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이상규 책임연구원은 기초과학연구원 인지및사회성연구단에서 생물학적 기전을 바탕으로 인지, 사회성, 행동의 복합적인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뇌 신경회로의 작동 원리 규명 및 행동 조절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인간의 고등 인지 기능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표로 합니다. 특히, 기초과학 연구를 통해 신경정신 질환 및 행동 관련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장기적으로는 관련 질환의 새로운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와 더불어 차세대 뇌과학 연구를 선도하며 미래 과학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이상규 |
| 직책 | 책임연구원 |
| 이메일 | sklee@ibs.re.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428789114 |
| 연구실 | -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sklee/ |
| 홈페이지 |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upEoRHoAAAAJ&hl=ko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회사명 | 기초과학연구원(IBS) |
| 재직기간 | 2020.06.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2020.06.01. – Present Senior Research Fellow, Center for Cognition and Sociality,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 Daejeon, Korea |
| 연구 1 | 뇌 신경회로 및 행동 조절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생물학적 기전을 기반으로 인지, 사회성, 행동의 복합적인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뇌 신경회로의 작동 원리를 규명하고 행동 조절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고등 인지 기능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뇌과학 분야에서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고, 복잡한 행동의 신경학적 기초를 밝히는 데 기여합니다. 시냅스 모니터링 기술과 옵토제네틱(광유전학) 등 첨단 뇌과학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뇌 신경회로의 활성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이를 통해 행동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분석합니다. 뇌세포 수준에서의 메커니즘 규명에 집중하여 복잡한 뇌 기능의 근원적인 원리를 밝히는 데 강점을 가집니다. 이 연구는 뇌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신경학적, 정신과적 문제의 이해를 심화하고, 향후 인지 기능 향상 및 사회적 행동 장애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는 데 기여합니다. 궁극적으로 뇌 기능 연구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인간 행동의 본질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신경정신 질환의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기초과학 연구를 통해 신경정신 질환 및 행동 관련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장기적으로는 관련 질환의 새로운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뇌 신경회로 이상, 분자 수준의 변화 등 질환 발생의 핵심 생물학적 기전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정신질환치료 및 뇌질환치료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하여,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새로운 중재 기술을 탐색합니다. 유전자 조작, 약물 스크리닝, 행동 분석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질환의 복잡성을 해부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우울증, 불안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다양한 신경정신 질환의 조기 진단 마커 개발 및 개인 맞춤형 치료법 구현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궁극적으로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데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연구는 기초 연구 성과를 임상 적용으로 연결하려는 translational research의 중요한 축을 담당합니다. |
| 연구 3 | 차세대 뇌과학 기반 생체 시스템 및 기술 개발 |
| 내용 | 본 연구실은 미래 과학 인재 양성과 더불어 차세대 뇌과학 연구를 선도하며, 생물학적 기전 연구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생체 시스템 및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분자광유전학, 합성생물학, 단백질 개발 등 선도적인 생명공학 기술을 뇌과학 연구에 접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 기능 조절 및 모니터링을 위한 바이오센서 개발과 mRNA 제어를 통한 생체 시스템 제어 기술은 본 연구실의 독자적인 강점입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기존 뇌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연구 도구를 제공하며, 정밀하고 효율적인 생체 조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개발된 차세대 기술들은 뇌 질환 모델 연구, 신약 개발 스크리닝, 신경회로 매핑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뇌 질환 치료 및 진단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생체 시스템의 근본적인 이해를 높이며, 미래 의료 및 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 연구를 통해 이러한 기술들의 실제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그 가치를 입증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 학력 사항 | Ph.D. KAIST 생물학과 (2011) B.S. KAIST 생물학과 (2005)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