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우주의 비밀,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 경계 넓혔다

암흑물질 액시온 그룹우주의 비밀,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 경계 넓혔다IBS 연구진, 독자 설계한 탐색 장비로 고질량 액시온 탐색 가능성 입증Read More

헤모글로빈의 재발견, 퇴행성 뇌질환 치료하는 항산화 기능 규명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헤모글로빈의 재발견, 퇴행성 뇌질환 치료하는 항산화 기능 규명뇌세포 속 헤모글로빈의 항산화 기능 규명... 활성산소 분해하는 정밀 치료 전략 제시Read More

10,000배 더 크고 20배 더 빠르게 …  거칠거칠한 흑연 표면, 매끄러운 고품질로 거듭나다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10,000배 더 크고 20배 더 빠르게 … 거칠거칠한 흑연 표면, 매끄러운 고품질로 거듭나다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고품질 대면적 흑연 필름 생산법 개발Read More

‘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 공포 기억 사라지지 않는 이유 찾았다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 공포 기억 사라지지 않는 이유 찾았다별세포 유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GABA가 공포 기억 소멸 방해Read More

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았다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았다뇌 영상 기술의 해석력을 높이는 세포 간 조절 메커니즘 밝혀내Read More

Prev Next Pause Start

Featured

date2025-08-28우주의 비밀,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 경계 넓혔다
우주의 비밀,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 경계 넓혔다
date2025-08-22헤모글로빈의 재발견, 퇴행성 뇌질환 치료하는 항산화 기능 규명
헤모글로빈의 재발견, 퇴행성 뇌질환 치료하는 항산화 기능 규명
date2025-08-1210,000배 더 크고 20배 더 빠르게 … 거칠거칠한 흑연 표면, 매끄러운 고품질로 거듭나다
10,000배 더 크고 20배 더 빠르게 … 거칠거칠한 흑연 표면, 매끄러운 고품질로 거듭나다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고품질 대면적 흑연 필름 생산법 개발
date2025-07-29‘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 공포 기억 사라지지 않는 이유 찾았다
‘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 공포 기억 사라지지 않는 이유 찾았다
date2025-07-21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았다
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았다
뇌 영상 기술의 해석력을 높이는 세포 간 조절 메커니즘 밝혀내
date2025-07-03정확도·효율성 높인 생명과학 데이터 분석 도구 ‘scICE’ 개발
정확도·효율성 높인 생명과학 데이터 분석 도구 ‘scICE’ 개발
scICE, 한 번의 분석만으로 최대 30배 빠르고 일관성 있는 클러스터링 결과 제시
date2025-06-23코로나19, ‘증식 원점’ 타격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 제시
코로나19, ‘증식 원점’ 타격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 제시
date2025-06-12꿈의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빛과 반응하는 찰나의 모습까지 ‘순간포착’
꿈의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빛과 반응하는 찰나의 모습까지 ‘순간포착’
date2025-06-11폐기물에서 청정에너지로…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바꾸는 친환경 기술 개발
폐기물에서 청정에너지로…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바꾸는 친환경 기술 개발
date2025-06-05뇌 속 노폐물, 간편하게 배출하는 방법 찾았다
뇌 속 노폐물, 간편하게 배출하는 방법 찾았다
비침습적인 물리적 자극으로 뇌척수액 배출 2~3배 증가...네이처誌 게재
date2025-05-22시냅스 단백질의 유전자 조각, 생후 생존과 뇌 회로 조절의 열쇠
시냅스 단백질의 유전자 조각, 생후 생존과 뇌 회로 조절의 열쇠
date2025-05-20“제대로 끊어야 산다”.. 세포 분열 직전 DNA 연결고리 자르는 효소 규명
“제대로 끊어야 산다”.. 세포 분열 직전 DNA 연결고리 자르는 효소 규명
