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창영

김창영

소속

기초과학연구원 (강상관계 물질 기능성 계면 연구단)
휴직·퇴직 중인 연구자인 경우 연구협력 요청이 제한됩니다.

AI요약

김창영 부연구단장은 전자 간의 강한 상호작용이 있는 강상관계물질의 물리 현상을 규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강상관계 신물질의 합성 및 분광학적 연구를 통해 응집물질물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강상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새로운 발현 현상 및 바닥 상태를 발견하고 그 물성을 포괄적으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특히, 산화물 복합구조물의 인공적인 계면에서 스핀-궤도 결합, 변형율 구배, 불량 통제 등 다양한 매개변수를 제어하며 새로운 인공 전자상을 발견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산화물 계면에서의 물리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응집물질물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는 새로운 전자 구조물과 그린 에너지 기술 디자인에 활용되어 혁신적인 전자 장치 발명의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신경망을 활용한 통계적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며, 신호 대 잡음비가 높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창영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창영
직책부연구단장
이메일changyoung@snu.ac.kr
재직 상태퇴직
부서 학과강상관계 물질 기능성 계면 연구단
사무실 번호-
연구실기초과학연구원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연구실 홈페이지http://ares.snu.ac.kr
홈페이지-
소속기초과학연구원

경력정보

회사명서울대학교 강상관계물질 연구단
재직기간2015.03.01 ~
담당업무부단장으로서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의 방향을 설정하고 핵심 연구를 주도하며, 새로운 강상관계 물질의 합성 및 분광학적 연구를 통해 응집물질 물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인공 산화물 계면에서 새로운 전자상 발견 및 응집물질 물리에 기여.
회사명서울대학교
재직기간2015.03.01 ~ 재직 중
담당업무물리천문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강상관계 물질 분야의 교육 및 연구를 수행. 인공적인 산화물 계면 연구를 통해 응집물질 물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며 신기술 발전에 기여.
회사명연세대학교
재직기간2001.01.01 ~ 2015.02.28
담당업무물리학과 교수로서 응집물질 물리학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며, 강상관계 물질에 대한 학술적 기여.

중요 키워드

#발명특허#그린에너지기술#신물질합성#응집물질물리#스핀궤도결합#통계적분포#전자장치#데이터처리#신경망#전자상#강상관계물질#산화물계면

연구 분야

연구 1강상관계 물질 및 신물질 합성 연구
내용본 연구실은 전자 간의 강한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강상관계 물질의 근원적인 물리 현상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새로운 강상관계 신물질의 합성 및 첨단 분광학적 연구를 통해 응집물질 물리학 분야에 혁신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강상관계를 통해 발현되는 독특한 현상들과 새로운 바닥 상태를 발견하고, 이러한 복합적인 물성을 포괄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이론적, 실험적 프레임워크를 정립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물질의 한계를 뛰어넘어 전혀 새로운 기능성을 가진 물질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 지식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차세대 전자 소자 및 에너지 저장 기술 발전에 기여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성 연구의 깊이를 더하고 새로운 발견을 통해 학술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 목표입니다.
연구 2인공 산화물 계면에서의 신규 전자상 탐색
내용본 연구실은 인공적으로 제어된 산화물 복합구조물의 계면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전자상의 발견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하 이동, 궤도-전자 재구성, 변형률 변화, 차원 통제 등 기존의 접근 방식을 넘어, 스핀-궤도 결합, 변형률 구배, 불량 통제와 같은 창의적인 매개변수들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인공 계면에서의 물리 현상을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산화물 계면에서 발현하는 물리적 특성은 벌크 물질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복잡성을 가지며, 이는 새로운 물성 발견의 거대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론 및 합성, 그리고 정밀 측정에 이르는 다학제적 연구 그룹 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산화물 계면 내 다양한 자유도 간의 복잡한 연결성을 이해하고 응집물질 물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형 첨단 전자 소자 및 기능성 물질 개발의 핵심 동력이 될 것입니다.
연구 3신경망 기반 통계 데이터 처리 및 전자 장치 응용
내용본 연구실은 신경망(Neural Network)을 활용한 통계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개발에 독자적인 기술력과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호 대 잡음비(SNR)가 높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복잡한 통계적 분포를 따르는 원본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이 기술은 신경망을 훈련시켜 외부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고, 원본 데이터와 생성된 데이터를 비교 평가하여 신경망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원본 데이터 및 신경망이 변환한 출력 데이터는 생성 데이터보다 높은 신호 대 잡음비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데이터 분석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이러한 통계적 데이터 처리 역량은 단순히 이론적 발전에 그치지 않고, 연구실의 핵심 분야인 강상관계 물질 연구와 연계하여 새로운 전자 구조물 설계 및 그린 에너지 기술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래 혁신적인 전자 장치 발명의 기반을 제공하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신소재 및 소자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학회/위원회 활동]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현재) - 한국초전도저온학회 부회장 (2023-현재) - 한국물리학회 부회장 (정책위원장) (2023-현재) - 한국방사광 이용자협회 이사 (2022-현재) - 한국물리학회 부회장 (학술위원장) (2019~2020) - Journal of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편집위원 (2010~2020)

학력

학력 사항미국 스탠퍼드대 응용물리학 박사 (1995) 미국 스탠퍼드대 응용물리학 석사 (1990) 서울대 물리학과 학사 (1988)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