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종훈

이종훈

소속

기초과학연구원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AI요약

이종훈 그룹리더는 새로운 형태의 탄소동소체 디자인, 합성 및 특성 연구를 선도하며 차세대 탄소재료 및 탄소기반 하이브리드 재료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방성 원자구조를 갖는 이차원 물질의 적층과 전이금속 원자의 주기적 위치를 활용한 전도성 채널을 포함하는 복합구조체 연구를 통해 초미세 반도체 소자 구현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화학, 물리, 재료과학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탁월한 물리적 및 전기적 특성을 지닌 신소재 발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반도체 기술 발전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이종훈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이종훈
직책그룹리더
이메일zhlee.unist@gmail.com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사무실 번호0522172327
연구실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
연구실 홈페이지https://centers.ibs.re.kr/_prog/_personnel/?posi_dvs_cd=2006&site_dvs_cd=cmcm&menu_dvs_cd=0204
홈페이지-
소속기초과학연구원

경력정보

회사명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
재직기간2019.01.01 ~ 재직 중
담당업무그룹리더
회사명UNIST 신소재공학부
재직기간2019.01.01 ~ 재직 중
담당업무교수
회사명UNIST 신소재공학부
재직기간2014.01.01 ~ 2018.12.31
담당업무학부장
회사명UNIST 신소재공학부
재직기간2011.01.01 ~ 2018.12.31
담당업무부교수, 조교수
회사명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재직기간2005.01.01 ~ 2010.12.31
담당업무-
회사명전자부품연구원
재직기간1992.01.01 ~ 1997.12.31
담당업무-

중요 키워드

#탄소동소체#기술사업화#그래핀#전도성채널#나노기술#하이브리드재료#반도체소자#산학협력#재료과학#응용현미경#복합구조체#탄소재료#이차원물질

연구 분야

연구 1차세대 탄소 및 하이브리드 재료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새로운 형태의 탄소동소체 디자인, 합성 및 특성 연구를 선도하며 차세대 탄소재료 및 탄소기반 하이브리드 재료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탄소나노재료의 합성 및 물성 연구를 통해 원자 수준에서 재료의 구조와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독보적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sp2-sp3 하이브리드 구조 화합물과 같은 혁신적인 탄소 동소체의 설계 및 합성에 집중하여, 기존 재료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물성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화학, 물리, 재료과학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자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다양한 학제 간 지식을 통합하여 재료 설계의 효율성과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탁월한 물리적 및 전기적 특성을 지닌 신소재를 발굴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소재는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집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 고효율 촉매, 경량 구조 복합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산업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협력 파트너에게는 최첨단 탄소 기반 재료 솔루션을 제공하여 제품의 성능 향상 및 시장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입니다.
연구 2이차원 물질 기반 나노 반도체 소자
내용본 연구실은 이방성 원자구조를 갖는 이차원 물질의 적층 기술과 전이금속 원자의 주기적 위치를 활용한 전도성 채널 복합구조체 연구를 통해 초미세 반도체 소자 구현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1나노 반도체 제조 기술과 같은 차세대 기술을 선도하며, 고성능 반도체 소자의 미세화 및 고집적화를 위한 근원적인 해법을 제시합니다. 우리의 핵심 역량은 이차원 헤테로구조 설계 및 제어에 있으며, 이를 통해 원자 한 층 두께의 산화물 반도체 개발에 성공하는 등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얇고 투명하며 유연한 전자기기, 초소형 센서, 그리고 미래 컴퓨팅 아키텍처의 핵심 부품 개발에 필수적입니다. 이 연구는 기존 반도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자 소자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관련 산업 분야의 기업들은 우리의 기술을 통해 고성능, 저전력, 초소형의 차세대 반도체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것입니다. 지적 재산권으로 등록된 전도성 채널을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및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특허는 기술 협력의 견고한 기반이 됩니다.
연구 3첨단 2D 물질 특성 분석 및 응용
내용본 연구실은 그래핀 및 다양한 첨단 이차원 물질의 특성 분석과 이를 활용한 혁신적인 응용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그래핀의 결함을 찾아내고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그래핀 상용화의 걸림돌을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고품질 그래핀 기반 소자 및 제품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질화붕소(hBN)와 같은 이종 이차원 물질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통해, 이들의 독특한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존 재료에서는 불가능했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원자 단위의 이미징 및 분광학 기술을 활용하여 2D 물질의 구조적 결함과 전자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며, 이는 재료의 성능 최적화 및 새로운 응용 분야 발굴의 기반이 됩니다. 이러한 분석 및 응용 연구는 나노전자, 센서, 에너지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그래핀의 상용화와 관련된 산업계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차세대 2D 물질 기반 전자 소자 및 시스템 개발에 있어 핵심적인 기술 파트너십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학회/위원회 활동] - 한국현미경학회 부회장 (2020년 ~ 현재) - Journal 편집장(Editor-in-Chief) - Applied Microscopy (Springer Nature 출판사) (2017년 ~ 현재) - 미국현미경학회 Organizer (2014년 ~ 현재) - 한국그래핀연구회 학술위원 (2014년 ~ 현재) - 한국현미경학회 수석이사 (2014년 ~ 2019년)

학력

학력 사항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재료과학 박사 (2003) 연세대학교 금속공학과 석사 (1992) 연세대학교 금속공학과 학사 (1990)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