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닙니다. 연령제한은 없으나, 연구단장은 10년 이상 장기간
왕성한 연구 활동이 가능해야 합니다.
보통 매년 초 공개모집을 하며, 2개월 정도 공고기간을 갖습니다. 2025년 지원서 제출 마감일은 2025년 2월 24일 월요일 12시
(정오) 입니다 (대한민국 표준시).
지원자는 계획하는 연구단의 연구주제 및 연구특성을 반영하여
공동연구단장 또는 부연구단장의 수를 고려하여 연구단 구성
형태를 정할 수 있습니다.
연구단의 적정 예산 규모는 연구단의 초기 5년 평균 연간
운영비로 인건비, 장비 시스템 구축비, 장비관리·재료비, 연구활동비, 연구수당, 부대경비, 위탁연구비 등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평가과정에서 연구단선정평가위원회(SEC)와
과학자문위원회(SAB)에서 예산 적절성에 대한 검토의견이
제시될 수 있으며, 연구단 예산 규모는 연구단장 선정 후
별도의 절차를 거쳐 결정됩니다.
연구단장 선정 후, 지원서에 제시된 연구단 예산 규모를고려하여 원장과의 협상을 통해 대략적으로 정해지며, 이후
연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확정됩니다. 매년 연구단
운영계획서를 제출하여 연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차년도 연구단 예산이 확정됩니다. 또한, 연구단 성과평가
(최초 설립 이후 5년, 그 다음부터는 3년 주기) 결과가
연구단 예산에 반영됩니다. 일정 기간 동안 일정 연구비를
지원받는 연구과제와 성격이 다릅니다. 참고로 2024년 기준
실험 분야 연구단 연간 평균 예산은 약 57억 원, 이론 분
야연구단 연간 평균 예산은 약 25억 원 입니다.
① 과학기술특화대학(KAIST, DGIST, UNIST, POSTECH, GIST)
소속 교수, 연구원 및 임용예정자
② 대덕특구 내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자 및 임용예정자
※ 단, 최종 연구단장 선정 이전에 해당 소속 기관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연구단장의 임용형태는 연구단 유형별로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단 종류 | 연구단장 임용형태 |
---|---|
본원 연구단 | ∘ IBS 수석연구위원(영년직)으로 임용 |
캠퍼스/외부 연구단 | ∘ 유치기관 소속을 유지하되 IBS와 별도 고용계약 체결(겸직) |
2025년 선정 절차를 거쳐 연구단장 최종 후보자로 선정될경우 협상을 거쳐 2026년에 착수해야 합니다. 다만, 부득이한경우 원장의 승인하에 착수 시점을 연장할 수 있으며 기관예산 상황에 따라 착수 시점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정년은 만65세입니다. 단, 우수 연구단의 연구단장은 최대
만70세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연구단장의 인건비는 연구단장 선정 후, 현 인건비 수준을
고려하여 원장과 협의하여 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