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박정영

박정영

소속

기초과학연구원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휴직·퇴직 중인 연구자인 경우 연구협력 요청이 제한됩니다.

AI요약

정영 박 교수는 KAIST 화학과 및 EEWS대학원 소속으로, IBS 나노물질 및 화학 반응 연구단에서 활동하며 물질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 및 물리적 현상 규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물질 기반의 촉매 연구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신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변환, 저장, 환경 정화 등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핵심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며, 기초 과학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산업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서 학문적, 기술적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박정영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박정영
직책부연구단장
이메일jeongypark@kaist.ac.kr
재직 상태퇴직
부서 학과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사무실 번호0423501713
연구실표면과학 촉매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cale.kaist.ac.kr
홈페이지-
소속기초과학연구원

중요 키워드

#열전자#나노촉매#주사탐침현미경#표면화학#나노기술#수소생산#광촉매#에너지변환#촉매반응#재료과학#신소재#일산화탄소환원#태양전지#이산화탄소전환

연구 분야

연구 1표면화학 및 나노물질 반응 메커니즘
내용정영 박 교수는 물질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 및 물리적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 스케일에서의 표면 과학적 특성이 촉매 활성 및 선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며, 주사탐침현미경(STM)과 같은 첨단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반응 메커니즘을 원자 수준에서 규명합니다. 본 연구실은 표면 동역학, 전자 구조, 흡착/탈착 과정 등 미시적인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반응 경로를 최적화하고 새로운 반응 경로를 발굴하는 데 기여합니다. 열전자 동역학을 포함한 표면에서의 에너지 전달 과정을 밝혀내어, 새로운 촉매 설계 및 반응 효율 향상을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다양한 나노물질 표면에서의 독특한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제어함으로써, 차세대 촉매 및 에너지 변환 소자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과학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는 재료 과학 및 신소재 개발의 핵심 원천 기술이 됩니다.
연구 2나노물질 기반 고효율 촉매 기술
내용본 연구는 나노물질을 활용한 고효율 촉매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특히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나노촉매 기술을 연구합니다. 핫전자 현상을 이용한 광촉매 및 하이브리드 역촉매 개발은 낮은 에너지 투입으로도 높은 반응 활성을 얻을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촉매는 수소 생산, 일산화탄소 환원, 이산화탄소 전환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 및 환경 정화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은 촉매 반응의 효율을 결정하는 나노 구조의 설계 원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표면 엔지니어링을 통해 최적의 활성과 안정성을 갖춘 나노촉매를 설계 및 합성하는 데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개발된 촉매 시스템은 실제 산업 공정에 적용될 수 있도록 스케일업 가능성과 경제성을 함께 고려하며, 다양한 재료 과학 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촉매 재료를 탐색하고 있습니다.
연구 3차세대 에너지 변환 및 환경 기술
내용정영 박 교수의 연구실은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핵심 기술 확보를 목표로 차세대 에너지 변환 및 환경 정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핫전자 기반 태양광 에너지 소자와 그래핀 나노다이오드를 활용한 광전 효율 증폭 기술은 기존 태양전지의 한계를 뛰어넘어 고효율 에너지 생산의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3차원 핫전자 소자' 개발을 통해 태양전지 효율을 18배 높이는 성과를 달성하는 등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에너지 고갈 문제에 대응하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환경 정화 촉매 연구를 통해 대기 오염 물질 제거 및 유해 물질 분해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기초 과학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실제 산업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서 학문적, 기술적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박사 서울대학교 물리학 (1999) 석사 서울대학교 물리학 (1995) 학사 서울대학교 물리학 (1993)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