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IBS, 치매 치료제 신약 개발 공동연구 나선다 | ||||||||||||||||||||||||||||||||||||||||||
---|---|---|---|---|---|---|---|---|---|---|---|---|---|---|---|---|---|---|---|---|---|---|---|---|---|---|---|---|---|---|---|---|---|---|---|---|---|---|---|---|---|---|---|
보도일 | 2020-01-22 11:31 | 조회 | 1719 | ||||||||||||||||||||||||||||||||||||||||
보도자료 |
![]() |
||||||||||||||||||||||||||||||||||||||||||
첨부 |
![]() |
||||||||||||||||||||||||||||||||||||||||||
IBS, 치매 치료제 신약 개발 공동연구 나선다- 치매‧파킨슨‧비만 치료 후보약물 ‘세레마비’기전 연구 - - 1/22(수) 대전 IBS 본원서 뉴로바이오젠(주)과 업무협약 체결 -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노도영)은 뉴로바이오젠 주식회사(대표 황성연)와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인 ‘세레마비’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체결식은 1월 22일(수) 오후 2시 대전 IBS 본원에서 열린다. 이창준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장(인지 교세포과학 그룹) 연구팀은 2014년 뇌의 반응성별세포1)에서 과생성 및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감마아미노낙산)가 인지기능을 저해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치매DTC융합연구단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인지 기능 개선 및 회복 효능을 가진 후보물질 세레마비(코드번호: KDS2010)를 개발한 바 있다. 세레마비는 치매환자의 뇌에서 과생성되는 가바의 양을 지속적으로 줄일 수 있는 물질이다. 일시적인 증상 개선에 그친 기존 치료제와 달리 세레마비(SEREMABI․Selective Reversible MAO-B Inhibitor)는 치매의 원인까지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2019년 알츠하이머성 치매 모델 쥐를 통한 실험에서 세레마비가 가바 과생성을 유도하는 마오비(MAO-B․B형모노아민산화효소)의 작용을 억제해 인지 기능 개선은 물론 회복시키는 효능까지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신규 표적인 반응성별세포를 바탕으로 개발된 세레마비의 신약 개발을 위한 추가 치료기전 연구, 효능 평가 등 공동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특히 세레마비가 치매뿐 아니라 파킨슨병, 비만, 뇌졸중, 척수손상에도 효능이 있다고 밝혀진 만큼, 향후 임상시험에 성공하면 신약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글로벌 제약회사들이 잇따라 치매신약 임상시험에서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 기관의 협약은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력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창준 단장은 “연구단이 보유한 뇌질환 연구인프라 및 노하우와 뉴로바이오젠의 연구역량이 어우러져 치매 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돌파구를 제시할 것”이라며 “세레마비 임상시험은 물론 척수손상 및 비만에 대한 심화연구를 수행하며 임상적 유용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1) 반응성별세포 : 별세포(astrocyte)는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다. 별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면 GABA를 과도하게 분비해 주변 신경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반응성별세포가된다.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중풍 등 뇌질환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IBS-뉴로바이오젠 업무협약(MOU) 체결식 개요 □ 개요○ 일시 : ‘20. 1. 22.(수) 14:00 ~ 15:30 ○ 장소 : IBS 본원 B109호 ○ 참석자
○ 주요일정
사진설명
|
이전 | |
---|---|
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