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상세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존 CRISPR/Cas9 시스템은 Cas9 유전자의 큰 크기 때문에 바이러스 벡터를 통한 세포 내 전달 효율이 낮고, 비표적 효과 발생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본 기술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Cas9 단백질을 N-말단 및 C-말단 두 개의 기능적 도메인으로 분할합니다. 각 분할된 도메인은 별도의 재조합 벡터에 담아 세포 내로 도입되며, 세포 내에서 이 두 도메인이 성공적으로 융합하여 온전한 Cas9 단백질로서 유전자 편집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스플릿 Cas9' 기술은 기존 Cas9 대비 최대 220배 향상된 표적 특이성을 보이며, 바이러스 벡터를 통한 효율적인 유전자 전달 및 발현 조절을 가능하게 합니다. 유전체 교정, 유전자 발현 조절 등 다양한 생명공학 및 의약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기술 분야 | 유전체 교정 기술 |
판매 유형 | 자체 판매 |
판매 상태 | 판매 중 |
기술명 | |
두 개의 벡터로부터 발현된 Cas9 단백질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방법 | |
기관명 | |
기초과학연구원 | |
대표 연구자 | 공동연구자 |
김진수 | - |
출원번호 | 등록번호 |
1020180005097 | 1020215850000 |
권리구분 | 출원일 |
특허 | 2018.01.15 |
중요 키워드 | |
유전체 교정바이러스 벡터생명공학 기술AAV 벡터유전자 변형유전자 편집재조합 벡터split-Cas9유전자 치료제표적 특이성Cas9 단백질CRISPR-Cas9유전자 가위유전자 발현 조절세포 내 전달유전공학바이오산업첨단 바이오바이오 치료제 |
기술이전 상담신청
연구자 미팅
기술이전 유형결정
계약서 작성 및 검토
계약 및 기술료 입금
보유 기술 로딩 중...
인기 게시물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