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은 7월 2~15일 총 3회에 걸쳐 ‘2015 IBS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IBS 심포지엄은 기초과학 분야 석학들이 함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최신 기초과학 지식을 교류하는 장이다. 또한 미래 IBS 연구단장 후보를 발굴하는 과정으로도 활용된다.
이번 심포지엄은 수학(7.2, 서울대), 물리(7.13, 연세대), 지구과학(7.15, 서울팔래스호텔) 등 3개 분야에 걸쳐 진행된다. 분야별 국내외 전문가 21명이 발표에 나선다.
지난 2014년에는 지구과학, 생명, 물리, 이론물리, 융합 등 5개 분야의 심포지엄을 개최한 바 있다.
수학분야 심포지엄은 7월 2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목암홀(501동)에서 개최된다.
김도한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가 좌장을 맡고, 유 시센(YU Shih-Hsien)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교수 등 5명의 연사가 ‘편미분방정식(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을 주제로 발표한다.
물리분야 심포지엄은 7월 13일(월) 오전 10시부터 연세대학교 연세삼성학술정보원 장기원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된다.
그래핀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 김필립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고, 제레미 르비(Jeremy Levy) 피츠버그대학교 석좌교수 등 6명의 연사가‘나노구조 창발현상 이미징과 제어(Imaging and Manipulation of Emergent Phenomena in Nanostructures)’를 주제로 발표한다.
지구과학분야 심포지엄은 7월 15일(수) 오전 9시부터 ‘지구과학의 난제(Challenges in Earth Science)’를 주제로 서울팔래스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다.
오전에는 ‘기후변화(Climate Change)’세션이 열린다. 리차드 앤시스(Richard Anthes) 미국 기후연구대학연합 전임 원장이 좌장을 맡고, 요헴 마로츠케(Jochem Marotzke) 막스플랑크 기상학연구소 소장 등 총 5명의 연사가 발표한다.
오후에는 요스 렐리벨드(Jos Lelieveld) 막스플랑크 화학연구소 소장이 좌장을 맡아 ‘대기 화학(Atmospheric Chemistry)’을 세부주제로 세션을 연다. 러셀 디커슨(Russel Dickerson) 메릴랜드대학교 교수 등 총 5명의 연사가 발표한다.
자세한 사항은 IBS 심포지엄 홈페이지(http://ibs-symposium.org)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15 IBS 심포지엄 7월 일정 및 발표자 정보
1. 심포지엄 7월 일정
심포지엄 7월 일정
일시 |
장소 |
주제 |
비고 |
7.2(목) 14:00~17:50 |
서울대 501동 자연과학대학 목암홀(1층) |
편미분방정식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
국내외 5명의 전문가가 연사로 발표 |
7.13(월) 10:00~17:10 |
연세대 연세삼성학술정보원 장기원 국제회의실(7층) |
나노구조 창발현상 이미징과 제어
(Imaging and Manipulation of Emergent Phenomena in Nanostructures) |
국내외 6명의 전문가가 연사로 발표 |
7.15(수) 9:00~17:15 |
서울팔래스호텔 그랜드볼룸(LL층) |
지구과학의 난제 (Challenges in Earth Science) |
국내외 10명의 전문가가 연사로 발표 |
2. 발표자 정보
[수학] 7월 2일(목) 서울대
수학 발표자 정보
구분 |
이름 |
소속 |
직함 |
좌장 |
김도한 KIM Dohan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교수 |
발표자 |
유 시센 YU Shih-Hsien |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
교수 |
변재형 BYEON Jaeyoung |
한국과학기술원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석좌교수 |
채동호 CHAE Dongho |
중앙대학교 Chung-Ang University |
석좌교수 |
최희준 CHOE Hi Jun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교수 |
하승열 HA Seung-Yeal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교수 |
[물리] 7월 13일(월) 연세대
물리 발표자 정보
구분 |
이름 |
소속 |
직함 |
좌장 |
김필립 KIM Philip |
하버드 대학교 Harvard University |
교수 |
발표자 |
하나구리 테츠오 HANAGURI Tetsuo |
이화학연구소 RIKEN |
팀리더 |
제레미 르비 Jeremy LEVY |
피츠버그 대학교 University of Pittsburgh |
석좌교수 |
강세종 KAHNG Se-Jong |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
교수 |
압하이 파수파시 Abhay PASUPATHY |
컬럼비아 대학교 Columbia University |
부교수 |
여인환 LYO In-Whan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교수 |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Andreas HEINRICH |
IBM 알마덴 연구소 IBM Almaden Research Center |
연구원 |
[지구과학] 7월 15일(수) 서울팔래스호텔
- (오전)세션1
지구과학 발표자 정보(오전)
구분 |
이름 |
소속 |
직함 |
좌장 |
리차드 엔시스 Richard ANTHES |
미국기후연구대학연합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UCAR) |
전임 원장 |
발표자 |
리차드 엔시스 Richard ANTHES |
미국기후연구대학연합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UCAR) |
전임 원장 |
요헴 마로츠케 Jochem MAROTZKE |
막스플랑크 기상학연구소 Max Planck Institute for Meteorology |
소장 |
아셀 티머만 Axel TIMMERMANN |
하와이 대학교 University of Hawaii |
교수 |
가이 브라쇠르 Guy BRASSEUR |
미국 국립대기과학 연구센터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NCAR) |
석좌교수 |
율리히 슈만 Ulrich SCHUMANN |
독일 대기물리연구소 Institute of Atmospheric Physics |
교수 |
- (오후)세션2
지구과학 발표자 정보(오후)
구분 |
이름 |
소속 |
직함 |
좌장 |
요스 렐리벨드 (Jos LELIEVELD) |
막스플랑크 화학연구소 Max Planck Institute for Chemistry |
소장 |
발표자 |
러셀 디커슨 Russell DICKERSON |
메릴랜드 대학교 University of Maryland |
교수 |
데이비드 파울러 David FOWLER |
영국 생태학·수문학 센터 Centre for Ecology & Hydrology |
선임연구원 |
찰스 콜브 Charles E. KOLB |
미국 중항공기 연구 주식회사 Aerodyne Research, Inc. |
대표 |
로날드 코헨 Ronald COHEN |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교수 |
레이 바이스 Ray WEISS |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고캠퍼스 스크립스해양연구소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
명예석좌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