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코로나19 과학 리포트 2]_Vol.14 코로나19와 정신건강 : ‘마음 방역’의 필요성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지난해에 이어 사스코로바이러스-2(SARS-CoV-2)의 과학적 이해와 극복 방안 모색을 위한 ‘코로나19 과학 리포트 2’를 연재합니다. 이번 연재에서는 최근 세계적 관심을 불러일으킨 바이러스 변이와 백신‧치료제 개발 관련 연구동향과 쟁점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IBS 과학자들과 국내 전문가들이 전달하는 최전선의 지식과 정보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 종식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코로나19가 유발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코로나19 감염 두려움 때문에 딸의 결혼식에서 받은 축의금을 모두 세탁기에 돌린 아버지의 기사를 읽은 적 있다. 아버지의 “돈 세탁”이 황당하게 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계속되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주변인의 확진 소식 속에서 정신적 피로가 많이 쌓였을 것이라고 이해되기도 한다. 이렇듯 코로나19는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도 해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필자는 오랫동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동물 모델을 이용해 공포기억의 생성과 억제를 주제로 연구해왔다. 트라우마로도 불리는 PTSD는 자연 재해, 사고, 전쟁 등 심각한 외상적 사건을 경험했거나 목격한 후 발생하는 정신질환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4명 중 1명 정도는 현저한 건강 및 사회적 기능 장애를 보인다는 통계가 있다. 사건에 노출되면 즉각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시간이 지나며 증상이 완화된다. 이중 소수만이 증상이 장기 지속되는 장애로 발전한다.

2018년 7개국(미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일본)의 PTSD 발병 현황과 향후 전망을 분석한 연구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에 따르면 매년 PTSD 발병률은 지속 증가해왔으며, 이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 예상된다(그림1). 코로나19 이전에도 PTSD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꾸준히 늘고 있었다는 의미다.

2015~2025년 주요 7개국 PTSD 환자 수 및 기대 환자 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미지.

                주요 7개국 PTSD 환자수 미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일본
▲ 그림 1. 2015~2025년 주요 7개국 PTSD 환자 수 및 기대 환자 수(출처: 마케터스미디어)

감염병과 PTSD의 상관관계는 이미 사실로 밝혀졌다. 실제로 2003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발발 때도 감염 후 회복한 환자들과 의료진에게서 PTSD 증상이 나타났다(Rogers et al., 2020). 홍콩 유나이티드크리스천병원 연구진은 2003년 사스에 감염됐던 환자들의 정신건강을 30개월 간 추적 관찰했다. 사례 수는 적지만, 90명의 감염자 중 58.9%가 30개월이 지난 시점에도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5.6%는 PTSD를 15.6%는 우울증을 앓았다(Mak et al., 2009). 바이러스 감염이 정신질환까지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그림2).

코로나바이러스가 유발한 전염병에서 회복한 환자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많은 연구 진행 내용의 이미지.
▲ 그림 2. 코로나바이러스가 유발한 전염병에서 회복한 환자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됐다. 감염병 회복 후 3~46개월 뒤까지 정신건강을 분석한 연구를 종합한 결과,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에서 회복한 환자들의 14.8%가 불안감(A)을, 14.9%가 우울증(B)을, 32.2%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C)를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Rogers et al., 2020]

코로나19 이후 PTSD 환자들은 증가했을까

앞서 언급한 사스와 메르스는 모두 발병 1년 이내에 상황이 종료됐다. 하지만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발병 후 현재까지 종식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빠른 속도로 백신이 개발 및 보급됐지만, 여전히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 일일 사망자의 수는 12,978(5월 27일 기준)명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로 발생하는 정신질환은 다른 전염병보다 더 심각할 수밖에 없다.

이탈리아 약리학연구소(IRCCS) 연구진은 코로나19 감염 후 산 라파엘레 병원에서 치료를 마친 환자 402명의 정신질환을 한 달간 추적 검사했다. 그 결과, 28% 환자들이 PTSD 증상을 보였으며, 31% 환자에서 우울증 증상이 나타났다. 불안감과 불면증을 호소하는 환자도 각각 42%, 40%에 달했다(Mazza et al., 2020).

