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상압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새로운 소재 발견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상압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새로운 소재 발견
보도일 2021-07-12 10:45 조회 1644
연구단명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보도자료 hwp 파일명 : 210712_[IBS 보도자료]_상압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새로운 소재 발견(나노구조물리 연구단  Physical Review X)_.hwp 210712_[IBS 보도자료]_상압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새로운 소재 발견(나노구조물리 연구단 Physical Review X)_.hwp
첨부 zip 파일명 : 210712_[IBS보도자료]그림 및 사진.zip 210712_[IBS보도자료]그림 및 사진.zip

상압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새로운 소재 발견

-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삼차원 위상 디락 반금속 소재 KZnBi 발견 -

- 새로운 위상물질 탐색 및 양자컴퓨터 연구에 활용 기대 -

양자컴퓨터1)의 큐비트2)를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극저온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초전도상태 또는 진공상태 등 까다로운 제작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위상물리에서 발현되는 초전도 특성은 양자컴퓨터 큐비트를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물질은 극소수이다. 그중 삼차원 위상 디락 반금속은 물질의 대칭 붕괴를 통해 초전도 등 다양한 물리현상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나, 상압에서 나타나는 초전도 특성이 관측된 적은 없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구조물리 연구단(단장 이영희) 김성웅 연구위원(성균관대 교수)과 송준성 박사후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원, 와이즈만연구소 등 국제공동연구진과 함께 상압에서 표면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3)을 보이는 새로운 삼차원 위상 디락 반금속4)소재(KZnBi)를 발견했다. 연구진이 발견한 KZnBi는 평상시 대기압(상압) 상태에서 전력을 소비하지 않고도 전류를 흐르게(초전도성) 할 수 있다.

연구진은 디락 입자5)가 존재하는 2차원 물질인 그래핀의 평면 벌집 구조에 착안했다. 이를 통해 층상으로 쌓아올린 3차원 평면 벌집 구조 물질 KZnBi 합성에 성공했다. 각분해 광전자 분광 실험 및 이론 계산을 통해 삼차원 공간상에 질량이 거의 없는 디락 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밝힌 것이다.

나아가 삼차원 위상 디락 반금속 KZnBi 물질의 표면에서 상압 초전도 현상이 나타남도 확인했다. 임계 자기장6)측정을 통해 KZnBi 표면에 기존의 초전도체와는 다른 초전도 특성을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 지금까지 발견된 삼차원 위상 디락 반금속 물질에서는 초전도 현상이 없거나 매우 높은 압력에서만 나타났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로 보통 대기압과 같은 1기압 정도의 압력에서 전기저항이 0(영)이 되는 물질인 KZnBi를 발견한 것이다. 해당 소재는 새로운 위상물질 탐색은 물론, 양자컴퓨터 연구에 필수적인 위상물질 기반 기술 개발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신저자인 김성웅 연구위원은 “디락 물질로 대표되는 2차원 그래핀 소재 형성 원리를 응용하여 기존에 전혀 예측하지 못했던 물질을 발견했다”며“기존 연구의 한계를 뛰어넘은 새로운 양자 물질 발견으로, 앞으로 위상 초전도체와 양자컴퓨터 연구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물리 분야 권위지인 피지컬 리뷰 엑스(Physical Review X, IF=12.577) 誌에 6월 28일자로 게재되었다.

신규 삼차원 위상 디락 반금속 물질인 KZnBi의 결정구조 모식도 (아래)와 디락 입자 특성을 보이는 전자구조 (위)

[그림1] 신규 삼차원 위상 디락 반금속 물질인 KZnBi의 결정구조 모식도 (아래)와 디락 입자 특성을 보이는 전자구조 (위)


새롭게 합성한 KZnBi 단결정

[그림2] 새롭게 합성한 KZnBi 단결정


KZnBi의 초전도 현상 (좌) 과 임계 자기장 측정을 통해 일반적인 초전도체 (s-wave)와는 다른 특이한 초전도 현상 확인 (우)

[그림3] KZnBi의 초전도 현상 (좌) 과 임계 자기장 측정을 통해 일반적인 초전도체 (s-wave)와는 다른 특이한 초전도 현상 확인(우)

1) 양자컴퓨터:양자 얽힘을 이용하여 자료의 병렬 처리가 가능한 컴퓨터로, 기존의 방식으로 해결 할 수 없는 연산들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받고 있는 컴퓨터.

2) 큐비트: 기존 컴퓨터의 비트(0또는 1의 값을 가짐)와는 달리 0 또는 1의 두가지 값을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0과 1이 동시에 존재하는 중첩된 상태로 표현 될 수 있는 비트.

