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창조경제' 물 만난 대덕 상상력 활짝 폈다 | ||||
---|---|---|---|---|---|
작성자 | 대외협력실 | 등록일 | 2013-04-19 | 조회 | 1611 |
첨부 |
![]() |
||||
'창조경제' 물 만난 대덕 상상력 활짝 폈다IBS-대덕넷 공동개최 '상상력포럼D' 산학연관 총출동 창조경제·전진기지·상상력'의 완벽한 3화음이 대덕의 봄을 환하게 달궜다.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열린 '상상력포럼D'. 때맞춰 거세게 불고 있는 창조경제 논란과 대전시 '창조경제 전진기지화 선언' 등과 맞물려 폭발적인 관심의 대상이 됐다. 이날 포럼에는 강성모 KAIST 신임총장과 장인순 전 대덕클럽 회장 등 줄잡아 30여 명에 이르는 전현직 출연연 기관장들과 박준병 대전테크노파크 원장, 이승완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장을 비롯한 대전시내 각 대학의 교수와 학생 등 산학연관 관계자들이 총출동했다. 그는 창조경제의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폰'을 들었다. 스마트폰은 120개의 부품과 7만 건의 국제특허가 만들어낸 창조물이다. 이 교수는 "스마트폰은 부품 결합체가 아니라 지식결합체"라며 "창조경제는 스마트폰처럼 산업사회의 실천력보다 창조력이 더 중요해지는 경제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혁신이 확대될 때 대기업의 시장이 빛을 발하고 대기업의 시장이 확대될 때 중소벤처의 혁신이 힘을 받는다"면서 "여기에 반드시 필요한 단어가 공정거래이고 그 결과가 바로 경제민주화"라고 말했다. 또한 "이와 함께 창조경제, 경제민주화에 이어 혁신시장을 구축하는 능력이 21세기 국가의 능력"이라며 이러한 개방정부의 역할을 '정부 3.0'으로 표현했다. 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인수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는 송종국 STEPI 원장은 두 번째 연사로 나서 '창조경제와 혁신정책'에 대해 발표했다. 송 원장은 "개념논란이 아니라 이제 실천이 필요할 때라는 것을 핵심으로 창조경제를 논해보고자 한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와 함께 송 원장은 "성실한 실패에 대해 페널티를 주지 않는 것은 연구개발 분야에도 해당되는 사항"이라며 출연연이 새 정부 하에서 자율과 책임을 누리게 될 만큼 공익과 사회적 의제 중심으로 기능과 역할이 변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송 원장은 창조경제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는 대덕을 전세계의 모든 글로벌 인재가 모여 들어 창업과 투자가 일어날 수 있는 '스타트업 비즈니스 레귤레이션 프리존'으로 조성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포럼을 주관한 오세정 원장은 "창조경제를 위해서는 대덕의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며 "우리 한번 얘기 좀 해보자는 취지로 이번 행사를 열게 됐는데 성황을 이뤄 감사하다. 다음에는 더 좋은 내용으로 여러분을 모시겠다"고 말했다. 강성모 KAIST 총장은 "대덕에 와서 오늘 처음 뵙는 분들이 많다"며 "KAIST가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한 만큼 출연연, 기업들과 소통해 실리콘밸리 못 지 않은 곳으로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며 "오늘 같은 이런 소통의 자리와 문화가 앞으로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를 대표해 참석한 이승완 대덕벤처협회장은 "지난 40년 대덕이 과학기술도시였다면 앞으로 100년은 과학기업도시가 되돼야 한다"며 "오늘 특히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게 기쁘다"며 대덕 산학연관의 지속적인 협력과 소통을 기대했다. 한편, 제 2회 '상상력포럼D'는 5월 15일 UST에서 열린다. |
이전 | |
---|---|
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