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빛내리

김빛내리

소속

기초과학연구원 (RNA 연구단)

AI요약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은 RNA를 통한 유전체와 생명현상의 비밀을 탐구하며, RNA에 의한 세포 운명 제어 메커니즘 규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RNA의 생성 및 조절 원리, 그리고 그 생물학적 기능을 심도 깊게 연구하고 있으며, 유리딘화와 아데닐화를 통한 마이크로RNA 변형이 줄기세포 및 배아 발생에 기여함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RNA 생성 효소인 DROSHA의 구조를 규명하고, 퇴행성 관절염 발생을 유도하는 miR-204를 발견하는 등 마이크로RNA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mRNA 말단 꼬리 변형의 새로운 종류를 발견하고, 유리딘, 아데닌, 혼합꼬리 등 다양한 꼬리 변형이 mRNA의 안정성과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유전자 조절의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RNA 결합 단백질이 세포주기, 세포사멸, 장기기억 형성 등 다양한 생체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 RNA-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분자세포생물학, 생화학, 구조생물학, 생물정보학, 단백체학 등 다학제적 접근을 활용하여 RNA 연구 기법과 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SARS-CoV-2 Transcriptome 분석과 같은 최신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바이러스의 RNA 꼬리 변형 효소 활용 방식 연구를 통해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기여하고, RNA-단백질 복합체 연구를 암, 감염성 질환, 퇴행성 질환, 줄기세포 공학 분야에 확장하여 정밀 의료 및 생명과학 발전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빛내리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빛내리
직책연구단장
이메일narrykim@sn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RNA 연구단
사무실 번호028806697
연구실IBS RNA연구단
연구실 홈페이지https://www.narrykim.org
홈페이지https://narrykim.org/ko/%ec%82%ac%eb%9e%8c%eb%93%a4/
소속기초과학연구원

경력정보

회사명Seoul National University
재직기간2017.01.01 ~ 재직 중
담당업무서울대학교 석좌교수로 RNA 연구 및 교육에 기여
회사명Seoul National University
재직기간2013.01.01 ~ 재직 중
담당업무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RNA 연구 및 후학 양성
회사명Institute for Basic Science
재직기간2012.01.01 ~ 재직 중
담당업무IBS RNA 연구단장으로서 RNA에 의한 세포 운명 제어 메커니즘 규명 및 RNA 연구 기법/활용 기술 개발 총괄. 마이크로RNA 연구의 큰 진전을 이끌고, RNA 변형 및 RNA 결합 단백질 기능 연구를 선도
회사명Seoul National University
재직기간2010.01.01 ~ 2016.12.31
담당업무서울대학교 석학 연구원으로 RNA 연구 활동 수행
회사명Seoul National University
재직기간2008.01.01 ~ 2013.12.31
담당업무생명과학부 부교수로 RNA 생물학 연구 및 교육 담당
회사명Seoul National University
재직기간2004.01.01 ~ 2008.12.31
담당업무생명과학부 조교수로 RNA 관련 연구 진행 및 강의
회사명Seoul National University
재직기간2001.01.01 ~ 2004.12.31
담당업무서울대학교 생물과학분야 연구 부교수로서 선도적인 생물학 연구 프로그램 참여
회사명University of Pennsylvania
재직기간1999.01.01 ~ 2001.12.31
담당업무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RNA 연구 분야 역량 강화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RNA연구#유전체연구#RNA변형#줄기세포#바이오신약#마이크로RNA#구조생물학#RNA단백질복합체#분자생물학#암치료#생명과학#세포운명제어#바이러스면역#유전자조절

