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다

- IBS-세브란스병원 연구진, 뇌종양 주변 반응성 별세포 영상화 기술로 종양 미세환경 대사 기전 규명하고, 새로운 뇌종양 치료전략 제시 -

뇌세포의 절반 이상을 구성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는 알츠하이머나 염증 등에 의해 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한 ‘반응성 별세포’로 활성화한다. 반응성 별세포는 다양한 뇌병변에서 관찰되며, 뇌종양도 예외는 아니다. 가장 흔하지만 환자의 치료 예후가 나쁜 악성 종양으로 알려진 교모세포종의 주변부에서도 반응성 별세포가 발현하지만, 종양세포와 반응성 별세포 간 대사 기전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원장 하종원) 핵의학과 윤미진 교수팀, 신경외과 강석구・장종희 교수 연구팀과 함께 뇌종양 환자의 종양 주변부에 발현하는 반응성 별세포의 대사 매개 물질인 아세트산의 항진을 영상화하는 기술을 제안했다. 그리고 이 기술로 종양 미세환경의 에너지 대사 기전을 밝혀 새로운 뇌종양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

교모세포종은 종양과 그 주변부의 반응성 별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과 함께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을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종양 미세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은 상호 작용을 통해 종양의 진행, 종양세포의 전이, 치료 반응과 효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뇌종양의 종양 미세환경까지도 영상화할 수 있는 기술로 탄소11-아세트산(11C-acetate)을 활용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을 제안했다. 11C-acetate는 아세트산을 흡수하는 세포를 영상화하는 방사성추적자로, PET는 이 방사성추적자가 방출하는 양전자를 측정해 영상으로 시각화한다. 종양세포에서 아세트산을 과다 흡수한다고 알려져 기존에도 암 진단에 사용됐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유래한 종양 조직 이식 동물모델로 종양 미세환경을 영상화하여 분석한 결과, 아세트산이 종양세포보다는 주변에 형성된 종양 미세환경, 특히 반응성 별세포에 의해 대부분 흡수되는 것을 밝혀냈다.

종양세포는 계속 분열하기 위해 기본 에너지원이 되는 포도당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이용해 빠른 에너지 대사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이러한 대사 과정의 부산물로 아세트산을 생성해 배출했다. 이렇게 생성된 아세트산은 별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모노카복실산 수송체1(Monocarboxylate transporter 1, MCT1)에 의해 흡수되고, 과도하게 흡수된 아세트산이 반응성 별세포화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했다. 반대로, 반응성 별세포화나 MCT1의 발현을 억제하면 종양 미세환경의 아세트산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됐다.

또한, 연구진은 뇌종양 환자에서 11C-acetate PET 촬영으로 확인된 종양 미세환경 부위(아세트산 과다흡수 부위)가 MRI로 촬영된 종양 부위에 비해 클수록 환자의 치료 예후가 좋지 않음을 발견했다. 일반적으로 뇌종양의 치료는 MRI로 구분된 종양을 수술로 절제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결과는 뇌종양 치료를 위해 종양 미세환경의 제거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특히, 종양의 진행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응성 별세포와 종양 줄기세포 부분을 외과적 수술로 절제하는 것이 성공적인 치료에 핵심임을 시사한다.

윤미진 세브란스병원 교수는 “11C-acetate PET 영상은 뇌종양을 진단하고 수술 절제 부위를 결정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라며, “종양 미세환경을 구분하여 제거할 수 있다면, 종양의 재발을 막아 환자의 예후가 훨씬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11C-acetate PET와 같은 분자 영상 기술은 질병의 진단과 동시에 치료를 수행하는 신개념의 진단․치료 기술인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가 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라고 전했다.

이창준 IBS 단장은 “다양한 뇌병변에서 나타나는 반응성 별세포화의 기전을 이해하면 뇌질환 극복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로 종양 미세환경에서 나타나는 반응성 별세포화가 에너지 대사의 결과로 유도됨을 새롭게 규명했다”라고 밝혔다. 이어“종양세포와 함께 종양 미세환경을 구성하는 반응성 별세포, 종양 줄기세포, 주변 신경세포 등이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지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신경종양학회지‘뉴로-온콜로지(Neuro-Oncology)’에 지난해 12월 12일 온라인 게재됐다.



