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Total : 604

공포 기억을 지우지 못하는 뇌, 자폐 환자 불안․공포 뇌 회로 비밀 풀렸다
공포 기억을 지우지 못하는 뇌,자폐 환자 불안․공포 뇌 회로 비밀 풀렸다- 기저편도체 신경세포 활성화, 공포 기억 소거 장애와 장기 불안 반응 개선의 열쇠 -- 자폐 환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 치료 가능성 제시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단장(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 연구팀은 자폐 환자에게서 발견된 유전자 변이를 가진 생쥐 실험을 통해, 기저편도체1) 흥분성 신경세포의 활성 조절이 공포 기억 소거 공포 기억 소거2)와 장기적인 공포 반응 억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자폐 환자에게 동반되는 불안과 공포 장애의 기전을 세포, 시냅스, 뇌 회로 수준에서 최초로 밝힌 성과다.자폐 스... 작성자 : 지오넷 전체관리자 조회 : 56 2025.09.18
척수손상 회복 멈춰 세우는 별세포 속 제동장치 찾았다
척수손상 회복 멈춰 세우는 별세포 속 제동장치 찾았다- 반응성 별세포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가바(GABA)가 신경 회복 신호 차단 -- 마오비(MAOB) 억제제 ‘KDS2010’, 가바 생성 막아 신경 회복 촉진 -교통사고나 추락과 같은 외상으로 발생하는 척수손상은 환자에게 운동·감각 기능의 영구적 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 뇌와 온몸을 잇는 신경의 중심 통로인 척수에는 손상의 회복을 멈춰 세우는 ‘제동장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제동장치가 작동하는 분자 수준의 원리가 처음으로 밝혀졌다.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하윤 교수 연구팀과 함께 척수 내 별세포(astrocyte)가 마오비(MAOB) 효소를... 작성자 : 지오넷 전체관리자 조회 : 274 2025.09.11
IBS, 25년 암흑물질 논쟁 ‘다마(DAMA) 미스터리’에 마침표 찍다
IBS, 25년 암흑물질 논쟁 ‘다마(DAMA) 미스터리’에 마침표 찍다- 한국 주도 국제 연구팀, 이탈리아 ‘다마 실험 신호’ 암흑물질 아님을 최종 입증 -우주는 우리가 눈으로 보는 별과 은하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암흑물질’이 우주 전체 질량·에너지의 약 27%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미지의 물질을 찾기 위한 수많은 탐색 연구가 진행되는 가운데, 1998년 이탈리아 그랑사소 지하실험실의 ‘다마(DAMA/LIBRA) 실험’ 연구팀이 암흑물질의 신호를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 신호는 명확히 검증되지 못했고, 진위를 두고 뜨거운 논쟁이 시작됐다.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지하실험 연구단(연구단장 김영덕)이 이끄는 ‘코사인-1...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380 2025.09.04
우주의 비밀,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 경계 넓혔다
우주의 비밀,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 경계 넓혔다- IBS 연구진, 독자 설계한 탐색 장비로 고질량 액시온 탐색 가능성 입증 -우주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암흑물질’의 실체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암흑물질 액시온 그룹 윤성우 CI 연구팀은 암흑물질의 유력한 후보인 ‘액시온(Axion)’을 찾기 위한 실험에서, 지금까지 기술적 한계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고질량(고주파) 영역까지 탐색을 확장하고, 민감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암흑물질은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약 8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빛이나 다른 물질과 거의 상호작용을 하지 않아 직접 관측이 어렵다. 그 유력 후보 중 하나인 액시온은 1...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419 2025.08.28
헤모글로빈의 재발견, 퇴행성 뇌질환 치료하는 항산화 기능 규명
헤모글로빈의 재발견, 퇴행성 뇌질환 치료하는 항산화 기능 규명- 뇌세포 속 헤모글로빈의 항산화 기능 규명... 활성산소 분해하는 정밀 치료 전략 제시 -- 루게릭·파킨슨·알츠하이머·노화 등 질환 모델에서 항산화 촉진 약물의 치료 효과 확인 -피를 붉게 하고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로 잘 알려진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숨겨진 기능이 밝혀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단장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박기덕 뇌과학연구소장 연구팀과 함께 뇌 속 별세포(astrocyte)에 존재하는 헤모글로빈의 항산화기능을 규명하고, 이를 극대화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개발해 퇴행성 뇌신경질환, 노화,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질환 ...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631 2025.08.22
10,000배 더 크고 20배 더 빠르게 …  거칠거칠한 흑연 표면, 매끄러운 고품질로 거듭나다
