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송윤민

송윤민

소속

기초과학연구원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AI요약

송윤민 박사는 생체수학, 통계학, AI 기반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복잡한 생의학적 난제를 해결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생화학 네트워크 모델 축소, 약물동태학 모델링 발전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며, 특히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와 기전 모델링, 딥러닝 기술을 통합하여 수면 및 활동 패턴이 건강, 인지 능력, 수면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교대근무자를 위한 임상 시험용 모바일 플랫폼을 포함한 개인 맞춤형 디지털 개입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며, 엄격한 이론적 토대와 실제 응용을 연결하여 기초 과학 및 중개 의료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송윤민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송윤민
직책POST-DOC
이메일dbasals97@gmail.com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기초과학연구원
부서 학과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사무실 번호-
연구실Biomedical Mathematics Group
연구실 홈페이지https://www.ibs.re.kr/bimag/
홈페이지https://sites.google.com/view/yun-min-song/home

경력정보

회사명기초과학연구원 (Institute for Basic Science)
재직기간2025.03.01 ~ 재직 중
담당업무의생명수학그룹 박사후 연구원으로서, 김재경 교수 지도 하에 수학적, 통계적, AI 기반 접근법을 활용하여 복잡한 생체 의학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생화학 네트워크의 모델 축소부터 약동학 모델링 발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과제를 다룹니다. 특히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를 기계적 모델링 및 딥러닝과 통합하여 수면 및 활동 패턴이 건강, 인지, 수면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교대 근무자를 위한 임상 시험용 모바일 플랫폼 등 개인 맞춤형 디지털 개입을 개발하여 엄격한 이론적 틀과 실제 응용을 연결함으로써 기초 과학과 전환적 헬스케어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중요 키워드

#생체통계#생체네트워크#임상시험#약동학#딥러닝#인공지능#디지털치료제#수면연구#전환적헬스케어#개인맞춤의료#의생명수학#생체수학#웨어러블기기#헬스케어AI#수학적모델링

대외활동

활동 내용[수상 내역] - SMB 2021 Poster Award - KSMB 2021 Annual Meeting Poster Award -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2022 Regular Meeting Oral presentation Excellence Award - Korean Society of Sleep Medicine 2024 Regular Meeting Oral presentation Excellence Award - KAIST Graduate Student Outstanding Paper Awards - CPT Top Viewed Article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핵심 분야: 의생명 수학, 인공지능 기반 생체 의학 문제 해결 세부 분야: 생화학 네트워크 모델 축소, 약동학 모델링,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 분석, 수면 및 활동 패턴 연구, 개인 맞춤형 디지털 개입 개발 (모바일 플랫폼 포함) [대표 연구 내용]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생체 의학 문제, 특히 웨어러블 기기에서 얻는 방대한 데이터와 인간의 수면 및 활동 패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개인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문제입니다. 기존의 단편적인 접근 방식으로는 생체 내 복잡한 상호작용과 개인별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웠습니다. 본 연구는 수학, 통계, 그리고 AI(특히 딥러닝) 기반의 융합적 접근 방식을 통해 이러한 문제에 대한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확보합니다. 생화학 네트워크의 정교한 모델 축소 기법과 진보된 약동학 모델링을 통해 생체 시스템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며,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를 기계적 모델링 및 딥러닝과 통합하여 수면 장애 등 만성 질환의 원인과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특히, 교대 근무자를 위한 임상 시험용 모바일 플랫폼과 같은 개인 맞춤형 디지털 개입 개발은 이론적 견고함과 실제 적용 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본 연구의 핵심 강점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 및 정밀 의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사업 가치를 창출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 맞춤형 디지털 개입은 환자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임상 시험의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며, 궁극적으로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제약,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상용화될 경우 막대한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학력

학력 사항박사 KAIST 수학 (2025) 학사 Mathematical Sciences and Electrical Engineering (2020)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