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상세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노화로 인한 해마 기능 감소는 기억 및 학습 능력 저하, 나아가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이어집니다. 본 기술은 노화된 해마에서 miR-204의 발현이 증가하고, 이것이 핵심 조절 수용체인 EphB2의 발현을 낮춰 NMDA 수용체의 뉴런 표면 발현 감소와 수상돌기 밀도 저하를 유발하는 현상을 규명했습니다. 이 상관관계를 활용하여, 환자 유전자 시료에서 miR-204-5p 발현 및 NMDA 수용체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해마 기능 감소 여부를 정확히 판단합니다. 또한, miR-204-5p의 발현이나 활성을 저해하는 제제를 활용하여 NMDA 수용체 발현을 증가시켜 기능 감소를 억제하며, 효과적인 치료제 후보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기술은 기억력 감퇴, 인지기능 저해, 치매 등 해마 기능 이상 관련 질환의 진단 및 예방/치료에 기여하며, 나아가 뇌졸중, 조현증 등 NMDA 수용체 관련 질병 치료제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기술 분야 |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 |
| 판매 유형 | 자체 판매 |
| 판매 상태 | 판매 중 |
| 기술명 | |
| 마이크로 rna와 nmda 수용체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해마의 기능감소 판단 방법, 기능감소 억제 방법 및 기능감소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 | |
| 기관명 | |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초과학연구원 | |
| 대표 연구자 | 공동연구자 |
| 남홍길 | - |
| 출원번호 | 등록번호 |
| 1020150086823 | 1018148680000 |
| 권리구분 | 출원일 |
| 특허 | 2015.06.18 |
| 중요 키워드 | |
치매 진단법신약 개발 스크리닝뇌 과학 연구해마 기능감소NMDA 수용체노화 방지 기술뇌 기능 개선알츠하이머 치료제신경 세포 보호EphB2miR-204기억력 저하바이오마커 기술신경 퇴행성 질환유전자 발현생체분석유전공학제약기술바이오산업첨단 바이오바이오 치료제 | |
기술이전 상담신청
연구자 미팅
기술이전 유형결정
계약서 작성 및 검토
계약 및 기술료 입금

보유 기술 로딩 중...
인기 게시물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