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신주희 박사는 인지 및 교세포과학연구그룹에서 인지, 정서, 사회성 및 다양한 뇌질환에 대한 신경과학적, 교세포학적 기전을 규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교세포와 신경세포를 바탕으로 뇌의 종합적인 기능과 뇌 질환의 연관성을 깊이 있게 연구하며, 광유전학 및 바이오영상기술을 활용하여 학습, 기억, 인지, 사회성 관련 분자 및 세포 기능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병증성 통증을 포함한 뇌 기능 장애의 원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뇌 질환으로 고통받는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신주희 |
| 직책 | 연구원 |
| 이메일 | -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428789125 |
| 연구실 | 인지및교세포과학연구그룹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sklee/people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연구 1 | 뇌 인지·정서·사회성 기능의 신경과학적 기전 규명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지, 정서, 사회성 기능 및 다양한 뇌질환에 대한 뇌의 종합적인 작용을 이해하고자 신경과학적, 교세포학적 기전 규명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를 구성하는 주요 세포인 신경세포(neuron)와 교세포(glia)가 복잡한 뇌 기능에 어떻게 관여하며, 이들의 상호작용이 인지, 정서, 사회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뇌 기능의 근본적인 원리를 밝히고, 뇌질환 발생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기반 지식을 제공합니다. 최근 연구들은 교세포가 뇌 발달, 시냅스 형성 및 가소성 조절, 신경 보호 등 다양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의 기능 이상이 뇌질환 발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본 연구실은 교세포와 신경세포 간의 정교한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규명함으로써, 뇌 기능의 복잡성을 해독하고,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우울증, 신경병증성 통증 등 다양한 뇌질환의 발생 원인과 진행 과정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건강한 뇌 기능 유지 및 뇌질환 예방과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2 | 교세포 및 신경세포를 통한 뇌 기능 및 뇌질환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뇌의 핵심 구성 요소인 교세포(glial cell)와 신경세포(neuron)가 인지, 정서, 사회성 기능 및 다양한 뇌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개별적, 통합적으로 연구합니다. 교세포는 과거 단순히 신경세포를 지지하는 역할로 여겨졌으나, 최근 연구를 통해 뇌 기능 조절 및 뇌질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함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교세포가 인지, 정서, 사회성에 어떻게 기여하며,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우울증 등 뇌질환의 병태생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집중적으로 탐구합니다. 또한, 신경세포의 활성 및 회로 변화가 인지, 정서, 사회성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뇌 기능의 복잡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뇌질환의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뇌의 복잡한 신경회로와 세포 간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기여를 하며, 뇌질환의 진단 및 치료법 개발을 위한 기반 지식을 제공합니다. |
| 연구 3 | 광유전학 및 바이오영상기술 활용 뇌 분자·세포 기능 연구 |
| 내용 | 본 연구실은 뇌 기능 연구의 최첨단 기법인 광유전학(Optogenetics) 및 바이오영상기술(Bioimaging)을 활용하여 학습 및 기억, 인지 및 사회성 관련 분자 및 세포 기능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광유전학 기술은 특정 신경세포의 활성을 빛으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행동 변화와의 인과 관계를 밝히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고해상도 바이오영상기술을 통해 살아있는 뇌 속에서 세포 및 분자 수준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뇌 회로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첨단 기술들은 학습, 기억 형성, 인지 처리, 사회적 상호작용과 같은 복잡한 뇌 기능에 관여하는 특정 분자 및 세포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뇌 기능 장애 및 신경병증성 통증과 같은 뇌질환의 발생 원인을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는 주로 생체 내(in vivo) 실험을 통해 진행되어 실제 생명 현상에서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합니다.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