별 | 32(남), 30(여) |
내·외국인 | 59(내국인), 3(외국인) |
2019년 10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