date2025-05-20박쥐 유사장기(오가노이드)’로 미래 팬데믹 막는다
박쥐 유사장기(오가노이드)’로 미래 팬데믹 막는다
신·변종 바이러스 조기 탐색과 치료제 연구 활용 기대, 국제적 학술지 Science 게재
date2025-04-22인간 뇌에서 영감 얻은 AI, 한계를 뛰어 넘다
인간 뇌에서 영감 얻은 AI, 한계를 뛰어 넘다
뇌의 시각 처리 원리 본뜬 AI 이미지 인식 기술 개발
date2025-04-14치매로 기억 흐려지는 이유, 뇌 속 별세포에서 찾았다
치매로 기억 흐려지는 이유, 뇌 속 별세포에서 찾았다
IBS 연구진, 치매 기억 손상 조절하는 단백질 ‘SIRT2’ 규명
date2025-04-04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IBS RNA 연구단, mRNA 백신의 전달・분해를 제어하는 단백질군 발견
date2025-03-31좌뇌는 논리, 우뇌는 감정? 공감의 비밀 우뇌에서 찾았다
좌뇌는 논리, 우뇌는 감정? 공감의 비밀 우뇌에서 찾았다
IBS, 연구진,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 반응 조절하는 핵심 신경회로 규명
date2025-03-26운동 중 뇌, 청각 차단한다?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감각정보처리
운동 중 뇌, 청각 차단한다?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감각정보처리
뇌에서 시각·청각 정보가 통합되는 과정이 행동에 따라 달라지는 원리 밝혀내
date2025-03-11영화 속 주인공 시련에 가슴 저릿한 이유, 뇌 공감 회로에 있다
영화 속 주인공 시련에 가슴 저릿한 이유, 뇌 공감 회로에 있다
IBS 연구진, 타인의 고통 느끼는 정서적 공감 메커니즘 규명 공감 능력 장애 및 사회성 관련 신경정신질환 치료 연구에 새로운 단서 제공
date2025-03-05통증과 가려움 느끼는 뇌 속 ‘갈림길’ 찾았다
통증과 가려움 느끼는 뇌 속 ‘갈림길’ 찾았다
IBS 연구진, 통증과 가려움의 독립적 신경회로 규명 통증과 가려움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확인
date2025-02-13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별세포의 칼슘 신호 조절해 신경회로 재구성·뇌 기능 회복 유도
date2025-02-13기후 변화가 뎅기열 확산 가속한다
기후 변화가 뎅기열 확산 가속한다
IBS-KAIST, 수학 모델로 기후 변화가 뎅기열 발병에 미치는 영향 분석
date2025-02-06원자력 발전소에서 찾는 암흑물질, 우주의 비밀 밝힌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찾는 암흑물질, 우주의 비밀 밝힌다
IBS 주도‘네온(NEON)’실험, 한빛 원전서 성공적으로 구현
date2025-02-0460년 만에 풀린 이론··· 세계 최초 1차원 양자 금속 구현
60년 만에 풀린 이론··· 세계 최초 1차원 양자 금속 구현
이황화몰리브덴 활용해 60년 전 제시된‘루팅거 액체 이론’ 최초 실험 증명 IBS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 연구단, 대규모 양자 소자 기술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 열 것
date2025-02-03같은 영화를 보고 더 잘 기억하는 이유, ‘해마’로 밝혔다
같은 영화를 보고 더 잘 기억하는 이유, ‘해마’로 밝혔다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자기공명영상(fMRI) 활용해 해마의 기억 조율자 역할 규명
date2022-05-18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
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
- 혈액·소변 등 생체시료 전처리 없이 현장진단기기로 직접 분석 - - 암·감염병 등 다양한 질병 조기 발견 가능 -
date2022-05-03소리로 효소반응을 조절하다
소리로 효소반응을 조절하다
- 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소리로 다단계 효소반응 조절 - - 생체 시스템 모방 연구, 신물질 합성 등 다양한 응용 기대 -
date2022-04-27‘합-주파수 생성 분광법’기술을 이용한이차원 기능성 물질 표면의 습윤성 측정
‘합-주파수 생성 분광법’기술을 이용한이차원 기능성 물질 표면의 습윤성 측정
그래핀 계면 특성의 미시적 이해
date2022-04-26섬유화 메커니즘 연구에 새로운 방향 제시
섬유화 메커니즘 연구에 새로운 방향 제시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 물에서의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섬유화 메커니즘 분자 수준에서 규명

Popup Zone

  • IBS-막스플랑크 공동 연구센터 출범
공식명칭 : Max Planck-yonsei IBS Center for Nanomedicine Deep Tissus Control
세계 선도할 나노-의생명 융합연구 본격 시동
ibs 기초과학연구원
  • IBS 구본경 단장, 유럽분자생물학기구(EMBO) 회원 선출

Research CentersOpen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