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소장의 지용성 영양분 흡수 조절 원리 밝혔다 | ||
---|---|---|---|
보도일 | 2020-08-14 18:00 | 조회 | 1945 |
연구단명 |
혈관 연구단 |
||
보도자료 |
![]() |
||
첨부 |
![]() |
||
소장의 지용성 영양분 흡수 조절 원리 밝혔다- IBS 혈관 연구단, 소장 내 세포가 지방 흡수 통로‘암죽관’조절하는 원리 규명 - 지방, 지용성 비타민, 약물 등 신체에 필요한 여러 영양분은 소장의 융모1) 속 ‘암죽관’을 통해 흡수된다. 암죽관은 지용성 영양분을 받아들이는 유일한 통로이며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암죽관의 형태와 기능이 유지되는 정확한 원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혈관 연구단 고규영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연구팀은 지용성 영양분 흡수를 담당하는 림프관2)인 암죽관 조절에 소장을 구성하는 기질세포3)가 핵심요소임을 규명했다. 암죽관 기능 조절 원리를 밝힘으로써 비만, 당뇨병 등 대사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혈관 연구단은 지난 연구에서 융모를 이루는 기질세포 중 하나인 ‘평활근 세포’4)가 암죽관 주위를 둘러싸고 주기적으로 수축하여 암죽관의 지방 흡수를 돕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암죽관의 기능 뿐 아니라 형태를 조절하는 새로운 기질세포군을 발견하고 그 원리를 분자생물학적 수준으로 규명하였다. 우선 연구진은 암죽관에 주변 기질세포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암죽관 부근을 관찰했다. 그 결과 다양한 기질세포들이 물리적 자극에 반응하는 히포 신호전달경로5) 물질인 ‘얍/태즈(YAP/TAZ)’단백질을 발현함을 확인했다. 얍/태즈를 과활성시킨 결과 림프관생성물질인 ‘베지에프-C(VEGF-C)’6) 분비 증가로 암죽관이 비정상적으로 발아·증식해 지방 흡수 기능이 저하되었다. 반면 얍/태즈 발현을 억제하면 베지에프-C가 감소하여 암죽관이 짧아져 지방 흡수 기능이 저하됐다. 소장 내 기질세포가 암죽관의 형태와 기능 조절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의미다. 나아가 세포 1개의 유전체를 분석할 수 있는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법을 이용해 베지에프-C 분비를 조절하는 새로운 기질세포군을 발견했다. 이들 세포에 소장의 수축·이완운동과 유사한 물리적 자극을 주면 얍/태즈가 활성화되어 베지에프-C 분비가 증가했다. 즉 소장의 주기적 운동이 기질세포의 얍/태즈 활성을 조절하고 베지에프-C 발현을 제어하여, 암죽관의 정상적인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다. 홍선표 선임연구원은 “암죽관 주변 기질세포가 암죽관의 기능과 형태를 조절함을 밝혔다”며 “지용성 영양분 흡수 원리를 이해하여 지방 흡수 및 분해와 관련된 비만, 당뇨병 등 대사질환 치료에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2.121) 온라인판에 8월 14일 오후 6시(한국시간) 게재되었다. 그림설명
1) 융모(Villus) : 영양분 흡수 면적을 높이기 위해 소장의 점막에 촘촘히 접혀있는 구조물. 융털이라고도 한다. 2) 림프관(Lymphatic vessel) : 주로 피부나 점막 하층에 분포하며 액체와 물질을 혈관계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쪽 방향이 막힌 투명한 관 형태로, 투과성이 높아 항원과 세포를 포함한 거대분자를 쉽게 흡수한다. 3) 기질세포(Stromal cell) : 조직의 골격구조를 이루며 공간을 채우는 여러 세포 4) 평활근세포(Smooth muscle cell) : 평활근을 구성하는 세포. 평활근은 위, 소화관, 혈관, 방광과 같이 관 형태의 내부 기관을 둘러싼 근육으로, 근 수축을 통해 관 안의 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5) 히포 신호전달경로(Hippo signaling pathway) : 세포 분열과 분화를 억제하고 사멸을 촉진함으로써 신체 기관의 성장을 조절하는 세포신호전달경로. 다수의 단백질 인산화 효소와 결합 단백질로 구성되며, 단백질 인산화 효소인 히포 유전자가 변이되면 일부 조직이 과성장하여 하마(hippopotamus)의 주름처럼 보인다 하여 ‘히포(Hippo)’라고 명명되었다. 6) 베지에프-C(VEGF-C) : 림프관 내피세포 내 수용체에 결합하여 림프관 성장을 촉진하는 림프관 성장인자 단백질 |
|||
|
다음 | |
---|---|
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