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고규영 교수는 IBS 혈관연구단장으로서 혈관 및 림프관의 생성, 유지, 병리 특이성에 대한 세계 선도적인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혈관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COMP-Ang1, DAAP, ABTAA 등)을 발견하고 그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장기별 모세혈관 및 림프관의 생성, 유지 기전, 질병 시 변화 양상, 핵심 분자 물질 규명에 집중하며, 종양 혈관 및 특수 림프관(예: 수막 림프관)의 특성과 조절에 대한 획기적인 발견들을 통해 난치성 혈관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법 모색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심장근 재생을 위한 심장줄기세포 생성 및 분화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 망막병증, 심부전 등 심혈관계 난치 질환의 원인 규명 및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며 생명 과학 및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고규영 |
| 직책 | 연구단장 |
| 이메일 | -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혈관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423505638 |
| 연구실 | 혈관연구단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ibs.re.kr/kor/sub02_05_08.do |
| 홈페이지 | https://vascular.ibs.re.kr/people/director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회사명 | 기초과학연구원(IBS)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IBS 혈관연구단 단장 (2013–현재) |
| 회사명 | KAIST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석좌교수 |
| 연구 1 | 혈관 및 림프관 생성 및 기능 조절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혈관 및 림프관의 생성, 유지, 그리고 장기 특이적인 병리 기전에 대한 세계 선도적인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장기에서 모세혈관 및 림프관이 어떻게 생성되고 유지되는지, 질병 발생 시 어떤 변화를 겪는지,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조절하는 핵심 분자 물질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집중합니다. 혈관생성을 촉진하는 COMP-Ang1, DAAP, ABTAA 등 독자적인 단백질들을 발견하고 이들의 복잡한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독보적인 역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모세혈관을 구성하는 혈관내피세포와 주위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핵심 분자 기전 연구를 통해 기존의 개념을 뛰어넘는 성과를 목표로 합니다. 신체 체액 및 면역 반응 조절에 중요한 림프관의 장기별 특성과 질병 상황에서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여 혈관 생물학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초 연구는 혈관 및 림프관 관련 난치성 질환의 근본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맞춤형 재생 치료법 개발의 핵심 기반이 됩니다. 암 혈관 및 특수 림프관(예: 뇌수막 림프관)의 특성과 조절에 대한 획기적인 발견은 다양한 질환의 진단 및 치료 전략 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생명 과학 및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난치성 혈관 질환 병리 기전 및 치료법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혈관 및 림프관의 병리 특이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암, 망막병증, 심부전 등 주요 난치성 혈관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법을 모색하고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질병 상황에서 혈관 및 림프관이 변화하는 양상과 이를 조절하는 핵심 분자 물질을 규명함으로써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새로운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혈관생성 촉진 단백질(COMP-Ang1, DAAP, ABTAA 등)의 발견과 그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종양 혈관의 특성과 조절 기전에 대한 획기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뇌수막 림프관과 같은 특수 림프관의 기능과 조절에 대한 선도적인 연구는 신경 퇴행성 질환과의 연관성 등 새로운 병리 기전 해석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혈액계 난치병 치료에 활용 가능한 혈액줄기세포 분리 및 국내 특허 등록, 해외 PCT 출원 등의 성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지식과 기술은 암, 망막병증,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난치성 혈관 질환의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혈관생성 조절 물질의 개발은 신개념 암 치료제 개발과 백신 효율 증가를 위한 항원 전달 연구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실제 산업화 및 기술이전사업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심장근 재생을 위한 줄기세포 기술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손상 시 재생 능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심장근의 재생 방법을 개척하기 위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효율적인 심장근 재생을 위해 심장줄기세포의 생성 및 분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심장근 줄기세포를 동정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며, 이를 고효율로 생산하고 심장근 재생에 적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에 연구단이 확립한 다양한 방법론과 기술들을 활용하는 동시에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새로운 기법들을 개발하는 데 주저하지 않으며 연구의 독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은 심장 재생 분야의 난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새로운 심장근 줄기세포의 발견과 효율적인 적용 방법 개발은 심혈관계 질환, 특히 심부전과 같은 질환으로 손상된 심장근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혁신적인 치료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는 미래 재생의학 분야의 핵심 기술로 발전하여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심장 질환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활동 내용 | [수상내역] - Kyung-Am Prize 수상 (2011) - Asan Award in Medicine 수상 (2012) - Ho-Am Prize in Medicine 수상 (2018) |
| 학력 사항 | 전북대학교 의학박사 생리학 (1991)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 (1985)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1983)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