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조문호

조문호

소속

기초과학연구원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 연구단)

AI요약

조문호 교수는 반데르발스 양자 소재 분야의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원자 정밀도의 반데르발스 이종 구조 에피택시 성장 기술 개발을 통해 차세대 양자 기술 플랫폼을 위한 혁신적인 소재를 구현합니다. 나아가 새로운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에서의 광학 및 전자 소자 물리학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이를 통해 고성능 전자 및 광전자 소자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연구 초기에는 하프-메탈 망가나이트의 전자-스핀 터널링, 나노 스케일 재료의 저온 전자 수송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후 합금 반도체 나노와이어 및 나노와이어 광전자 소자의 에피택시 성장에 집중했습니다. 최근에는 빛-물질 상호작용과 새로운 반데르발스 이종 구조의 에피택시 성장을 연구하며, 새로운 양자 기술 시대를 이끌 핵심 소재 플랫폼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조문호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조문호
직책연구단장
이메일mhjo@postech.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반데르발스 양자 물질 연구단
사무실 번호0542792158
연구실IBS 반데르발스 양자고체 연구단
연구실 홈페이지https://www.ibs.re.kr/vdwqs
홈페이지https://centers.ibs.re.kr/html/vdwqs/members/members_0201.html
소속기초과학연구원

경력정보

회사명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
재직기간2022.01.01 ~ 재직 중
담당업무반데르발스 양자고체 연구단장으로서 새로운 양자 기술 물질 플랫폼 구축 및 반도체 나노소재 분야 연구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특히 원자 단위 정밀도로 반데르발스 이종 구조를 성장시키고, 새로운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의 광학적, 전자적 장치 물리학을 탐구하는 데 주력합니다.
회사명POSTECH
재직기간2018.01.01 ~ 재직 중
담당업무신소재공학과 무은재 석좌교수로서 첨단 소재 및 양자 물질 연구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후학 양성 및 학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회사명POSTECH
재직기간2013.01.01 ~ 재직 중
담당업무신소재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나노 스케일 재료 및 소자, 반도체 분야의 심층 연구를 수행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회사명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
재직기간2013.01.01 ~ 2021.12.31
담당업무인공 저차원 전자 시스템 센터 부단장으로서 연구 기획 및 운영에 참여하며, 저차원 전자 시스템 분야의 연구 성과 창출에 기여했습니다.
회사명POSTECH
재직기간2018.01.01 ~ 2019.12.31
담당업무교수협의회 의장으로서 학내 주요 정책 결정 및 교수진의 의견을 대변하며 대학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회사명POSTECH
재직기간2011.01.01 ~ 2018.12.31
담당업무세아 젊은 석좌교수로서 나노 물질의 성장 및 응용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학술적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회사명Yonsei University
재직기간2012.01.01 ~ 2013.12.31
담당업무신소재공학과 부교수로서 반도체 소재 및 소자 관련 연구 및 교육 활동을 활발히 수행했습니다.
회사명POSTECH
재직기간2008.01.01 ~ 2012.12.31
담당업무신소재공학과 부교수로서 나노 재료의 광학적, 전자적 특성 연구를 심화하고, 학부 및 대학원생 교육을 담당했습니다.
회사명POSTECH
재직기간2004.01.01 ~ 2008.12.31
담당업무신소재공학과 조교수로서 저차원 나노 물질 및 반도체 나노와이어 에피택시 성장 기술 개발에 기여하며 연구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중요 키워드

#디스플레이#기술사업화#이종구조#촉매없는성장#에피택시#반도체#반데르발스#재료과학#나노와이어#양자물질#나노소자#플렉서블소자#양자기술#광전자#전자물리학

