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신희섭 연구단장은 생명과학연구클러스터 유전체교정연구단 소속 Social Neuroscience Group을 이끌며, 사회적 행동 맥락에서 뇌가 감정과 인지를 어떻게 제어하는지, 그리고 뇌 회로의 부적응적 변화가 자폐증, 정신병과 같은 정신 질환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타인의 감정을 공유하고 이해하는 공감 능력의 신경 메커니즘, 동족 개체 인지 및 기억 형성, 새로운 공감 모델 및 뇌 리듬 개발, 사회적 행동 및 정신 질환에 관여하는 당화 효소 및 당의 구조와 기능 규명입니다. 특히, 분자 수준부터 시스템 수준까지 포괄적인 뇌 활동의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에 중점을 두어 인지 및 사회성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인간의 사회적 인지를 위한 뇌 메커니즘 이해에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정신 질환 치료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부정적 정서 공감의 정서적 현저성, 정서적 공감에서의 뇌 리듬 진동, 긍정적 정서 공감 연구를 위한 행동 패러다임 등 세부 연구 주제를 수행하며, 공감, 유전학, 인산화효소 C 베타-1, 리드미컬 진동, 세타 리듬, 전대상피질, 편도체, 주의력 등 다양한 연구 관심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신희섭 |
| 직책 | 연구단장 |
| 이메일 | - |
| 재직 상태 | 퇴직 |
| 부서 학과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428788185 |
| 연구실 | Social Neuroscience Group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ibs.re.kr/ccs/ |
| 홈페이지 | https://centers.ibs.re.kr/html/ccs/science/science_020104.html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연구 1 | 사회 행동 조절 및 정신 질환 발병의 신경 메커니즘 |
| 내용 | 본 연구실은 뇌가 사회적 행동의 맥락에서 감정과 인지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그리고 뇌 회로의 부적응적 변화가 자폐증 및 정신병과 같은 다양한 정신 질환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특히, 타인의 감정을 공유하고 이해하는 공감 능력의 신경 메커니즘과 동족 개체 인지 및 기억 형성 과정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분자 수준에서 시스템 수준까지 아우르는 포괄적인 신경생물학적 접근 방식을 통해 사회적 행동의 기저에 깔린 뇌 활동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합니다. 연구를 통해 인간의 사회적 인지를 담당하는 뇌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궁극적으로는 정신 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부정적 정서 공감의 정서적 현저성, 정서적 공감에서의 뇌 리듬 진동, 긍정적 정서 공감 연구를 위한 행동 패러다임 등 세부 연구 주제를 통해 뇌 기능과 사회성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새로운 공감 모델 개발 및 뇌 리듬 기반 정서 메커니즘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새로운 공감 모델을 개발하고 뇌 리듬의 역할을 규명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리듬 진동, 그 중에서도 세타 리듬이 정서적 공감 능력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이는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과정에서 뇌의 동적인 정보 처리 방식과 그 변화를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또한, 긍정적 정서 공감을 연구하기 위한 행동 패러다임을 개발하여 공감이라는 복합적인 사회적 인지 기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정서적 상황에서의 뇌 반응을 연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공감 능력 저하와 관련된 정신 질환의 신경생물학적 기반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향후 정서 조절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의 토대가 될 수 있습니다. 뇌 리듬 분석을 통해 공감의 신경 회로를 더욱 정교하게 매핑하고, 인지 및 감정 처리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
| 연구 3 | 당화 효소 및 당의 사회 행동 및 정신 질환 역할 규명 |
| 내용 | 본 연구실은 사회적 행동 및 정신 질환과 관련된 당화 효소 및 당(glycans)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 분야는 현재까지 광범위하게 탐구되지 않은 미개척 영역으로, 우리는 이들의 기능적 중요성을 밝혀내는 데 주력합니다. 특정 당화 효소와 당의 변화가 사회적 행동 패턴 및 자폐증, 정신병 등 정신 질환의 발병 및 진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생체 내 당 사슬의 합성, 변형,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신경 회로 및 행동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이 연구는 사회성 및 인지 기능 조절에 있어 당 생물학의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하며,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정신 질환 발병 메커니즘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는 당화 조절을 통한 정신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분자 표적을 발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학력 사항 | 박사 Cornell University 유전학 및 세포생물학 (1983) 의학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면역학 (1974) 석사 서울대학교 (1974)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