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남홍길

남홍길

소속

기초과학연구원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휴직·퇴직 중인 연구자인 경우 연구협력 요청이 제한됩니다.

AI요약

남홍길 연구자는 식물의 노화 지연 및 수명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일주기 시계 주기 조절을 통한 식물 노화 지연 방법, 질소 이용 효율 및 생산성이 개선된 식물 개발, 초주기 리듬 기반의 식물 뿌리 재생 촉진 등 다양한 관점에서 식물 생명 현상을 탐구합니다. 특히 OsAMT1;2, OsGOGAT1, OsSGR, OsASN1 유전자 등 특정 유전자의 형질전환을 통해 작물의 수확량을 증대하고 질소 비료 사용량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농업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RNA 기반 표적 DNA 편집 기술과 마이크로RNA(miR-210, miR-10a-5p) 연구를 통해 노화 관련 대사 질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및 예방 분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예쁜꼬마선충 모델을 활용한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및 근육 노화 평가 방법 개발 등, 식물과 동물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노화 연구를 통해 농업의 경제적 가치 증진은 물론, 인간의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남홍길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남홍길
직책연구원
이메일-
재직 상태퇴직
부서 학과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사무실 번호-
연구실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
소속기초과학연구원

경력정보

회사명기초과학연구원(IBS)
재직기간-
담당업무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연구원

중요 키워드

#질소이용효율#벼연구#시스템생물학#식물수명#마이크로RNA#예쁜꼬마선충#인지기능장애#분자생물학#뿌리재생#식물노화#대사질환#식물생명공학#작물생산성#유전자편집#항노화

연구 분야

연구 1식물 노화 지연 및 작물 생산성 증진
내용본 연구실은 식물의 노화 지연 및 수명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응용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 기술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일주기 시계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식물의 노화를 효과적으로 지연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는 과일, 채소, 꽃 등 농산물의 상품성 유지 기간을 경제적으로 연장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OsAMT1;2 및 OsGOGAT1 유전자의 이중 활성화 태깅 돌연변이 유도를 통해 질소 이용 효율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된 식물을 개발했습니다. 이 형질전환 식물은 질소 제한 조건에서도 작물 수확량을 증가시키고 비료 사용량을 감소시켜 환경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초주일 리듬(UR)이 신규 뿌리 재생(DNRR)의 양성 조절인자임을 밝혀내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식물의 뿌리 재생 촉진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아울러 OsSGR 프로모터를 활용하여 벼의 노화를 지연시키고 수량을 증진시키는 기술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유전자 조절을 통해 작물의 생육과 생산성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업 분야의 혁신을 이끌어 식량 안보 강화 및 경제적 가치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 2RNA 기반 유전자 조절 및 질병 진단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RNA 기반의 정밀 유전자 편집 기술과 마이크로RNA(miRNA) 연구를 통해 생명 현상의 핵심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인간 질병의 진단 및 예방에 응용하는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RNA를 이용한 표적 DNA 편집 방법 및 조성물 개발을 통해 유전자 수준에서의 정교한 제어가 가능하며, 이는 유전자 치료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 RNA miR-210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관련 대사질환 방지용 조성물을 개발하고 그 스크리닝 방법을 확립했습니다. 이는 자식작용(autophagy) 활성화를 유도하여 대사질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마이크로 RNA와 NMDA 수용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해마의 기능감소를 판단하고, 이를 억제하는 방법 및 억제제 스크리닝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인지 기능 장애 질환 연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miR-10a-5p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의 용도 개발 역시 중요한 성과입니다. 이러한 RNA 기반 연구는 노화 관련 대사 질환 및 신경 퇴행성 질환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인간의 건강 증진에 실질적인 기여를 목표로 합니다.
연구 3모델 생물 활용 통합적 노화 연구
내용본 연구실은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과 같은 모델 생물 시스템을 활용하여 노화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밝히고, 항노화 물질을 발굴하는 통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글루타민 tRNA 5' 말단 유래 단편(Gln 5' tRF)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예쁜꼬마선충을 개발하여 노화가 억제된 동물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항노화 메커니즘 규명 및 신약 개발 스크리닝에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선충의 노화 관련 운동성 측정을 통한 수명 예측 및 근육 노화 상태 평가 방법을 확립했습니다. 이 방법은 선충의 최고 이동 속도(MV) 및 미토콘드리아 형태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노화 정도를 평가하며, 이를 통해 노화 조절에 관여하는 화합물 및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 생물 기반 연구는 복잡한 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통찰력을 제공하며, 식물과 동물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노화 연구의 한 축을 담당합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인간의 노화 과정을 이해하고, 노화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개발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학력

학력 사항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생화학 박사 (1985) 서울대학교 화학 학사 (1982)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