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망막 혈관 주위세포 소실 '당뇨병 망막병증' 악화 원인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망막 혈관 주위세포 소실 '당뇨병 망막병증' 악화 원인
보도일 2017-05-16 18:00 조회 4745
연구단명 혈관 연구단
보도자료 hwp 파일명 : 170516_[보도자료]_망막 혈관 주위세포 소실, 당뇨병 망막병증 악화 원인(혈관 연구단, nature comm).hwp 170516_[보도자료]_망막 혈관 주위세포 소실, 당뇨병 망막병증 악화 원인(혈관 연구단, nature comm).hwp
첨부 zip 파일명 : 170516_그림 및 사진.zip 170516_그림 및 사진.zip

망막 혈관 주위세포 소실 '당뇨병 망막병증' 악화 원인

- 혈관 연구단, 망막 혈관 주위세포 망막 내 혈관 안정화 역할 밝혀 -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 혈관 연구단 고규영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과 박도영 박사가 망막 내 혈관 주위세포의 소실이 당뇨 망막병증1)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임을 밝혔다. 혈관 주위세포가 망막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 이번 연구는 당뇨 망막병증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토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뇨병의 3대 합병증 중 하나인 당뇨 망막병증은 성인 실명의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통증이 없고 시력이 서서히 떨어져 병변이 진행돼도 환자가 자각하는 경우가 드물다. 발병 초기 혈관 주위세포의 소실이 가장 먼저 발견되는 현상이지만 이 현상이 미세혈관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연구진은 당뇨 망막병증을 비롯한 다양한 망막 혈관 질환에서 혈액-망막 장벽(Blood-retinal barrier)2)의 파괴가 관찰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망막을 지키는 차단로인 혈액-망막 장벽을 조절하는 혈관 주위세포의 기능을 새롭게 밝히고, 두 관계를 규명한다면 새로운 연구결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첫 번째 실험은 정상 망막 혈관의 대조군과 혈관 주위세포가 정상적으로 유착되지 않는 망막 혈관을 지닌 실험군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실험군 동물모델에서는 혈액-망막 장벽 파괴로 인해 망막 혈관의 누출, 유리체 출혈, 시각기능 상실 등 당뇨 망막병증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병변이 재현되었다.

실험 결과, 연구진은 혈관 주위세포가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떨어져 나오면 혈관 안정성이 무너지면서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됨을 확인했다. 먼저, 혈관 주위세포가 소실되면 혈관 안정화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TIE2 수용체3) 발현이 감소한다. 이후, 혈관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ANG2 단백질4)등의 발현을 촉진하는 FOXO1 인자5)의 활성이 증가하며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가 점차 심해지는 것을 관찰했다.

두 번째 실험은 성체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안정화된 망막혈관에서 혈관주위세포를 선택적으로 소멸시켜 실험군을 만들고 혈관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혈관내피성장인자(VEGF-A)6)를 주입했다. 연구진은 실험군의 망막혈관 구조가 정상처럼 보이지만 앞선 실험과 마찬가지로 혈액-망막 장벽 파괴가 촉진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망막 혈관이 혈관 주위세포가 소실되면서 정상 혈관에 비해 외부 자극에 크게 반응하는 환경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로 혈관 주위세포가 혈액-망막 장벽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망막 내 혈관 안정화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함을 발견했다. 망막 질환의 발병 기전이 더 자세하게 규명된 만큼 혈관 주위세포와 망막 혈관의 상호작용을 회복시키는 방법을 활용한다면 보다 근본적인 치료법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고규영 단장은 "이번 연구로 혈관 주위세포의 소실이 당뇨망막병증에서의 미세 혈관 및 망막 손상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TIE2 수용체의 활성 혹은 ANG2 단백질의 억제 등의 방법이 당뇨망막병증의 새로운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 IF 11.329)7)'에 5월 16일 18시(한국시간) 게재됐다.



▲ [그림 1] 망막 혈관주위세포 소실로 파괴된 혈액-망막 장벽 망막혈관에서 정상적인 혈관 주위세포의 부착을 저해한 경우(오른쪽), 정상 생쥐와 달리 비정상적으로 굵고 불규칙한 모양의 혈관이 관찰되었다. 혈관 주위세포의 소실로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된 망막은 저산소증, 염증세포의 침윤, 혈액 누출 및 출혈 및 시각기능 소실(망막 전위도의 반응 없음)을 보였다.


▲ [그림 2] 혈관 주위세포가 없는 망막혈관에서의 TIE2-FOXO1-ANG2 신호체계의 변화 혈관 주위세포가 없는 망막혈관은 정상 망막혈관과 달리 TIE2 수용체의 발현이 감소(왼쪽)하고, FOXO1 전사인자의 활성이 증가(가운데)하며 혈관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ANG2 단백질의 생성이 증가(오른쪽)함을 확인할 수 있다.


