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보도일 2020-05-14 09:30 조회 1446
연구단명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보도자료 hwp 파일명 : 200514_[IBS]_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시냅스 뇌질환  EMBO).hwp 200514_[IBS]_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시냅스 뇌질환 EMBO).hwp
첨부 zip 파일명 : 200514_[IBS]_그림 및 사진.zip 200514_[IBS]_그림 및 사진.zip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 시냅스 접착 단백질 PTPδ에 의한 시냅스 생성 및 수면 조절 -

수면을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이 밝혀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단장 연구팀은 신경전달의 기본 단위인 시냅스 생성과 수면 조절의 연관성을 규명했다. 이를 통해 수면 장애를 포함한 관련 뇌질환의 발병 기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뇌에 존재하는 수많은 신경세포는 시냅스(synapse)를 통해 신호를 주고받는다. 시냅스는 신경세포 간 혹은 신경세포와 다른 신경세포가 만나는 접합 부위로, 전시냅스(presynapse)와 후시냅스(postsynapse)로 구성되어있다. 전시냅스에서 나온 신경전달물질을 후시냅스의 신경전달물질 수용체가 감지하면 신경전달(synaptic transmission)이 일어난다. 각 시냅스는 신경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뇌의 최소 구조단위이며, 위치와 기능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고유의 성질을 가진다.

전시냅스와 후시냅스에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이 각각 존재한다. 시냅스 접착 단백질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악수하듯 만나 시냅스를 생성하는데, 이 때 서로 ‘코드’가 맞으면 두 신경세포가 연결되어 소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동안 확인된 여러 종류의 시냅스 접착 단백질들과 달리, 각 단백질의 생체 내 기능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었다.

연구팀은 전시냅스 접착 단백질인 PTPδ단백질1)이 후시냅스 접착 단백질인 IL1RAPL1단백질2)과 상호작용하여 시냅스를 생성하고, 정상적인 수면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함을 밝혔다. 수면은 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생체리듬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수면 간의 연관성은 보고된 바 있으나, 시냅스와 수면 간의 연관성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었다. 이번 연구로 시냅스 접착 단백질인 PTPδ단백질과 수면 간의 연관성이 규명된 것이다.

연구팀은 PTPδ단백질 전체가 결손된 생쥐 모델을 제작하고, 시냅스 생성, 신경전달과 동물 행동 등을 관찰하였다. PTPδ단백질 전체가 결손된 경우, 시냅스 생성이 감소하여 뇌 해마에서의 신경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정상적인 수면 조절이 방해되었다. 또한 PTPδ단백질의 일부인 meA 스플라이스 펩타이드를 결손시킨 경우에도 PTPδ단백질 전체가 결손된 경우와 비슷한 수준으로 시냅스 생성이 감소되고 수면 장애가 유발되었다. 이는 meA 스플라이스 펩타이드가 PTPδ단백질과 IL1RAPL1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대부분의 신경뇌질환과 동반되는 수면장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뇌파검사(Electroencephalogram, EEG)를 진행했다. 그 결과 흥분성 신경세포에서의 PTPδ단백질 전체가 결손된 생쥐와 PTPδ단백질의 일부인 meA 스플라이스 펩타이드가 결손된 생쥐에서 깊은 수면(non-REM)시 발생하는 뇌파가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PTPδ단백질이 수면 조절뿐만 아니라 깊은 수면(non-REM)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김은준 단장은 “PTPδ단백질이 시냅스 생성 및 정상적인 수면에 필수적인 시냅스 접착 단백질임을 밝혔다”며 “하지불안증후군3)과 같은 수면장애, 조현병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5) 등 관련 뇌질환의 발병 기전 이해와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엠보(EMBO, IF 11.24)에 4월 19일(한국시간)에 게재되었다.

