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식물의 꽃잎이 떨어지는 원리를 밝히다 | ||
---|---|---|---|
보도일 | 2018-05-04 00:00 | 조회 | 9047 |
연구단명 |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
||
보도자료 |
![]() |
||
첨부 |
![]() |
||
식물의 꽃잎이 떨어지는 원리를 밝히다- IBS·DGIST 연구진, 식물의 탈리 현상 조절하는 리그닌 역할 규명 - 곽준명 DGIST 교수(前 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그룹리더)와 이유리 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연구위원 연구팀은 식물이 발달과 노화 과정 중 리그닌(Lignin)1)이라는 물질을 만들어 꽃잎이나 나뭇잎이 떨어져야 할 정확한 위치에서 잎을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IBS(원장 김두철), DGIST(총장 손상혁)는 이번 연구 성과가 세계최고 권위의 학술지 셀(Cell, IF 30.41) 誌2) 온라인 판에 5월 4일 00시(한국시간)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IBS·DGIST 연구진은 식물의 탈리2)가 일어나는 경계에서 이웃하는 두 세포(식물에서 떨어져 나가는 이탈세포, 꽃잎이 떨어지고 식물 본체에 남는 잔존세포) 중 이탈세포에서만 리그닌이 형성돼 꽃잎을 식물의 본체로부터 정확한 위치에서 떨어지게 하는 울타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한 리그닌의 역할과 탈리 메커니즘을 응용해 탈리 현상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화합물을 찾는 후속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 탈리 현상을 조절하면 낙과로 잃어버리는 식량 작물의 손실을 줄이거나 잎의 탈리를 조절하여 수확량을 늘리는 등 식량 생산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설명
1. 리그닌(Lignin) : 식물의 목질부를 구성하는 고분자 화합물로, 식물 세포벽에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고, 셀룰로오스 다음으로 많은 목재 중량을 차지 2. 셀 誌 : 생명과학 분야 세계최고 권위를 인정받는 저널로 피인용지수(Impact Factor)는 30.41이다. 3. 탈리 : 낙엽, 낙과, 그리고 꽃잎이나 씨앗이 떨어지는 것과 같이 식물 기관이 식물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 |
|||
|
다음 | |
---|---|
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