국내 연구의 결론도 유사하다. 서울대병원 연구진은 코로나19 환자 10명의 정신질환을 회복 1개월 뒤에 조사하여 한국의학연구원(JKMS)에 투고했다. 그 결과, 50%는 치료 기간 동안 우울증이 있었고, 10%는 회복 1개월이 지난 시점까지도 우울증과 PTSD를 겪고 있었다. 특히 40%는 코로나19 ‘감염 이력’으로 인해 이웃으로부터 차별을 당할까봐 걱정된다고 답했다(Park et al., 2020). 이 같은 국내외 연구결과들은 많은 환자들이 육체적 회복 후에도 정신적 후유증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의료 종사자의 PTSD는 더 심각

PTSD에 고통받는 것은 환자뿐만이 아니다. 노르웨이 오슬로대 연구진은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의료 종사자들의 PTSD 발병률(28.9%)이 환자보다도 더 높으며, 특히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직접 담당하는 이들의 발병률이 가장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Johnson et al., 2020). 의료진 중에서도 간호사들이 더 심한 정신과적 증상과 더 나쁜 수면의 질을 보인다는 연구결과 (Kwon et al., 2020)도 있다. 조선대 연구진은 격리병동을 운영하는 국내 세 곳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이중 36.7%가 PTSD 발병 위험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Moon et al., 2021).

더 큰 문제는 PTSD가 환자와 의료 종사자들을 넘어 주변인들에게까지 번진다는 것이다. 중국 연구진은 소수 확진자와 다수 일반인을 포함해 총 2,091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측정했다. 그 결과, 여성과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들(밀접접촉자, 코로나19 유행 지역에 거주하거나 방문한 사람) 그리고 수면 장애를 겪는 사람들이 PTSD 발병과 높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un et al., 2021).

아래의 그림3에서 보듯, 연구진은 PCL-5점수를 통해 PTSD 중증의 정도를 분석했다. PCL-5 는 PTSD Checklist for DSM-5의 약자로 PTSD 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20문항 자기보고 설문지를 의미한다. 분석 결과, 설문조사가 시행되기 2주 이내에 코로나19 유행 지역인 우한을 방문하거나 방문자와 접촉한 사람의 PTSD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진자나 밀접접촉자와 접촉한 감염 고위험군은 상대적으로 PTSD 중증도가 확연히 높았다. 이는 일반인들도 코로나19로 인한 PTSD를 겪을 수 있으며, 밀접 접촉 등으로 감염 위험이 높아졌을 때는 PTSD 증상도 더 심해짐을 보여준다. ‘나도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다’는 우려가 심각해지면 정신적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코로나 19 유행 지역방문 여부 없음 PCL-5 점수 : 11.00 / 있음 PCL-5 점수 : 14.00  , 의료종사자 PCL-5 점수 : 10.00 / 저위험군 PCL-5 점수 : 11.00 / 고위험군 PCL-5 점수 : 18.00
▲ 그림 3. 코로나19 유행 지역에 방문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PTSD를 더 크게 겪었다(왼쪽). 그룹별로는 코로나19 환자나 밀접접촉자와 접촉한 감염 고위험군이 의료종사자나 저위험군에 비해 PTSD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Sun et al., 2021]

그렇다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어떻게 정신질환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이탈리아 연구진은 최근 PTSD 발병 요인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Forte et al., 2020). 이에 따르면 ▲사망 위협에 직면 ▲의료종사자의 경우 과로와 무력감을 경험 ▲감염 위험과 관련된 두려움을 경험 ▲사회적 거리두기, 격리 등 제한적 조치 ▲미디어 정보에 과다 노출 등이 PTSD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나타났다. 인도 뱅구르 신경과학연구소 연구진의 결론도 유사하다(Dubey et al., 2020). 환자, 의료진, 보호자들은 물론 질병에 대처하기 위한 정부의 규제, 경제활동 제한, 사회적 거리두기, 인포데믹(infodemic) 등이 직‧간접적으로 PTSD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PTSD는 어떻게 치료할 수 있나

미국 국립PTSD센터(National Center for PTSD)의 통계에 따르면 미국 인구의 7% 정도가 살아가면서 PTSD 진단을 받는다. PTSD 발병률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며, 앞서 살펴본 연구들처럼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는 높게는 30% 이상이 PTSD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세계적으로 치료제 개발이 진행 중이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더욱 적극적인 시도가 필요함을 깨닫게 됐다.

PTSD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치료한다. 심리치료와 약물치료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심리치료에는 장시간 노출(Prolonged Exposure), 인지처리요법(Cognitive Processing Therapy), 안구 운동 둔감화 및 재처리(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과 같은 방식이 있다. 필자가 속한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은 EMDR 치료요법의 효과를 세계 최초로 동물실험으로 입증하고, 관련된 새로운 뇌 회로를 발견한 성과를 2019년 네이처(Nature)에 보고한 바 있다(Baek et al., 2019).

동물실험을 타나내는 이미지.
▲ 그림 4.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은 경험적으로 확인된 심리치료 기법인 EMDR의 치료 효과를 동물실험으로 입증하며, PTSD 치료법의 과학적 원리를 규명했다. EMDR은 좌우로 반복해서 움직이는 빛이나 소리 자극을 이용해 정신적 외상을 치료하는 요법이다.