▲ [그림 3] 혈관 주위세포가 소실되어 혈액-망막 장벽 파괴된 촉진된 현상 안정된 망막 혈관에서 선택적으로 혈관 주위세포가 소실될 경우, 정상 혈관에 비해 혈관내피성장인자(VEGF-A)에 의한 반응성이 증가한다. 그로 인해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증식하면서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가 촉진된다. 그 결과, 혈관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ANG2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고 혈액 누출도 늘어난다. 맨 오른쪽의 실험군의 경우, 혈액-망막 장벽 파괴가 촉진되면서 보이는 현상들을 차례로 확인할 수 있다.


▲ [그림 4] TIE2 수용체 활성화로 혈액-망막 장벽 파괴 감소 혈액-망막 장벽이 파괴된 당뇨 망막병증 생쥐에게 TIE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약물을 주입한 경우(오른쪽), 대조군에 비해 혈액 누출과 염증세포 침윤이 감소함을 확인했다.


▲ [그림 5] 혈관 주위세포에 의한 혈액-망막 장벽의 조절 혈관 주위세포의 혈액 망막-장벽을 조절하는 새로운 역할과 기전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혈관 주위세포가 소실되면 망막 혈관의 환경이 악화되는 악순환에 빠짐을 확인했다. 혈관 주위세포가 소실되면 망막 혈관의 혈관 내피세포는 혈관내피성장인자에 대한 반응성이 증가하고, 혈관 안정화와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이 달라진다. 혈관 안정화에 중요한 TIE2 수용체 발현이 감소하고 FOXO1 전사인자의 활성이 증가한다. FOXO1 전사인자는 혈관 불안정성과 관련된 ANG2, ESM1, VEGFR2 등의 단백질을 생성하는데, 이는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를 촉진시킨다. 증가된 ANG2 단백질은 다시 TIE2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면서 혈액-망막 장벽을 파괴시키는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한다.

1)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병에 의한 망막의 미세혈관 합병증. 시간이 지나면 황반 부종, 유리체 출혈, 안구 내 망막이 벗겨져는 망막박리 등 시력을 위협하는 다양한 병변이 발생한다. 저산소증에 빠진 망막으로부터 생성된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에 의해 망막 내 신생혈관이 병적으로 생성되면서 악순환에 빠진다. 현재는 혈관내피성장인자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anti)-혈관내피성장인자 치료가 당뇨 망막병증 관련 합병증 치료에 널리 쓰이고 있다.

2) 혈액-망막 장벽(Blood-retinal barrier): 망막 혈관 주위세포는 아교세포와 혈관내피세포 주위를 감싸며 혈액-망막 장벽을 구성한다. 혈액-망막 장벽은 말 그대로 혈액 내 물질들의 비정상적인 이동을 차단하며, 시각 기능에 중요한 망막 내 신경세포를 보호한다.

3) TIE2 수용체 : 혈관 내피세포 표면에 존재하며 혈관의 분화와 안정을 촉진하는 단백질로 활성화되면 혈관 내피세포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4) ANG2 단백질: ANG2(Angiopoietin-2) 단백질은 TIE2 수용체와 같이 혈관 건강에 관여하는 인자다. TIE2 수용체에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혈관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혈관 누출을 유발한다.

5) FOXO1 인자: 지방 형성, 인슐린에 의한 글루코스 대사, 세포 사멸, 세포주기 조절 등 다양한 생물학적 반응과 관련된 단백질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이다.

6)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혈관형성과 혈관 신생을 자극하는 단백질

7)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 네이처 출판그룹(NPG)에서 발행하며,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 등 자연과학 분야를 망라하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로, 피인용지수(Impact Factor)는 11.329이다.

  • [연합뉴스TV] ‘실명 위협’ 당뇨망막병증…치료 실마리 찾았다
  • [금강일보] 망막내 혈관 주위 세포 소실, 당뇨 망막병증 악화
  • [헬로디디] '당뇨병 망막병증' 악화 원인?···망막 혈관 주위세포 소실
  • [디지털타임스] 망막 내 혈관 주위세포 소실이 당뇨 망막변증 악화 시켜
  • [서울경제] 당뇨 망막병증 원인 밝혀졌다
  • [연합뉴스] 국내 연구진이 '실명 유발' 당뇨 망막병증 악화 원인 찾았다
  • [아시아경제] 망막 혈관 주위세포 없어지면 '당뇨병 망막병증' 악화
  • [전자신문] IBS 연구팀, 당뇨병 망막병증 악화 원인 밝혀
  • [네이버뉴스] "망막 혈관세포 소실, 당뇨 망막병증 악화 원인"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커뮤니케이션팀 : 권예슬   042-878-8237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