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두개골에 그리는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지평 연다

- 부드러운 인공 전극, 문신처럼 얇은 전자회로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구현 -

- IBS 나노의학 연구단, 동물실험에서 뇌 조직 손상 없이 33주간 뇌파 측정 -

부작용은 최소화하고, 사용 기간은 대폭 늘린 새로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의학 연구단 천진우 단장(연세대 특훈교수) 및 박장웅 교수(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정현호 교수 및 장진우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뇌 조직처럼 부드러운 인공 신경 전극을 쥐의 뇌에 이식하고, 3D 프린터로 전자회로를 두개골 표면에 인쇄해 뇌파(신경 신호)를 장기간 송수신하는 데 성공했다.

BCI는 뇌파를 통해 외부 기계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이다. 의사소통이 어렵거나 몸이 불편한 환자에게 도입되면 자유롭고 정확한 의사 표현을 도울 수 있어 개발이 활발하다. 일례로,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는 최근 뇌에 컴퓨터 장치를 이식해 생각만으로 컴퓨터의 마우스를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

뇌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삽입형 신경 전극과 감지된 신호를 외부 기기로 송수신하는 전자회로는 BCI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딱딱한 금속과 반도체 소재로 이뤄진 전극과 전자회로를 사용해 이식 시 이질감이 크고, 부드러운 뇌 조직에 염증과 감염을 유발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뇌에 발생한 손상이 신경세포 간 신호 전달을 방해해 장기간 사용이 어렵다는 한계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 개발된 BCI 장치들은 뇌질환 말기 환자들의 치료를 위한 최후의 수단 정도로만 여겨졌다.

우선, 연구진은 고형의 금속 대신 뇌 조직과 유사한 부드러운 갈륨 기반의 액체금속을 이용해 인공 신경 전극을 제작했다. 제작된 전극은 지름이 머리카락의 10분의 1 수준으로 얇고, 젤리처럼 말랑해 뇌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 3D 프린터로 두개골 곡면에 따라 전자회로를 얇게 인쇄한 뒤 뇌에 이식했다. 이렇게 구현한 BCI는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얇아 마치 문신처럼 이식 후에도 두개골 외관에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았다. 기존 전극의 이물감과 불편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진이 구현한 인터페이스는 여러 개의 신경 전극을 이식할 수 있어 다양한 뇌 영역에서의 신호를 동시에 측정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뇌 구조에 맞춰 맞춤형 인터페이스 설계가 가능하다. 더 나아가 유선 전자회로를 사용한 기존 기술과 달리 무선으로 뇌파를 송수신할 수 있어 환자의 일상생활 속에서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쥐 모델을 활용한 동물실험에서 체내 신경신호를 8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딱딱한 고체 형태인 기존의 인터페이스로는 신경신호를 1개월 이상 측정하기 어려웠다.

연구를 이끈 박장웅 교수는 “뇌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33주 이상 신경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면서, "이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뇌전증 등 다양한 뇌질환 환자 및 일반 사용자에게 광범위하게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6.6)’에 2월 27일(현지시간) 게재됐다..



그림 설명


[그림 1] 연구진이 개발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형성 기술
[그림 1] 연구진이 개발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형성 기술
[왼쪽] 뇌에 삽입되는 액체금속 기반의 부드러운 신경전극과, 두개골 표면을 따라 얇게 형성되는 전자회로를 설명하는 그림. [오른쪽] 두개골 곡면을 따라 형성된 생체통합적 통신 전자회로의 사진.


[그림 2]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통한 신경신호 검출
[그림 2]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통한 신경신호 검출
생체통합적 뉴럴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한 신경신호. 뇌 내부 서로 다른 12곳의 신경신호를 동시에 측정했다.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신경전극과 이질감 없는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뇌 조직과 신경세포의 손상 없이 33주간(약 8개월) 뇌 속 신경신호를 측정했다.


[그림 3] 액체금속 인공 신경전극의 조직 반응
[그림 3] 액체금속 인공 신경전극의 조직 반응
[왼쪽] 액체금속 인공 신경전극을 뇌 속 해마체에 삽입한 사진.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액체금속 인공 신경전극이다. [오른쪽] 신경세포(neuron)과 염증 세포(astrocyte, microglia)의 밀도를 분석한 그래프. 신경전극 주변으로 신경세포의 손상이나 밀도 감소가 없고 염증 반응이 최소화됨을 알 수 있다.

  • [동아사이언스] '두개골 타투'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패러다임 제시
  • [노컷뉴스] 두개골에 그리는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지평 연다
  • [이데일리] IBS, 두개골에 그리는 전자회로로 뇌-컴퓨터 연결 새지평
  • [뉴스1] 문신처럼 얇은 전자회로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구현
  • [이뉴스투데이] 두개골에 그리는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지평 연다
  • [중앙일보] 생쥐 뇌에 3D 프린터로 회로 입히고, 뇌-컴퓨터 연결에 성공
  • [뉴시스] IBS, 부드럽고 오래가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성공
  • [교수신문] 두개골에 그리는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지평 연다
  • [메디컬투데이] 두개골에 그리는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지평 연다
  • [오마이뉴스] 3D프린팅으로 두개골에 그린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지평 열다 [세상을...
  • [전자신문] 두개골에 그린 전자회로 BCI 새 지평…IBS, 뇌 조직 손상 없이 33주 뇌파 측정
  • [디지털타임스] 뇌에 `컴퓨터` 심는다… 인공 전극과 전자회로 개발
  • [헬로디디] 머스크 '칩 뇌'처럼 뇌-컴퓨터 전자회로 연결 성공
  • [충남일보] IBS, 새로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연합뉴스] '뇌 질환자 부작용 줄인'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나왔다
  • [YTN사이언스] 뇌파로 컴퓨터 조작…이식 부작용 줄일 기술 개발
  • [연합뉴스] 머리뼈에 문신처럼 그리는 전자회로로 뇌 질환 치료한다
  • [포쓰저널] 문신'처럼 얇은 전자회로로 뇌파 송·수신..."파킨슨병 등 활용 기대"
  • [코리아헬스로그] 기초과학연구원, 인공 신경전극 뇌에 이식해 뇌파로 전자기기 제어 실험 성공
  • [중앙일보] 쥐 두개골에 인쇄한 전자회로…뇌질환 치료에 ‘희망 시그널’
  • [서울신문] “생각만으로 사물을 움직인다”...IBS, 생체 통합 ‘뉴럴 인터페이스’ 개발
  • [조선비즈] 두개골에 전자회로 3D 프린팅으로 그려…생체 통합 뉴럴 인터페이스 개발
  • [히트뉴스] '두개골에 그리는 전자회로'… 생체와 통합된 뉴럴 인터페이스 개발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