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박용민 연구자는 인지 및 교세포 과학 분야에서 신경교세포, 특히 성상교세포의 기능과 역할을 심도 깊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성상교세포 특이적 유전자 발현 및 hGFAP-CreERT2 마우스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뇌 영역에서의 성상교세포 특성과 그 적용 범위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분자생물학(클로닝, RT-PCR), 세포생물학(형질전환, 마이크로포레이션), 성상교세포 배양 기술을 비롯하여, 생체 내 마우스 뇌 수술, 면역조직화학, 칼슘 이미징, 전기생리학(패치 클램프) 등 광범위한 실험 기법을 숙련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행동 분석(수동 회피, 열린장, 신기물 인지, 공포 조건화, 고가된 미로, 강제 수영 테스트)을 통해 성상교세포 연구가 뇌 기능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뇌 질환의 이해와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박용민 |
| 직책 | 연구원 |
| 이메일 | dydalsqkr94@gmail.com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82428788185 |
| 연구실 | 인지 및 교세포과학 연구그룹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ibs.re.kr/glia/ |
| 홈페이지 | -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회사명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 재직기간 | 2016.06.01 ~ 2016.08.31 |
| 담당업무 | 학생 인턴 연구원으로서 기초 의학 연구 수행 및 실험 기술 습득을 통해 연구 역량 강화. |
| 회사명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C. Justin Lee 연구실 |
| 재직기간 | 2017.03.01 ~ 2017.08.31 |
| 담당업무 | 학부생 인턴으로서 KIST의 뇌 과학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다양한 실험 기법(분자/세포 생물학, 전기생리학 등)을 경험하고 연구 실무 능력 배양. |
| 연구 1 | 성상교세포 기능 및 행동 신경과학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의 핵심인 신경교세포, 특히 성상교세포의 기능과 역할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성상교세포 특이적 유전자 발현 조절과 hGFAP-CreERT2 마우스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뇌 영역에서의 성상교세포 특성과 그 적용 범위를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성상교세포가 뇌 기능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궁극적으로 뇌 질환의 이해와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신경생물학적 관점에서 성상교세포의 신경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고, 복잡한 뇌 행동과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이 분야 연구는 뇌 발달, 학습 및 기억, 정서 조절 등 다양한 행동 양상에서 성상교세포의 미묘하지만 결정적인 역할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 연구 2 | 신경생물학적 실험 기법 및 분석 |
| 내용 | 본 연구실은 신경과학 연구를 위한 광범위하고 정교한 실험 기법을 숙련하여 적용합니다. 분자생물학적 접근(클로닝, RT-PCR)을 통해 유전자 발현을 조작하고 분석하며, 세포생물학적 기술(형질전환, 마이크로포레이션, 성상교세포 배양)을 활용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메커니즘을 규명합니다. 또한, 생체 내 마우스 뇌 수술을 포함한 생체 내 실험과 면역조직화학을 통해 조직 및 세포 특성을 시각화합니다. 기능적 연구를 위해 칼슘 이미징으로 세포 활동성을 관찰하고, 전기생리학적 기법(패치 클램프)을 통해 신경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측정합니다. 이러한 다각적인 접근은 성상교세포의 복잡한 기능을 분자, 세포, 회로 수준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각 기법의 유기적인 결합은 연구의 신뢰성과 깊이를 더합니다. |
| 연구 3 | 뇌 질환 모델링 및 행동 분석 |
| 내용 | 본 연구실은 성상교세포 기능 이상이 뇌 질환 및 행동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뇌 질환 마우스 모델과 정교한 행동 분석 기법을 활용합니다. 특정 유전자가 조작된 마우스 모델(예: hGFAP-CreERT2, AAV 기반 유전자 전달)을 통해 성상교세포의 특정 유전자를 조절하고, 이 변화가 학습, 기억, 감정 등 복잡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합니다. 수동 회피, 열린장, 신기물 인지, 공포 조건화, 고가된 미로, 강제 수영 테스트 등 표준화된 행동 분석을 통해 인지 기능, 불안, 우울증과 같은 행동 양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성상교세포의 이상이 특정 뇌 질환의 병리학적 기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밝히고, 행동 표현형 개선을 위한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
| 활동 내용 | [학회/컨퍼런스 발표 및 수상] - 2018년 한국 글리아 학회 포스터 발표 (hGFAP-CreERT2[Tg(GFAP-Cre/ERT2)13Kdmc]의 다양한 뇌 영역 특성 분석) |
| 학력 사항 | 박사과정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UST) (재학중) 학사 서울대학교 (2017)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