3) 초전도 현상: 온도가 임계온도 이하에 도달하면 물질의 전기 저항이 0 이 되는 현상.

4) 삼차원 위상 디락 반금속: 디락 입자가 삼차원 운동량 공간에 존재하여 그래핀의 삼차원 유사체로 알려진 물질로 질량이 거의 없는 입자를 가지고 있어 매우 빠른 전하 이동도와 독특한 위상학적 특성을 보임.

5) 디락 입자: 질량이 거의 없는 입자로 빛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움직이는 입자.

6) 임계 자기장: 자기장이 충분히 강해져 물질의 초전도성이 깨지는 한계 자기장.

  • [KBS] 코로나 ‘코안’으로 침투…“뿌리는 백신 효과적”
  • [SBS] "코로나19 복제 순간 처음 포착"…감염 시작점 찾았다
  • [JTBC] 턱스크' 위험 밝혀졌다…코로나 초기 '콧속 감염·증식'
  • [YTN] "코로나 바이러스 콧속으로 감염"...침투 경로 첫 확인
  • [MBN] 1년 반 만에 찾아낸 코로나 시작점…'콧속 점막'
  • [동아일보] “코로나 바이러스, 코 안 섬모세포서 복제- 증식”
  • [매일경제] 코로나 감염은 코 안쪽 섬모세포서 시작…韓 연구진이 찾아냈다
  • [메디컬투데이] “코로나19 감염, 코 안 ‘섬모세포’에서 시작”…초기 감염기전 규명
  • [뉴스웍스] 코로나바이러스, 코 안 '섬모세포'에서 증식 시작된다
  • [데일리메디] 코로나19 감염 기전 최초 규명···코 속 점막서 시작
  • [뉴스토마토] 코로나 감염, '코'에서 시작된다…국내 연구팀 최초 발견
  • [위키트리] 한국 과학자가 코로나가 어느 부위서 시작하는지 세계 최초로 밝혔다
  • [아이뉴스24] [지금은 과학] 코로나19, 코 안 '섬모세포'에서 시작된다
  • [내일신문] 코로나바이러스, 코 안에서 증식 시작한다
  • [서울신문] 코로나19 인체침투 첫 관문 콧 속 섬모세포였다
  • [머니투데이] "코로나 바이러스 '코 안'에서 감염 시작" 최초로 밝혀져
  • [세계일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코안에서 시작된다
  • [노컷뉴스] 코로나바이러스, 코안에서 시작…"비강에 백신 투여로 점막 면역 형성해야"
  • [이투데이] 코로나19 감염 '코 안'에서 시작…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밝혀
  • [연합뉴스] 코로나19 감염 '코 안'에서 시작…초기 감염 기전 최초로 밝혀
  • [중소기업신문] 코로나 감염 '코 안'에서 시작…초기 감염 기전 밝혀
  • [아주경제] 코로나19 감염 ‘코 안’에서 시작한다...“비강 내 백신 투여해야”
  • [아시아경제] "코로나19 감염, 코 속 점막에서 시작된다"
  • [천지일보] 코로나19 시발점은 ‘콧속 섬모세포’… 국내 연구진 첫 발견
  • [충청뉴스] IBS, 코로나 바이러스 초기 감염기전 규명
  • [뉴스1] IBS-전북의대, 코로나19 인체 감염 순간 포착…"비강 점막 면역 중요"
  • [경향신문] 국내 연구진 "코로나, 콧속 섬모세포로 침투…뿌리는 약 필요"
  • [헤럴드경제] 코로나바이러스 “콧 속 섬모세포로 침투 증식한다”
  • [디지털타임스] 코로나19 감염 표적 `콧속 섬모세포`
  • [아크로팬] 코로나바이러스, 코 안 섬모세포에서 증식 시작된다
  • [뉴스프리존] IBS, 코로나19 백신 투여 새로운 전략 제시...‘팔’보다 ‘코’가 효과적?
  • [헬로디디] [IBS 통신]코로나19 초기 감염 병리기전을 밝히다
  • [더리포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기전 규명 "코 안 섬모세포에서 증식 시작"
  • [동아사이언스] 코로나바이러스, 코 속 섬모세포에서 증식 순간 포착
  • [한겨레] 코로나19 감염력의 비밀은 섬모세포 ‘토사구팽’
  • [국민정책평가신문] 코로나19 감염 '코 안'에서 시작…초기 감염 기전 최초로 밝혀
  • [조세일보] 코로나19 감염 '코 안'에서 시작…초기 감염 기전 최초로 밝혀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커뮤니케이션팀 : 권예슬   042-878-8237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