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Cryo-EM(초저온 전자 현미경)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현장 실무형 교육 ‘2025 M/ICE 워크숍’ 개최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Cryo-EM(초저온 전자 현미경)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현장 실무형 교육 ‘2025 M/ICE 워크숍’ 개최
작성자 전체관리자 등록일 2025-06-30 조회 21
첨부 hwp 파일명 : 250630_[IBS 온라인 홍보] Cryo-EM 교육 워크숍 개최.hwp 250630_[IBS 온라인 홍보] Cryo-EM 교육 워크숍 개최.hwp
zip 파일명 : 250630_[IBS 온라인 홍보] 사진.zip 250630_[IBS 온라인 홍보] 사진.zip
jpg 파일명 : thumb.jpg thumb.jpg

Cryo-EM(초저온 전자 현미경)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현장 실무형 교육 ‘2025 M/ICE 워크숍’ 개최

- 중부권 4개 연구기관... 초·중급 이용자 대상 국내 최대 규모 Cryo-EM 교육 추진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함께 Cryo-EM(초저온전자현미경)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실무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2025 M/ICE 워크숍’을 개최한다.

6월 30일(월)부터 7월 4일(금)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Cryo-EM 초·중급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이론 강의부터 장비 실습, 기술 세미나까지 폭넓은 내용을 포함하는 국내 Cryo-EM 분야 최대 규모(총 140명 이상 참가)의 교육 행사다.


▲ 6월 30일(월) IBS 과학문화센터에서 ‘2025 M/ICE 워크숍’이 개최됐다. 오전 프로그램을 종료 후 교육위원 및 운영진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6월 30일(월) IBS 과학문화센터에서 ‘2025 M/ICE 워크숍’이 개최됐다. 오전 프로그램을 종료 후 교육위원 및 운영진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첨단 대형 연구장비의 공유·활용 체계 구축’ 과제를 수행하는 NEXUS 및 CELINE 컨소시엄의 공동 주관으로 개최되며, 각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는 4개 연구기관의 Cryo-EM 연구인프라 운영자들이 협력하여 마련했다. 특히 IBS는 NEXUS 컨소시엄 내 교육위원회(교육위원장 류범한 IBS 선임기술원)를 중심으로 워크숍 프로그램을 기획·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워크숍의 구성과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국내 Cryo-EM 교육의 새로운 이정표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Cryo-EM 기술은 단백질 구조 규명, 백신 설계, 약물 타깃 분석 등 첨단 바이오 연구에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연구자들이 기초부터 익힐 수 있는 체계적인 실무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했다. 이번 워크숍은 이러한 교육 공백을 해소하고자 이론과 실습을 아우르는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강의에는 복습과 실무 활용이 가능한 전용 교재가 제공되며, 특히 5일간 연속된 일정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전문교육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M/ICE 워크숍은 Cryo-EM 분야의 실무 인력 양성을 위한 실질적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국내 정규 교육 프로그램 확립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 밀착형 교육 구성, 실습 중심 운영

워크숍 첫날인 6월 30일에는 IBS 과학문화센터에서 약 12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Cryo-EM 기초지식 및 이론 교육이 전일 진행됐다. 이번 교육은 Cryo-EM의 역사와 원리부터 시편 제작, TEM 작동 개념, 스크리닝 해석까지 실험 전 과정에 필요한 핵심 이론을 체계적으로 다룬 실전형 강의로 구성됐다.


▲ 한국과학기술원(KIAST) 이성규 박사가 Cryo-EM 기초지식 및 이론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KIAST) 이성규 박사가 Cryo-EM 기초지식 및 이론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기초 개념뿐 아니라 실제 장비 운용과 분석에 필요한 배경 지식을 함께 전달해, 초급자는 물론 실무 경험이 있는 참가자들에게도 Cryo-EM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어 7월 1일부터 3일까지는 각 주관기관의 Cryo-EM 인프라를 활용한 실습 교육이 진행된다. 특히 초저온 시편 제작 및 스크리닝 등 실제 연구에 필수적인 기술을 중심으로, 사전 선발된 28명의 소수 인원을 대상으로 반복 학습이 이뤄질 예정이다. 7월 5일에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센터에서 기술 동향 공유를 위한 초청 세미나와 참석자 중심의 네트워킹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IBS, Cryo-EM 분야 발전 및 교육 선도

IBS는 NEXUS 컨소시엄 참여기관으로서 IBS 리서치솔루션센터 내 Cryo-EM 연구인프라(초저온 바이오 투과전자현미경)를 기반으로 지난 5년간 국내 Cryo-EM 분야의 발전과 관련 연구성과 창출에 기여해왔다.


▲ IBS 리서치솔루션센터 Cryo-EM 시설
▲ IBS 리서치솔루션센터 Cryo-EM 시설

적극적인 분석지원과 우수한 연구 데이터 품질, 고성능컴퓨팅자원과의 연계 지원을 바탕으로 11분기 연속 ‘국내 연구진이 선호하는 Cryo-EM 분석기관 1위’를 기록했으며, 오는 2026년에는 최신 기술동향에 따른 연구지원 범위 확장을 위해 ‘초저온 플라즈마 이온빔 주사전자현미경’ 구축도 예정되어 있다.

IBS 리서치솔루션센터는 인프라 고도화에 더해, Cryo-EM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2025 M/ICE WORKSHOP 포스터
2025 M/ICE WORKSHOP 포스터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홍보팀 : 나희정   042-878-8155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