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상세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존 유전자 가위 기술은 마이크로 상동으로 인한 인-프레임 돌연변이로 유전자 녹아웃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본 기술은 뉴클레아제 표적 서열 내 마이크로 상동 정보를 분석하여 out-of-frame 결실 빈도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서열의 크기, 간격, 염기쌍 에너지 등을 반영한 패턴 스코어를 기반으로 마이크로 상동 스코어 및 out-of-frame 스코어를 산출하는 컴퓨터 기반 채점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유전자가 효과적으로 녹아웃될 최적의 표적 서열을 선정하여 배양 세포, 식물, 동물 등 다양한 시스템에서 정밀한 유전자 조작이 가능해집니다. 생명과학 및 임상 연구, 유전자·세포 치료 분야에 혁신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술 분야 | 유전자 편집 기술 |
판매 유형 | 자체 판매 |
판매 상태 | 판매 중 |
기술명 | |
마이크로 상동 기반의 유전자 녹아웃을 위한 뉴클레아제 표적 서열을 확인하는 방법 | |
기관명 | |
기초과학연구원 | |
대표 연구자 | 공동연구자 |
김진수 | - |
출원번호 | 등록번호 |
1020150058304 | 1018236610000 |
권리구분 | 출원일 |
특허 | 2015.04.24 |
중요 키워드 | |
CRISPR Cas9TALENs생명공학 기술마이크로 상동유전자 편집유전자 분석표적 서열 선택뉴클레아제 표적유전자 가위 기술Out-of-frameZFNs임상 연구 활용DNA 돌연변이유전자 녹아웃In silico 예측데이터처리인공지능생체분석유전공학제약기술바이오산업첨단 바이오바이오 치료제알고리즘 |
기술이전 상담신청
연구자 미팅
기술이전 유형결정
계약서 작성 및 검토
계약 및 기술료 입금
보유 기술 로딩 중...
인기 게시물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