연구 분야

연구 1반데르발스 양자 소재 합성 및 이종 구조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차세대 양자 기술 플랫폼 구축을 위한 혁신적인 반데르발스 양자 소재 합성 및 이종 구조 에피택시 성장 기술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원자 단위의 정밀도로 서로 다른 반데르발스 물질을 층층이 쌓아올리는 에피택시 성장 기법을 통해, 기존 재료에서는 구현 불가능했던 새로운 물리적 특성을 가진 이종 구조를 개발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양자 컴퓨팅, 양자 통신, 고성능 센서 등 미래 양자 기술의 핵심 기반을 제공하며, 원자 수준에서의 완벽한 제어를 통해 소재의 기능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결함 없는 계면 제어와 높은 결정성을 가진 이종 구조 합성 능력은 당 연구실의 독보적인 강점이며, 이를 통해 양자 정보 처리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개발된 소재는 상용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대면적 성장 기술로 확장되어, 실제 산업 응용에 필요한 생산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도적인 연구는 미래 양자 기술 시대를 앞당기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연구 2양자 물질 기반 광학·전자 소자 물리학
내용본 연구실은 새로운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에서 발현되는 독특한 광학적 및 전자적 장치 물리학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이를 통해 고성능 전자 및 광전자 소자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빛-물질 상호작용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양자 효과를 극대화한 소자의 설계 및 구현에 주력합니다. 연구 초기에는 하프-메탈 망가나이트의 전자-스핀 터널링과 나노 스케일 재료의 저온 전자 수송 현상을 분석하며 기초 물성에 대한 이해를 쌓았으며, 이는 현재의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 연구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당 연구실은 초고속 스펙트로스코피, 나노 스케일 전기적 측정 등 첨단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양자 물질 내에서의 전하 및 에너지 이동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외부 자극(전기장, 빛 등)에 따른 소자 성능 변화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LED), 태양전지, 초고속 트랜지스터, 양자 센서 등 차세대 광전자 및 전자 소자의 성능 한계를 돌파하는 데 기여하며, 궁극적으로는 정보 통신 기술의 혁신을 이끌 것입니다.
연구 3나노 스케일 반도체 소자 및 통합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나노 스케일 반도체 재료의 광학적, 전자적 특성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이를 활용한 혁신적인 소자 개발 및 통합 기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합금 반도체 나노와이어 및 이차원 반도체의 에피택시 성장에 대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기존 실리콘 기반 소자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과거 나노와이어 광전자 소자 개발에 집중했던 경험을 살려, 현재는 반데르발스 이종 구조를 이용한 초소형, 고효율 전자 및 광전자 소자 구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원자 단위의 제어 기술을 통해 나노 스케일 재료의 밴드 구조를 최적화하고, 이를 통해 저전력, 고속 동작이 가능한 차세대 반도체 소자를 설계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플렉서블 전자 소자, 고집적 메모리 및 인공지능 칩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재료 과학과 소자 물리학의 융합을 통해 실제적인 산업적 가치와 미래 기술 경쟁력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나노 기술 기반의 새로운 반도체 시대를 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학회/위원회 활동] - Nano Letters 편집 자문 위원 (American Chemical Society, 2023~)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준회원 (2016-) - 대한금속재료학회 융합재료과학분과 의장 (2013, 2017-2019) - 한국반도체학술대회 나노과학기술분과 의장 (2010-2013) -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편집 위원 (2009-) -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편집 위원 (2007-2014) - Electronic Materials Letters 편집 위원 (2007-2014) - American Physical Society 회원 (1998-) - Materials Research Society 회원 (1995-) - American Chemical Society 회원 (2004-) - Institute Of Physics 회원 (1998-) - 대한금속재료학회 회원 (2004-) - 한국물리학회 회원 (2004-) - 대한화학회 회원 (2004-) - 한국세라믹학회 회원 (2004-) [수상 내역] - 대한금속재료학회 LS 학술상 (2017) - Cambridge 해외학회 펠로우 (2000-) - Cambridge 해외 트러스트 어워드 (1998-2001) - 일본 정부 장학금 (1997-1998) - 연세대학교 총장 우수 논문상 (1997) - 서암 학술재단 장학금 (1996-1997)

학력

학력 사항Postdoctoral Research Fellow Harvard University Chemistry/Physics (2004) Ph.D. University of Cambridge Materials Science (2001) Visiting Scholar University of Tokyo Electrical Engineering (1998) Master Yonsei University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1997) Bachelor Yonsei University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1995)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