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김근수 연구자는 2차원 반도체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포스퍼린의 고유한 구조적 특징에 주목하여 포스퍼린 표면에 알칼리 금속 원자를 흡착시키는 기술을 활용합니다. 이 방법을 통해 강한 전계 효과를 유발하고 슈타르크 효과를 이용하여 포스퍼린의 밴드갭을 폭넓게 조작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불과 원자 몇 개 수준의 얇은 두께를 갖는 2차원 반도체 물질을 활용하여 차세대 초소형 전자 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 김근수 연구자의 성과는 미래 전자산업에 필수적인 고성능, 저전력 초소형 소자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김근수 |
직책 | 연구원 |
이메일 | kskim2676@sejong.ac.kr |
재직 상태 | 퇴직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부서 학과 |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
사무실 번호 | 0234083988 |
연구실 | 나노전자소재연구실(NMR-Lab)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home.sejong.ac.kr/~kskim2676/ |
홈페이지 | http://home.sejong.ac.kr/~kskim2676/ |
회사명 | 세종대학교 |
재직기간 | 2011.01.01 ~ 재직 중 |
담당업무 | 물리천문학과 교수 및 그래핀연구소 소속으로, 준양산용 컨베이어 CVD 개발, CVD 그래핀의 양산기술, 질소 도핑된 그래핀의 합성 및 응용, DUV를 활용한 그래핀의 국소 기능화, TMD 소재의 패턴 성장, 다양한 2차원 이종 접합구조 형성 등 2차원 나노소재 연구 및 응용 기술 개발을 주도함. 특히, 2011년에는 질소 도핑된 그래핀을 합성하고 기초물성 및 전자구조를 규명하여 Science 誌에 게재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를 달성함. |
회사명 |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
재직기간 | 2009.01.01 ~ 2011.12.31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화학 기상 증착(CVD)법을 이용한 대면적 그래핀 합성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2009년 2월 Nature 誌에 관련 연구를 게재하여 차세대 나노소재 기술 발전에 기여함. |
회사명 | 성균관대학교 |
재직기간 | 2007.01.01 ~ 2009.12.31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대면적 그래핀 합성 기술 연구에 참여함. |
회사명 | 기초과학연구원(IBS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응집물질과학 연구클러스터 기하학 수리물리 연구단 연구원 |
활동 내용 | [공동 연구 및 성과] - 국립공주대학교와 공동 연구 수행, 국제 저명 학술지 Nano Convergence에 우수논문 게재 [지식재산권 및 사업화 준비] - 국내 특허 6건 및 해외 PCT 특허 1건 출원·등록 완료 - 2024년 하반기 R&D 분야 나노소재 공급 서비스 예비벤처창업 준비 중 [인재 양성 활동] - 물리학 분야 과학영재 멘토 활동 (한림 U-멘토링, 한림미래과학캠프, 멘토 연구실 탐방 등) |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2차원 반도체, 나노전자소재, 그래핀 및 이종접합 구조 세부 분야: 포스퍼린 기반 초소형 전자소자, 화학 기상 증착(CVD) 기반 그래핀 합성, 질소 도핑 그래핀, 저차원 양자 물질, 광전자 분광법 [대표 연구 내용] - 문제 정의: 기존 반도체 물질의 한계를 뛰어넘어 초소형, 고성능 전자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2차원 물질 및 제조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밴드갭 제어의 어려움과 대면적 합성의 한계가 주요 과제입니다. - 기술 우위: 본 연구는 포스퍼린의 구조적 특징을 활용하여 알칼리 금속 원자를 흡착시켜 강력한 전계 효과를 유도, 슈타르크 효과를 통해 포스퍼린 밴드갭을 폭넓게 조작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원자 몇 개 수준의 얇은 2차원 반도체 물질로 초소형 전자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독보적인 기술입니다. 또한, 세계 최초로 CVD법을 이용한 대면적 그래핀 합성 방법을 개발하고 Nature지에 게재했으며, 질소 도핑된 그래핀 합성 및 물성 규명 연구를 Science지에 게재하는 등 2차원 나노소재 합성 및 응용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준양산용 컨베이어 CVD 개발, CVD 그래핀 양산기술, DUV 활용 국소 기능화, TMD 소재 패턴 성장 등 실제 산업 적용을 위한 핵심 기술들을 다수 개발했습니다. - 사업 가치: 이 기술은 차세대 초소형·고성능 전자소자, 센서, 에너지 소자 개발에 필수적인 핵심 원천 기술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대면적 그래핀 합성 및 양산 기술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고효율 태양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잠재력을 가집니다. 2024년 하반기 예비벤처창업을 통해 R&D 분야에 필요한 나노소재를 직접 공급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므로, 연구 성과가 실제 산업적 가치로 직결될 것입니다. |
학력 사항 | 박사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2007)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