10,000배 더 크고 20배 더 빠르게 …거칠거칠한 흑연 표면, 매끄러운 고품질로 거듭나다-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고품질 대면적 흑연 필름 생산법 개발 -- 강도·전도성 신기록 달성했다··· 흑연 응용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 -작은 결정 크기와 거친 표면의 한계를 넘어, 마침내 매끄러운 고품질 흑연 필름을 제작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로드니 루오프 연구단장 연구팀은 기존 합성 흑연보다 약 10,000배 큰 밀리미터(mm) 크기의 결정립을 가진 거울처럼 매끄러운 흑연 필름 생산법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흑연은 전기와 열이 잘 통하는 성질은 물론,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성질을 보이는 ‘이방성(a...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686 2025.08.12
‘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 공포 기억 사라지지 않는 이유 찾았다
‘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 공포 기억 사라지지 않는 이유 찾았다- 별세포 유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GABA가 공포 기억 소멸 방해 -- GABA 합성 억제 약물로 뇌 기능 회복 및 공포 반응 완화 확인 -소방관이나 참전 군인처럼 재난, 폭력 등 극심한 외상에 노출된 사람들은 공포스러운 기억을 잊지 못하고 심각한 불안과 고통을 호소하곤 한다. 일반적으로 공포 기억은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희미해지지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환자에게는 ‘시간이 약’이라는 말이 통하지 않는다.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은 이화여자대학교 뇌융합과학연구원 류인균 석좌교수 연...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1119 2025.07.29
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았다
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았다- 뇌 영상 기술의 해석력을 높이는 세포 간 조절 메커니즘 밝혀내 -우리가 무언가를 생각하거나 몸을 움직일 때마다 뇌 속 혈류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러한 혈류 변화는 뇌의 활동 상태를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신호로 고해상도 뇌 영상 기술과 신경과학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신호가 개별 세포 수준에서 어떻게 만들어지고 조절되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김성기 단장(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석좌교수) 연구팀은 한국뇌연구원 정원범 선임연구원(前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연구교수)과 공동으로 억제성 신경세포가 뇌 혈류를 조절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918 2025.07.21
정확도·효율성 높인 생명과학 데이터 분석 도구 ‘scICE’ 개발
정확도·효율성 높인 생명과학 데이터 분석 도구 ‘scICE’ 개발- scICE, 한 번의 분석만으로 최대 30배 빠르고 일관성 있는 클러스터링 결과 제시 -- 기존 방법 통한 분석 결과 중 2/3에서 불안정성 밝혀내 -기존보다 최대 30배 빠른 속도로 안정적인 결과만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대규모 생명과학 데이터 분석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방법이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의생명 수학 그룹 김재경 CI(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세포 분류(클러스터링) 결과의 안정성을 수학적으로 평가해 불안정한 결과를 걸러내는 새로운 분석 도구인 ‘scICE(single-cell Inconsistency Clusteri...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1525 2025.07.03
코로나19, ‘증식 원점’ 타격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 제시
코로나19, ‘증식 원점’ 타격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 제시- IBS 연구진, 바이러스 복제 단백질 간 결합 차단하는 항바이러스제 개발 -- 비강 투여만으로 강력한 항바이러스 효과...차세대 바이러스 치료제 가능성 확인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재유행 가능성과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에 대한 전 세계적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기존 항바이러스제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이 제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최영기 소장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증식에 핵심인 RNA 복제 효소 복합체의 형성을 차단하는 새로운 항바이러스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했다.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는 스스로 증식하기 위해 ‘R...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 : 1336 2025.06.23
처음이전12345다음마지막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홍보팀 : 나희정   042-878-8155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