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기초과학연구원 Institute for Basic Science 7 오늘도 비오네 IBS가 알려드립니다 과학잇슈 지긋지긋했던 54일간의 장마, 한반도를 강타한 역대 최장 장마의 원인은? Ch. 135
ibs 기초과학연구원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가 알려드립니다! 일상 속 과학잇슈 한 패스트푸드 전문점 매장에 '토마토 없는 햄버거'가 등장했습니다. 길었던 장마와 잇따른 태풍의 영향으로 농산물 수급이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올해 한반도의 장마는 기상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후 가장 길었던 장마로 기록됐습니다. 왜 이런 이례적인 기후현상이 나타났을까요?
ibs 기초과학연구원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가 알려드립니다! 일상 속 과학잇슈 장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자연적인 강수 변동성 해수면 온도 변화와 같은 외부 요인이 없어도 장마는 매우 강화되거나 약화될 수 있습니다. 대기 내부의 불안정성이 기류와 수증기 공급을 변화시켜 강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 장마 2020 장마
ibs 기초과학연구원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가 알려드립니다! 일상 속 과학잇슈 2 기후변화 기후변화는 지표와 해수의 온도를 높여 수증기량을 늘리는 동시에 여름 대기 순환을 변화시켜 강수량을 늘립니다. 지구 평균 기온이 1도 상승할 때마다 장마 강수량은 약 2~4% 증가합니다.
ibs 기초과학연구원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가 알려드립니다! 일상 속 과학잇슈 3 에어로졸 마지막 요인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배출되는 에어로졸입니다. 에어로졸은 햇빛을 막아 대기를 서늘하게 만들고 위로 솟는 대기의 흐름을 막아 강수량을 감소시킵니다.
ibs 기초과학연구원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가 알려드립니다! 일상 속 과학잇슈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 연구단은 IBS 슈퍼컴퓨터 '알레프'를 이용해 위 세 가지요인이 최근 100년간 한반도 장마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2020년 이레적인 장마의 주범으로 '대기의 불안정성'을 지목했습니다.
ibs 기초과학연구원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가 알려드립니다! 일상 속 과학잇슈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 증가와 에어로졸로 인한 강수량 감소는 서로 상쇄효과를 내 1950년 이후 지금까지 한반도 강수 변화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매년 겪는 대기 내부 불안정성은 장마와 강수 변화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ibs 기초과학연구원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가 알려드립니다! 일상 속 과학잇슈 올해 장마의 주범이 기후변화는 아니지만, 기후변화가 장기화된다면 강수량에 심각한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대로 기온이 3~5도 오를 경우 2100년 한반도 여름 강수량은 최대 15% 이상 증가할 것입니다."
IBS 기초과학연구원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