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엘니뇨 현상의 다양성을 이해하다 | ||
---|---|---|---|
보도일 | 2018-07-26 02:00 | 조회 | 4675 |
보도자료 |
![]() |
||
첨부 |
![]() |
||
엘니뇨 현상의 다양성을 이해하다- IBS-국제공동연구진, 엘니뇨 현상 메커니즘 규명, 네이처 논문게재 - ENSO Movie : https://youtu.be/NDcRJNS_wuc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 악셀 팀머만 단장(부산대 석학교수)과 11개국 40여명의 국제공동 연구팀이 동태평양 엘니뇨(EP 엘니뇨)와 중태평양 엘니뇨(CP엘니뇨)의 상호작용에 따라 매번 다른 형태의 다양한 엘니뇨현상1)이 발생하는 것을 규명 하였다.
IBS·국제공동 연구진은 EP엘니뇨와 CP엘니뇨의 발생 메커니즘과 두 엘니뇨의 공간분포와 발생주기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증명하였다.
이번 성과는 기상이변의 주원인으로 주목받는 엘니뇨의 발생과 영향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연구를 총괄한 악셀 팀머만 단장은 "엘니뇨의 공간과 시간적 다양성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통합이론모델 개발을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고 연구배경을 밝혔다.
그림설명
1. 엘니뇨(El-Nino) : 태평양에서 수개월~1년 간 해수가 비정상적으로 따뜻해지는 현상으로, 1~2년에 걸쳐 해수의 이상 저온현상인 라니냐로 전환된다. 엘니뇨는 발원지, 주기, 강도, 지속기간 등이 불규칙하게 나타나 장기 예측이 어려우며, 다양한 기상이변과 이상기후를 일으킨다. 2. EP(East Pacific, 동태평양) 엘니뇨 : 3~7년 주기로 해양 상층에 열이 많이 저장되고 무역풍이 약할 때 주로 발생하며, 하층의 차가운 해수가 표층으로 올라오는 현상이 약해져 표층에 따뜻한 물이 많아져 해수면 온도를 높이는 메커니즘이 가장 핵심임을 밝혔다. 3. CP(Central Pacific, 중태평양) 엘니뇨 : 2~3년 주기로 해양 상층에 열저장이 상대적으로 적고 무역풍이 강할 때 주로 발생하며, 따뜻한 물이 동서방향으로 이동하며 해수면의 온도를 높이는 메커니즘이 핵심임을 밝혔다. |
|||
|
다음 | |
---|---|
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