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상세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존 Cas9 유전자 가위 기술은 Cas9 단백질의 큰 크기로 인해 바이러스 벡터 전달 효율이 낮고 비표적 효과 발생 문제가 있었습니다. 본 기술은 Cas9 단백질을 N-말단 및 C-말단 두 개의 분할 도메인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재조합 벡터에 패키징합니다. 이 벡터들을 세포 내에 도입하면 두 도메인이 융합하여 온전한 Cas9으로 기능하며, 이를 통해 대형 Cas9 단백질의 세포 내 전달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특히 이 분할 Cas9 시스템은 야생형 Cas9 대비 표적 특이성을 최대 220배까지 향상시켜 비표적 효과를 최소화합니다. 유전자 치료 및 유전체 교정 분야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입니다.
기술 분야 | 유전자 편집 기술 |
판매 유형 | 자체 판매 |
판매 상태 | 판매 중 |
기술명 | |
두 개의 벡터로부터 발현된 Cas9 단백질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방법 | |
기관명 | |
기초과학연구원 | |
대표 연구자 | 공동연구자 |
김진수 | - |
출원번호 | 등록번호 |
1020150162799 | - |
권리구분 | 출원일 |
특허 | 2015.11.19 |
중요 키워드 | |
유전체 교정바이러스 벡터생명공학 기술유전자 편집재조합 벡터Split-Cas9유전자 치료제유전자 조작표적 특이성 향상Cas9 단백질유전자 발현 조절Cas9차세대 유전자 기술CRISPR 유전자 가위Indel 유도유전공학제약기술바이오산업첨단 바이오바이오 치료제 |
기술이전 상담신청
연구자 미팅
기술이전 유형결정
계약서 작성 및 검토
계약 및 기술료 입금
보유 기술 로딩 중...
인기 게시물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