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명경재 연구단장은 DNA 복구 및 게놈 안정성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세포 내 DNA 손상 복구 메커니즘을 분자적 수준에서 심층 연구하고 있습니다. 암, 노화, 인류 진화 등 인류의 최대 관심사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며, 특히 유전체 교정 기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연구를 선도합니다. 유전자 녹아웃 스크리닝을 통한 기능 연구와 인간 줄기세포에 유전체 교정 기법을 도입한 세포 은행 구축을 통해 난치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동물 모델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DNA 복제 및 손상 복구 과정을 탐색하며, 궁극적으로 인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명경재 |
| 직책 | 연구단장 |
| 이메일 | kmyung@ibs.re.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522175323 |
| 연구실 | 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ibs.re.kr/cgi/ |
| 홈페이지 | https://centers.ibs.re.kr/html/cgi/people/people_0301.html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회사명 |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재직기간 | 2014.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울산과학기술원 특훈교수로서 DNA 복구 및 게놈 안정성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학술 위상 제고에 기여 |
| 회사명 | Institute for Basic Science |
| 재직기간 | 2014.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장으로서 연구단 운영 총괄 및 DNA 복구, 게놈 안정성 분야의 핵심 연구 수행, 네이처, 셀, PNAS 등 저명 국제 저널에 40여 편의 논문 발표 |
| 회사명 | KAIST |
| 재직기간 | 2013.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KAIST 생명과학과 겸임교수로서 관련 분야 강의 및 연구 지도를 통해 후학 양성 및 학술 교류 증진 |
| 회사명 | UNIST |
| 재직기간 | 2013.01.01 ~ 2014.12.31 |
| 담당업무 | UNIST 나노-바이오융합화학공학과 겸임교수로서 생명공학 분야 전문 지식 전파 및 융합 연구 기반 마련 |
| 회사명 | POSTECH |
| 재직기간 | 2011.01.01 ~ 2014.12.31 |
| 담당업무 | POSTECH 분자생명과학부 겸임교수로서 관련 분야 교육 및 연구 협력을 통해 학제 간 시너지 창출 |
| 연구 1 | DNA 복구 및 게놈 안정성 연구 |
| 내용 | 명경재 연구단은 세포 내 DNA 손상 복구 메커니즘을 분자적 수준에서 심층 연구하며 유전체 항상성을 유지하는 근본 원리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DNA 손상 유형에 대응하는 복구 경로들을 세부적으로 탐색하고, 이러한 과정이 생명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암, 노화, 진화와 같은 인류의 주요 관심사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동물 모델(예: C. elegans) 등 다각적인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DNA 복제 및 손상 복구 기작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특히, DNA 손상을 인지하고 유전 정보를 보존하는 세포의 정교한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유전자 녹아웃 스크리닝과 같은 고급 기법을 적용하여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또한, DNA 복구 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화학 물질들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조절 방법을 개발하여 기초 연구를 넘어선 응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유전체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의 발병 기전을 이해하고, 궁극적으로는 암, 퇴행성 질환, 노화 등 난치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에 필수적인 기반 지식을 제공합니다. 연구 결과는 PNAS, Nature Communications 등 세계적인 학술지에 게재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인류 건강 증진과 생명 과학 발전이라는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유전체 교정 기술 개발 및 난치성 질환 치료 |
| 내용 | 명경재 연구단은 혁신적인 유전체 교정 기술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교정 기술은 유전적 결함을 직접적으로 치료하거나 질병 관련 유전자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서, 난치성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차세대 유전체 교정 기술의 개발과 최적화를 통해 인류 난치병 극복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CRISPR-Cas9과 같은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하여 암 특이적 InDel 돌연변이를 정밀하게 표적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종양 세포만을 선별적으로 공격하는 새로운 암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간 줄기세포에 유전체 교정 기법을 도입하여 세포 은행을 구축함으로써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모델링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플랫폼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연구 과정에서 유전자 녹아웃 스크리닝을 통해 질병과 관련된 핵심 유전자를 발굴하고, 교정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의 성과는 UNIST 교원 창업 기업 '카스큐어세라퓨틱스'로의 기술이전(유전자가위 기술 활용 암 치료 기술)을 통해 이미 상업화 가능성을 입증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이전은 연구실의 혁신적인 유전체 교정 기술이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다수의 한국 및 미국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전자조작/전달기술' 분야의 국가 기술 지도에도 기여함으로써 난치성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제공하고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 연구 3 | 암 및 노화의 분자적 메커니즘 규명 |
| 내용 | 명경재 연구단은 인류의 주요 관심사인 암과 노화 현상을 DNA 복구 및 게놈 안정성 관점에서 심도 있게 연구하며, 이들 질병의 근본적인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DNA 손상이 축적되거나 복구 기능이 저하될 때 암 발생 및 노화가 촉진되는 현상에 주목하여, 그 연결 고리를 밝혀내고 새로운 진단 및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는 세포 내 DNA 손상 복구 경로와 게놈 안정성 유지 시스템이 암 발생과 노화 과정에서 어떻게 오작동하는지를 분자적 수준에서 면밀히 분석합니다. 특히, p53과 같은 종양 억제 유전자가 조혈모세포 의존성 Notch 전사를 매개하는 역할(NATURE CELL BIOLOGY, 2021)이나, ATAD5 단백질이 복제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RAD51 및 PCNA를 조절함으로써 복제 재시작을 촉진하는 메커니즘(NATURE COMMUNICATIONS, 2019) 등 특정 유전자 및 단백질의 기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DNA 복제 및 손상 복구의 핵심 플레이어들을 발굴하고 그들의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기여합니다. 연구단은 암과 노화의 발병 및 진행에 DNA 복구 시스템의 이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암 예방, 진단, 치료 및 건강한 노화 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합니다. 연구 결과는 PNAS, NATURE CELL BIOLOGY, NATURE COMMUNICATIONS 등 최고 권위의 학술지에 발표되어 학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암 및 노화 관련 질환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혁신적인 치료 접근법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활동 내용 | [수상 내역] - 2017 Genetic Society of Korea Scholar of the Year - 2014 Scientist of the year Award from KSEA and KOFST - 2013 Outstanding Service award from KSEA Washington Metro Chapter, US Government Service Award - 2012 Director of the year 2012 award from KSEA - 2008 Bea Singer Young Investigator Award - 2008 US Government Service Award - 2006 Society of Biomedical Research/ChongKeunDang Award - 2002 Sewoohue Award for Research Achievement - 2001 James Kerr Award for Research Excellence [기술이전] - 다수의 한국 및 미국 특허 보유 (한국 특허 10-2021-0108KR, 10-2020-0081538, 10-2019-0157333, 미국 특허 61/930,291 등) - 유전자가위 기술 활용 암 치료 기술이 UNIST 교원 창업 기업 '카스큐어세라퓨틱스'로 기술이전 (IBS와 UNIST 특허권 공유) [기술지도] - "국가기술지도분류" 중 "유전자조작/전달기술" 분야 |
| 학력 사항 | Ph.D. Brown University Molecular Biology, Cell Biology and Biochemistry (1999) M.S. Seoul National University Molecular Biology (1993) B.S. Seoul National University Zoology (1991)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