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공감의 뇌 기전과 싸이코패스

공원에서 엄마 손을 잡고 노는 아이가 있다. 그런데 화려한 날개를 펄럭이며 날아가는 나비를 따라 뛰어가다가 넘어져 무릎이 까졌다. 아픈 아이는 빨간 피를 흘리며 큰 소리로 운다. 엄마도 아이를 따라 울상이 되고 마음이 아파온다. 본인 상처는 없지만 아이의 고통에 공감하기 때문이다. 고통뿐만 아니라 기쁨도 공감이 가능하다. 자녀의 환한 웃음을 보면 부모는 함께 기뻐한다. 이러한 정서적 공감 외에 인지적 공감도 있다. 타인의 의도를 이해하고, 타인 입장에서 세상을 볼 수 있는 것은 인지적 공감 능력 덕분이다.

공감 능력의 결여는 다양한 정신·신경질환과 관련된다. 자폐증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조현병, 조울증, 우울증, 불안증, 감정표현불능증,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 강박장애, 싸이코패스, 등에서 공감 능력 결여가 주요 증상의 하나로 보고된다. 그런데 암이나 당뇨와 달리 이 질환들은 명확한 과학적 진단기술이 아직 없다. 자기공명이미지를 사용하여 공감 반응 시에 활성화되는 뇌 부위를 비교하는 것이 최선이다. 공감 능력을 조절하는 뇌 기전이 제대로 밝혀지지 못한 이유이다.

특히 싸이코패스는 소설, 영화 등을 통해 많이 알려졌다. 1960년 영화 ‘태양은 가득히’에서 주인공 리플리는 치밀한 계획으로 부자의 아들인 친구를 살해한다. 그렇게 친구의 재산을 차지한 이후 거짓말을 계속하다가 또 살인을 하고, 결국 파멸한다. 끔직한 행위와 대조되는 평온하고 순진한 태도가 관객에게 공포감을 유도할 정도이다. 공감 능력 결여의 전형적인 예로 거론되는 영화 속 인물이다./p>

싸이코패스는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극단적 예다. 18세 이상에서 정신과 검진으로 진단을 내리게 된다. 싸이코패스는 공감 능력이 심하게 결여되어 타인의 고통에 무관심하다. 남에게 고통을 유발하면서도 미안함과 죄의식은 고사하고 오히려 재미를 느낀다. 사회 통념과 도덕 규범을 무시하고, 목적 달성을 위해 범법 행위를 서슴지 않는다. 싸이코패스 용의자는 취조도 쉽지 않다. 그들은 용의주도하게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면서, 질문에 정상적이라고 생각되는 답을 골라 하기 때문이다.

위스콘신대학에서는 수감 중인 강력범죄자들을 정신과 진단으로 싸이코패스와 아닌 사람으로 구분하고, 뇌의 구조와 기능을 비교한 연구를 한 적이 있다. 싸이코패스인 사람들의 경우 뇌의 두 부위가 신경 연결이 약하고 신호 교류도 저하되어 있었다. 하나는 공포심과 불안감 등을 조절하는 편도이며, 다른 하나는 공감능력과 죄의식 등을 조절하는 전전두엽이다. 이를 통해 싸이코패스가 사회적 관계에서 보이는 냉담성이나 충동적인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 다만 뇌 상태와 행동의 인과관계를 증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인간의 뇌에서 해당 부위를 실험적으로 조작하고 그로 인한 행동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공감 능력의 뇌 기전 연구에 동물 모델이 필요한 이유이다.

원래 공감 능력은 인간, 침팬지 등에서나 볼 수 있는 뇌의 고등 기능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지난 10여년의 연구를 통하여 공감 능력의 기본 형태가 설치류에도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예컨대 통증으로 고통받는 쥐와 함께 지낸 쥐는 통증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한다. 특정 장소에서 다른 쥐가 공포에 휩싸이는 것을 접한 쥐는 덩달아 행동이 얼어붙는 공포 반응을 보일 뿐 아니라, 나중에 동일 장소에 가면 공포 기억이 되살아난다. 쥐는 다른 쥐가 덫에 걸려 스트레스를 받으면 구해주기도 한다. 그리고, 동반자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면 입으로 쓰다듬는 등, 위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모두 다른 쥐의 정서 상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데서 비롯된다.

쥐에서 공포 공감의 뇌 연구는 인과 관계 규명 수준으로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전대상피질, 편도핵, 대뇌섬피질, 중심선 시상, 등의 부위가 공포 공감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공포 공감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들도 발견되었다. 또한 공포 공감의 진행 순간에 전대상피질(전전두엽의 일부)과 편도핵이 함께 활성화되면서 정보를 교환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쥐 뇌의 이 부위들은 인간의 공감 반응 때 활성화되는 뇌 부위에 상응한다. 이는 인간과 설치류의 공감 반응이 유사한 뇌 기전에 의하여 일어남을 시사한다. 그리고 싸이코패스의 뇌에서 보이는 자기공명이미지 변화가 실제로 증상에 관련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인간의 의사 소통은 공감에서 시작된다. 일상적 대화뿐 아니라 종교적 가르침도 마찬가지다. 기독교의 사랑과 불교의 자비는 모두 공감 능력을 바탕으로 한다. 인간이 사회적 동물로서 집단을 구성하여 유지하려면 공감 능력이 필수적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3대 회장 사티아 나델라는 취임하면서부터 공감이라는 가치를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술을 연결하려는 메시지를 회사에 불어 넣었다. 모바일 시대 흐름에서 뒤처지면서 저조하던 마이크로소프트가 크게 부활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신희섭 기초과학연구원(IBS) 명예연구위원, ㈜에스엘바이젠 이사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홍보팀 : 임지엽   042-878-8173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