그림 설명


[그림 1] 종양 미세환경에서 종양세포 유래 아세트산을 이상 과다 흡수하여 일어나는 반응성 별세포화 기전
[그림 1] 종양 미세환경에서 종양세포 유래 아세트산을 이상 과다 흡수하여 일어나는 반응성 별세포화 기전
교모세포종 환자의 뇌 속 종양 및 주변부에서는 아세트산 이상 과다 흡수가 나타난다. 종양세포의 포도당을 이용한 에너지 대사의 결과로 생성되는 아세트산이 주변의 별세포에 분비되어 MCT1을 통해 흡수된다. 이상 과다흡수된 아세트산은 MAO-B 발현 증가를 동반한 반응성 별세포화를 유도한다.

[그림 2] 교모세포종(고위험군) 환자와 성상세포종(저위험군) 환자에서 관찰되는 11C-아세트산 PET와 MRI 이미지
[그림 2] 교모세포종(고위험군) 환자와 성상세포종(저위험군) 환자에서 관찰되는 11C-아세트산 PET와 MRI 이미지
붉은 점선으로 표시된 교모세포종(고위험군) 환자의 종양 부위 부근에서 11C-아세트산 흡수가 증가하였으며(붉은색), MRI로 확인된 종양 크기에 비해 큰 것을 확인했다. 성상세포종(저위험군)에서는 11C-아세트산 흡수 증가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림 3] 교모세포종 환자 유래 이종 이식 모델 내 종양세포 주변에서의 반응성 별세포화
[그림 3] 교모세포종 환자 유래 이종 이식 모델 내 종양세포 주변에서의 반응성 별세포화
교모세포종 환자의 종양 조직을 마우스에 이종 이식한 뇌종양 동물 모델 속 이종 이식 반구에서 반응성 별세포화의 표징인 GFAP과 MAO-B의 증가 및 별세포 특이적인 아세트산 수송체인 MCT1 발현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조직을 이식하지 않은 반대 반구에서는 GFAP과 MAO-B, MCT1 의 발현이 현저히 적었다.

[그림 4] 교모세포종 환자 유래 이종 이식 모델에서 PET 영상 촬영을 통해 관찰되는 11C-아세트산 흡수 증가와 반응성 별세포화
[그림 4] 교모세포종 환자 유래 이종 이식 모델에서 PET 영상 촬영을 통해 관찰되는 11아세트산 흡수 증가와 반응성 별세포화
검정색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 중, 조직이 이식된 부분(Peri-T)에서 11C-아세트산 흡수가 증가하고(붉은색), 반응성 별세포화의 표징인 GFAP과 MAO-B의 증가 및 별세포 특이적인 아세트산 수송체인 MCT1 발현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마오비(MAO-B) 억제제(KDS2010)로 반응성 별세포화를 억제하거나(위), MCT1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경우(아래) 정상 수준으로 회복됐다.

[그림 5] 교모세포종 환자의 아세트산 과다섭취 부위와 MRI로 규정된 종양 부위의 부피 차이에 따른 무진행(PFS) 및 전체 생존기간(OS)
[그림 5] 교모세포종 환자의 아세트산 과다섭취 부위와
MRI로 규정된 종양 부위의 부피 차이에 따른 무진행(PFS) 및 전체 생존기간(OS)

교모세포종 환자의 아세트산 과다섭취 부위는 종양 미세환경을 반영하기에 MRI로 규정된 종양 부위보다 크다. 그러나 이 두 부피의 차이가 클수록(아세트산 과다섭취 부위의 크키가 클수록) 무진행 생존기간과 전체 생존기간 모두 급격히 감소한 것을 발견했다.

IBS 홍보팀
박정훈


  • [충청뉴스] IBS, 반응성 별세포 영상화 기술 통한 뇌종양 치료전략 제시
  • [이뉴스투데이]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다
  • [쿠키뉴스] 뇌종양 치료 새 방향 제시 IBS-세브란스병원 공동연구
  • [연합뉴스]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다
  • [헤럴드경제] 뇌 속 ‘별세포’, 뇌종양 최적 수술위치 찾아준다
  • [동아사이언스] 뇌종양 미세환경 촬영…'반응성 별세포'가 치료 핵심
  • [조선비즈] 뇌 속 ‘별세포’ 정보로 뇌종양 수술 효율성 높인다
  • [전국매일신문] IBS-세브란스병원 연구진 "뇌종양 수술 최적의 위치,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 [메디컬투데이]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다
  • [뉴스1] 최적의 뇌종양 수술 부위,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다
  • [충남일보] IBS, 새로운 뇌종양 치료 전략 제시
  • [코리아헬스로그]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다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홍보팀 : 임지엽   042-878-8173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