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IBS 구본경 단장, 유럽분자생물학기구(EMBO) 회원 선출 | ||||
---|---|---|---|---|---|
작성자 | 전체관리자 | 등록일 | 2025-07-02 | 조회 | 55 |
첨부 |
![]() ![]() ![]() |
||||
IBS 구본경 단장, 유럽분자생물학기구(EMBO) 회원 선출- 61년 역사의 유럽 최고 권위 생명과학 학회... 회원 92명 노벨상 수상 -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교정 연구단 구본경 단장이 세계적 생명과학 학술기구인 유럽분자생물학기구(EMBO, 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외국인 회원(Associate Member)으로 선정됐다. 한국 과학자로는 IBS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과 혈관 연구단 고규영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에 이어 세 번째로, 줄기세포 기반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와 유전자가위 기술을 결합하고, 개별 세포 수준에서 유전자 기능을 추적하는 모자이크 유전학(mosaic genetics) 연구를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구본경 단장은 살아 있는 조직 또는 오가노이드 내에서 유전자의 기능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유전학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 재생, 암 발생 초기의 세포 동역학을 분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왔다. 특히, 2024년에는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로는 최초로, 유럽연구위원회(ERC, European Research Council) 시너지 그랜트1)에 선정돼 총 1천만 유로(한화 약 160억 원) 규모의 초대형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1964년 설립 후 61년의 역사를 이어온 EMBO는 생명과학 분야의 국제적 협력과 학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창립된 유럽 중심의 학술조직이다. 재능 있는 연구자 지원, 정보 교류, 과학 출판 등을 통해 과학자들이 창의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 매년 생명과학 분야에 탁월한 공헌을 한 과학자를 회원으로 선정하는데, EMBO 회원 중 92명이 노벨상을 수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전 세계 2,100명 이상의 연구자가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올해 EMBO 신규 회원에 구 단장을 비롯해 전 세계 24개국에서 69명이 선출됐다. 그중 60명은 EMBO 회원국에서 선출됐고, 9명은 비회원국에서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됐다. 피오나 와트(Fiona Watt) EMBO 디렉터(Director)는 “과학은 국제 협력을 통해 발전하며, 매년 새롭게 선출되는 회원들은 EMBO에 새로운 활력과 영감을 불어넣는다”라며, “신규 회원들의 아이디어와 기여는 생명과학의 발전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구 단장은 “2021년 IBS 합류를 위해 유럽에서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에도 ERC 시너지 그랜트 선정과 EMBO 회원 선출 등을 계기로 유럽과의 연구 협력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라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과학계에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구 단장은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독일 하이델베르크에서 열리는 EMBO 회원 연례 회의에서 공식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1) ERC 시너지 그랜트(European Research Council Synergy Grant): 유럽연구위원회가 지원하는 최상위 연구지원 사업 중 하나로, 국가·기관을 초월한 독립연구자들이 하나의 혁신적 과학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대형 기초연구 프로젝트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