연구 분야

연구 1마이크로RNA 생성, 조절 및 생물학적 기능 연구
내용본 연구실은 약 22개 염기로 구성된 마이크로RNA(miRNA)의 생성 및 조절 원리, 그리고 그 생물학적 기능을 심도 깊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miRNA는 다른 RNA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핵심 조절 물질로, 현재 600개 이상이 발견되어 세포의 다양한 생명 현상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단은 조직적인 연구를 통해 miRNA 연구에 큰 진전을 이루어 왔습니다. 특히, miRNA가 유리딘화와 아데닐화를 통해 변형되고 제어됨을 발견하여 miRNA가 줄기세포와 배아의 발생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밝혀냈습니다 (Cell, 2012; Molecular Cell, 2014). 또한, miRNA 생성에 필수적인 효소인 DROSHA의 구조를 정밀하게 규명하여 miRNA 생합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으며 (Cell, 2015; Cell, 2016; Molecular Cell, 2019), miRNA의 타깃이 되는 RNA 특성을 규명했습니다 (Nature Genetics, 2016). 최근에는 퇴행성관절염 발생을 유도하는 miR-204를 발견하는 등 질병과의 연관성을 밝히고 있습니다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2019). 이러한 연구는 세포 및 유전자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향후 다양한 질병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 2mRNA 꼬리 변형 메커니즘 및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내용RNA 꼬리 변형은 유전자 발현 조절의 핵심 메커니즘으로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단백질 정보를 담고 있는 mRNA의 말단 꼬리 부위에 새로운 종류의 변형이 일어남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며 RNA 변형 연구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전자 조절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확장하는 혁신적인 기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연구단은 독자적으로 꼬리서열분석법을 개발하여 (Molecular Cell, 2014) mRNA 말단에 유리딘이 첨부되며 이 유리딘꼬리가 mRNA 분해를 촉진함을 규명했습니다 (Cell, 2014; Molecular Cell, 2014). 또한, 아데닌꼬리가 배아 발생과 세포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Genes and Development, 2016; Molecular Cell, 2016), 구아닌, 유리딘, 사이토신이 모두 포함된 혼합꼬리가 mRNA 안정성을 높인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Science, 2018). 이러한 발견은 mRNA 안정성과 유전자 발현 조절의 복잡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향후 바이러스가 이러한 꼬리변형효소를 활용하는 방식을 연구하여 항바이러스제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다양한 생명 현상에서의 RNA 꼬리 변형 역할을 규명할 계획입니다.
연구 3RNA 결합단백질 상호작용 및 질병 치료 응용
내용RNA는 세포 내에서 단백질과 결합한 상태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RNA 조절과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RNA 결합단백질(RBP) 연구가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실은 마이크로RNA, mRNA, 이중나선RNA 등과 결합하는 수많은 RBP의 기능을 밝혀내며 RNA-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이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세포 내 이중나선RNA와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이 세포주기와 세포사멸을 조절하는 흥미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으며 (Genes and Development, 2014; Molecular Cell, 2018), RNA-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전사체-단백질체 수준에서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Cell, 2012; Nature Structural & Molecular Biology, 2013). 또한, 단백질 합성 연구를 통해 장기기억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동정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Science, 2015). 향후 본 연구실은 RNA-단백질 복합체의 변형 및 제어 메커니즘을 암세포, 바이러스 감염,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병 모델에 적용하여 연구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감염성 질환 및 암 치료, 줄기세포 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정밀 의료 시대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것입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기술 이전/자문] - LIN28A/B 단백질 결합 생쥐 단일클론항체 분비 하이브리도마 기술 이전 (2014, ㈜ EMD Millipore Corporation) [학술 활동 및 조직] - Scientific Organiser, 2022 EMBO Workshop The Epitranscriptome - Scientific Organiser, 2021 EMBOㅣEMBL Symposium The Non-Coding Genome - Organizer, 2021 IBS-SNU Mini-Symposia on RNA Biology & Therapeutics - Organizer, 2021 The 26th Annual Meeting of the RNA Society - Organizer, 2021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 Organizer, 2020 CSHA COVID19/SARSCoV2 Rapid Research Reports - Scientific Organiser, 2019 EMBL Symposia EMBOㅣEMBL Symposium The Non-Coding Genome - Organizer, 2019 Keystone Symposia - Co-Organizer, 2014 Keystone Symposia - Co-Organizer, 2011 Keystone Symposia - Co-Organizer, 2011 Cold Spring Harbor Asia-ISSCR - Co-Organizer, 2009 The RNA Society - Board of Reviewing Editors, 2015- Science - Editorial Board, 2014- Molecular Cell - Editorial Board, 2012- Genes & Development - Editorial Board, 2011- EMBO Journal - Editorial Board, 2010- Cell - Director, 2011-2012 The RNA Society - Council Member, 2013-2014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Science and Technology - Council Member, 2006-2008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Science and Technology - Meetings Committee, 2013-2014 The RNA Society [학회/기관 회원] - Foreign Member (ForMemRS), 2021- The Royal Society, UK - Foreign Associate, 2014-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S), USA - Member, 2014- The Korean Academy of Science Technology - Foreign Associate, 2013- 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EMBO) [수상 내역] - Lina 50+ Award Grand Prize (LINA Foundation), 2021 - Asan Awards in Medicine (ASAN Foundation), 2019 - Chen Award (Human Genome Organisation), 2017 - S-Oil Leading Scientist (S-Oil Science Prodigy and Culture Foundation), 2013 - The Korea S&T Award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2013 - Gwanak Grand Prize Honor Sector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 National Honor Scientis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 AmorePacific the Grand Prize (Amorepacific, KOFWST), 2010 - Ho-Am Prize in medicine (Ho-Am Foundation), 2009 - L’Oreal-UNESCO Women in Science Award (L’Oreal and UNESCO), 2008 - Woman Scientist of the Year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7 - Young Scientist Award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7 - Thomson Scientific Citation Award (Thomson Corporation), 2007

학력

학력 사항박사 Oxford University 생화학 (1998) 석사 서울대학교 미생물학 (1994) 학사 서울대학교 미생물학 (1992)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