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안광석 교수는 바이러스와 숙주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간 거대세포바이러스(HCMV)의 잠복 및 재활성화 메커니즘과 숙주-바이러스 상호작용에서 레트로엘레먼트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며, 바이러스의 면역 회피 전략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RNA연구단의 일원으로서 RNA 생물학, 특히 마이크로RNA(miRNA)의 조절 및 기능, RNA 꼬리 변형, RNA 결합 단백질의 역할을 밝히고 새로운 RNA 연구 기법과 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감염성 질환, 암,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발생과 진행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안광석 |
직책 | 교수 |
이메일 | ksahn@snu.ac.kr |
재직 상태 | 퇴직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부서 학과 | RNA 연구단 |
사무실 번호 | 028809233 |
연구실 | 면역제어연구단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biosci.snu.ac.kr/ksahn |
홈페이지 | - |
회사명 | SNU 바이러스연구소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2022–현재: Director |
회사명 | 창의연구센터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2006–2015: Director |
회사명 | 서울대학교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2004–현재: 교수 |
회사명 | 기초과학연구원(IBS)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RNA 연구단 연구원 |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 RNA 면역학 세부 분야: 인간 거대세포바이러스(HCMV) 잠복감염 및 재활성화 메커니즘, 바이러스 비암호화 RNA 및 후성전사적 조절 연구, SAMHD1 단백질의 항바이러스 기능 및 HIV-1 억제 메커니즘, 레트로요소 (LINE-1 등)와 면역 시스템의 상호작용, RNA 변형 (m6A 등)과 바이러스 감염 조절 [대표 연구 내용] 안광석 연구원 인간 세포 내 바이러스의 잠복과 재활성화를 중심으로, 숙주의 면역 감시를 회피하는 바이러스 전략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HCMV 관련 long non-coding RNA, SAMHD1, m6A RNA 변형 등 RNA 중심의 면역 조절 연구를 수행 중이며, HIV, HCMV, HBV 등을 대상으로 잠복감염, 면역 회피 기전, 신규 치료 타깃 발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RNA 연구단 소속으로서 RNA 결합단백질과 마이크로RNA 기반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 분석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
학력 사항 | 박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994) 석사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7) 학사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5)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