필자의 연구팀은 PTSD 치료 약물도 찾고 있다. 현재는 PTSD에 우울증 치료제가 사용되는데, 효과가 나오기까지 2주에서 한 달 이상 걸린다는 한계가 있다(Li et al., 2020). 따라서 빠르게 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을 찾는 연구를 시작했다. 신경세포 활성에 중요한 NMDA 수용체 활성을 조절하는 약물의 투여 결과, 1시간 만에 PTSD 모델 생쥐의 공포기억 소멸이 촉진되었다. 이 연구는 아직 임상 2단계에 있지만,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PTSD의 완전한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인포포비아(infophobia)라는 신조어가 있다. 그만큼 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심각한 코로나19 상황은 사람들의 공포심을 자극하고 심리상태에 악영향을 미친다.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PTSD의 직접적인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코로나19는 언젠가 종식되겠지만 PTSD와 같은 마음의 상처는 훨씬 더 깊고 오래 남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방역과 치료에만 전념했다면, 앞으로는 정신질환에도 관심을 갖고 대처해야 한다. 필자를 비롯한 과학자들의 연구가 코로나19 ‘마음 방역’에 일조하기를 바란다.

▣ 참고문헌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2013) American Psychiatric Pub; Washington, DC, USA.

2. Rogers JP, Chesney E, Oliver D, Pollak TA, McGuire P, Fusar-Poli P, Zandi MS, Lewis G, David AS (2020) Psychiatric and neuropsychiatric presentations associated with severe coronavirus infec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ith comparison to the COVID-19 pandemic. Lancet Psychiatry, Published Online, https://doi.org/10.1016/S2215-0366(20)30203-0

3. Mak IWC, Chu CM, Pan PC, Yiu MGC, Chan VL (2009) Long-term psychiatric morbidities among SARS survivors. Gen Hosp Psychiatry, 31, 318-26.

4. Mazza MG, Lorenzo RD, Conte C, Poletti S, Vai B, Bollettini I, Melloni EMT, Furlan, Fabio Ciceri R, Rovere-Querini R, COVID-19 BioB Outpatient Clinic Study group; Benedetti F (2020) Anxiety and depression in COVID-19 survivors: Role of inflammatory and clinical predictors. Brain Behav Immun. 89, 594–600.

5. Park HY, Jung J, Park HY, Lee SH, Kim ES, Kim HB, Song K (2020)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Survivors of COVID-19 Pneumonia 1 Month after Discharge. J Korean Med Sci. 35, e409.

6. Johnson SU, Ebrahimi OV, Hoffart A (2020) PTSD symptoms among health workers and public service provider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PLoS ONE, 15, e0241032.

7. Kwon DH, Hwang J, Cho YW, Song ML, Kim KT (2020) The Mental Health and Sleep Quality of the Medical Staff at a Hub-Hospital against COVID-19 in South Korea. J Sleep Med. 17,93–97.

8. Moon D, Han MA, Park J, Ryu SY (2021) Post-traumatic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Hospital Nurse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in Korea, Psychiatric Quarterly. Published online, https://doi.org/10.1007/s11126-021-09915-w

9. Sun L, Sun Z, Wu L, Zhu Z, Zhang F, Shang Z, Jia Y, Gu J, Zhou Y, Wang Y, Liu N, Liu W (2021)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acut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uring the COVID-19 outbreak,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83, 123-129

10. Forte G, Favieri F, Tambelli R, Casagrande M (2020) COVID-19 Pandemic in the Italian Population: Validation of 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Questionnaire and Prevalence of PTSD Symptomatolog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7, 4151.

11. Dubey S, Biswas P, Ghosh R, Chatterjee S, Dubey MJ, Chatterjee D, Lahiri D, Lavieh CJ (2020) Psychosocial impact of COVID-19, Diabetes Metab Syndr, 14, 779–788.

12. Baek J, Lee S, Cho T, Kim SW, Kim M, Yoon Y, Kim KK, Byun J, Kim SJ, Jeong J, Shin HS (2019) Neural circuits underlying a psychotherapeutic regimen for fear disorders, Nature, 566, 339-343.

13. Li N, Lee B, Liu RJ, Banasr M, Dwyer JM, Iwata M, Li XY, Aghajanian G, Duman RS (2010) mTOR-dependent synapse formation underlies the rapid antidepressant effects of NMDA antagonists. Science, 32, 959-964.


| 이보영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연구위원

편집 | IBS 커뮤니케이션팀

발행일 | 2021년 5월 27일

본 글의 저작권은 기초과학연구원에 있습니다. 무단 전재를 금지하며 공유‧인용 및 재사용 시에는 출처를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