그림설명


그림 1. 시냅스에서 PTPδ단백질과 IL1RAPL1단백질의 상호작용 및 신경전달 조절
▲ 그림 1. 시냅스에서 PTPδ단백질과 IL1RAPL1단백질의 상호작용 및 신경전달 조절1) 왼쪽 그림
전시냅스(위쪽)의 PTPδ단백질과 후시냅스(아래쪽)의 IL1RAPL1단백질이 서로 상호작용함을 보여준다. meA 스플라이스 펩타이드(붉은삼각형)가 이 상호작용에 필수적이다.
2) 오른쪽 그림
PTPδ단백질 전체 또는 PTPδ단백질의 일부(meA 스플라이스 펩타이드)가 결손된 생쥐의 경우, 뇌 해마에서의 신경전달이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된다. 이는 meA 스플라이스 단백질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PTPδ단백질과 IL1RAPL1단백질 사이의 시냅스 상호작용이 시냅스 생성 및 신경 전달에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림 2. PTPδ단백질이 결손된 생쥐 모델에서 관찰된 비정상적인 수면
▲ 그림 2. PTPδ단백질이 결손된 생쥐 모델에서 관찰된 비정상적인 수면1) 왼쪽 그림
PTPδ단백질의 결손이 수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4일 동안 지속적으로 수면을 포함한 생쥐의 행동을 기록하고 24시간 단위로 끊어서 분석하였다. 24시간 중에서 처음 12시간(회색)은 불이 꺼진 상태인데 생쥐가 야행성이므로 움직임이 더 활발하다. 나중 12시간(흰색)은 불이 켜진 상태인데 생쥐는 이때 잠을 청한다. 정상 생쥐(wild type 또는 WT; 검은선으로 표시)에 비해 PTPδ단백질 결손 생쥐들이 불이 꺼진 상태에서 움직임이 활발하다는 것은 깨어 있는 상태에서 활동성이 높음을 의미하며(hyperactivity), 불이 켜진 상태에서 움직임이 활발하다는 것은 수면 시간이 줄어들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 실험에는 총 3종류의 생쥐가 사용되었다; PTPδ단백질 전체가 결손된 생쥐(붉은색), PTPδ단백질이 흥분성 신경세포에서만 결손된 생쥐(주황색), PTPδ단백질의 일부(meA 스플라이스 펩타이드)만 결손된 생쥐(파란색). 흥미롭게도 3종류의 생쥐 모두에서 비슷한 형태의 수면장애가 관찰되었다.
2) 오른쪽 그림
많은 신경뇌질환에 동반되는 수면장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뇌파검사 (Electroencephalogram, EEG)를 진행하고 깨어 있을 때의 뇌파(WAKE) 및 두 가지 종류의 수면 뇌파(깊은 수면 관련 non-REM 뇌파, 꿈 관련 REM 뇌파)들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두 종류의 PTPδ단백질 결손 생쥐(흥분성 신경세포에서의 PTPδ단백질 결손 생쥐[주황색], PTPδ단백질의 일부인 meA 스플라이스 펩타이드 결손 생쥐[파란색]) 모두에서 깊은 수면 관련 non-REM 뇌파가 감소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꿈 관련 REM 뇌파는 두 생쥐에서 서로 다르게 변화하였다. 이 결과들은 PTPδ단백질이 수면 조절뿐만 아니라 깊은 수면 관련 non-REM 뇌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그림 3. PTPδ단백질과 IL1RAPL1단백질의 결합이 정상적인 시냅스 생성 및 수면 조절, 뇌파에 중요함
▲ 그림 3. PTPδ단백질과 IL1RAPL1단백질의 결합이 정상적인 시냅스 생성 및 수면 조절, 뇌파에 중요함이번 연구로 전시냅스의 PTPδ단백질과 후시냅스의 IL1RAPL1단백질이 서로 결합하며, 이 상호작용이 PTPδ단백질의 전체 또는 일부(meA 스플라이스 펩타이드) 결손을 통해 억제되면, 시냅스 생성이 감소하고 정상적인 수면 조절이 방해되며 수면 뇌파가 감소함을 밝혔다. PTPδ단백질이 하지불안증후군, 조현병, ADHD 등과 깊은 연관이 있는 만큼 향후 관련 뇌질환의 발병원인 이해,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 PTPδ단백질(Protein tyrosine phosphatase δ, 단백질 티로신 인산가수분해효소 델타) : 주로 시냅스에 위치하며 타깃 단백질의 티로신 잔기 의 탈인산화를 촉진하여 시냅스 생성을 촉진한다. 수면장애, 조현병,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관련이 깊다.

2) IL1RAPL1단백질 : 주로 시냅스에 위치하며 여러 시냅스 단백질들을 한군데 모아 서로 기능적으로 상호작용하게 한다.

3)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 syndrome, 유병율 5%) : 주로 잠들기 전에 다리가 저리는 등의 불쾌한 느낌이 들면서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수면장애다.

4) 조현병(schizophrenia, 유병율 1%) :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마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정신 질환이다.

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유병율 5%) : 아동기에 주로 나타나는 장애로, 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이다.

  • [디오데오] 국내 연구진,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 [EMD]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 [이웃집과학자]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 기전
  • [YTN사이언스] 뇌 속 시냅스와 수면 연관성 밝혔다…수면장애 실마리
  • [사이언스타임즈] 뇌 속 시냅스 접착 단백질 결여되면 수면장애 유발
  • [매일경제] 뇌 속 시냅스 접착 단백질 결여되면 수면장애 유발
  • [사이언스모니터]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 [아시아경제] 깊은 수면의 비밀을 간직한 '단백질' 찾았다
  • [헬로디디] 시냅스, 수면의 질 좌우한다
  • [news1] 국내 연구진,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 [이데일리] 수면 장애와 뇌질환 관계는...수면 조절 시냅스 기전 규명
  • [연합뉴스] 뇌 속 시냅스 접착 단백질 결여되면 수면장애 유발
  • [전자신문] 시냅스 접착 단백질 결여, 수면장애 유발한다
  • [동아사이언스] 수면 장애 원인, 뇌 신경전달 ‘시냅스’ 연관성 첫 규명
  • [금강일보] IBS,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 [뉴스웍스]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 [청년일보] 기초과학연구원, 수면장애와 시냅스 연관성 규명
  • [워크투데이] IBS,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 [뉴스핌] '수면 장애 퇴치법 찾았다'...IBS
  • [메디컬투데이] 수면 조절하는 시냅스 분자기전 규명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