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과 생명을 잇는 나노의학 선도
Tel. 02-2123-4748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102동 150A
IBS 나노의학 연구단
연구단장 천진우
2014~2015년 국제학술업체 톰슨 로이터로부터 ‘세계 최다 인용 과학자’로 선정, 세계 유수 학술지에 12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면서 연구의 독창성과 파급 효과를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나노화학과 나노의학을 발전시킨 업적으로 미국화학회 석학 회원으로 선정된 그는 화학분야 메이저 저널인 <어카운트 오브 케미컬 리서치>의 수석 에디터로 활동 중이다
나노과학을 이용한 생명현상의 관찰, 이해 및 의학적 응용 연구
나노의학연구단의 궁극적인 연구 목표는 미래 지향적 융합과학의 기반을 확립하는 것이며 ‘혁신적 나노물질의 설계·합성 및 생명에 적용을 통한 새로운 과학 창출’이다. 나노는 생명현상의 신호처리, 조절, 접근에 있어 근본적인 이해를 가능케 하는 유용한 개념으로 생명현상을 관찰할 나노물질설계를 통해 과학계와 의학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단은 산하에 ▲나노물질 디자인 그룹 ▲나노바이오 인터페이싱 그룹 ▲분자수준 영상 및 세포조절 그룹 등이 함께 구성된다. 각 그룹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1) 단일세포 수준에서 생명현상의 근본 원리를 찾아 낼 수 있는 혁신적인 고성능 나노물질을 디자인하고 (2) 이를 이용하여 초고감, 고정확, 고효율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한 무독성 물질을 개발하고자 한다.
나노의학연구단은 화학, 물리, 생명공학, 의학 등 다양한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새로운 물질과 생명을 매개하는 융합연구로 뉴사이언스를 창출하고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함과 동시에 과학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룸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노의학 연구단'의 하위 구성으로는 연구단장, Scientific Advisory Board가 있고 연구단장의 하위로 Administration Groups, Technical Support, Research Groups가 있으며, Research Groups은 Nano-bio Interface Group, Nanomaterials Group, Nano-bio Systems Group으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나노의학 연구단은 연구단장 아래 3개의 연구그룹이 있습니다. 연구그룹은 Nano-bio Interface Group, Nanomaterials Group, Nano-bio Systems Group이며 연구단장은 Scientific Advisory Board의 지원을 받고, 모든 연구그룹은 Administration Group과 Technical Support팀이 지원합니다.
총원 | 42 |
---|---|
성별 | 27(남), 15(여) |
내·외국인 | 40(내국인), 2(외국인) |
2017년 3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