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김호민 연구자는 X선 결정학 및 극저온 전자현미경(Cryo-EM) 등 구조 생물학 기법과 생화학, 세포 생물학적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인체 병태생리학에 중요한 단백질 복합체의 분자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면역 반응 및 시냅스 형성 등 다양한 생체 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구조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질병 발생의 근본 원리를 밝히고 있습니다. 특히, 질병 관련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치료용 융합 단백질을 설계하고, 이를 암 치료를 위한 혁신적인 바이오 의약품으로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구조 기반 단백질 공학 기술을 적용하여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며, 생체분자 통신 원리 규명을 통해 정밀 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호민 |
| 직책 | 연구책임자 |
| 이메일 | kimhm@ibs.re.kr |
| 재직 상태 | 퇴직 |
| 부서 학과 | 바이오분자 및 세포 구조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428789400 |
| 연구실 | 단백질 커뮤니케이션 그룹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protein.ibs.re.kr/home |
| 홈페이지 | https://protein.ibs.re.kr/people/chief-investigator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회사명 | IBS (기초과학연구원) |
| 재직기간 | 2018.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IBS 단백질커뮤니케이션 그룹을 성공적으로 런칭하고 총괄하며, 생체 분자 및 세포 구조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 회사명 | KAIST 의과학대학원 |
| 재직기간 | 2023.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며 구조생물학 및 단백질 공학 분야의 심도 깊은 교육과 차세대 연구자 양성을 통해 학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회사명 | KAIST 의과학대학원 |
| 재직기간 | 2016.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구조생물학 및 단백질 공학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다수의 핵심 성과를 도출하고,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
| 회사명 | KAIST 의과학대학원 |
| 재직기간 | 2011.01.01 ~ 2015.12.31 |
| 담당업무 | 질병분자생화학 연구실을 성공적으로 설립하고 초기 연구 기반을 구축하여, 질병 관련 단백질 복합체 연구의 초석을 마련했습니다. |
| 회사명 | KAIST KI for Biocentury |
| 재직기간 | 2011.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KAIST KI for Biocentury의 겸직 교수로 생명공학 분야 연구 협력 및 자문을 통해 융합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회사명 | KAIST 생명과학과 |
| 재직기간 | 2014.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KAIST 생명과학과 겸직 교수로 생물과학 분야 연구 및 교육 지원을 통해 학제 간 연구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회사명 |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
| 재직기간 | 2007.01.01 ~ 2011.12.31 |
| 담당업무 | 세계적인 연구 환경에서 구조생물학 분야의 심화 연구를 수행하며, 단백질 구조-기능 연구 역량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
| 회사명 | KAIST 화학과 |
| 재직기간 | 2006.01.01 ~ 2007.12.31 |
| 담당업무 | KAIST 화학과에서 단백질 구조 및 기능 연구에 참여하여, 생화학적 분석 기술과 연구 방법론을 습득하고 전문성을 강화했습니다. |
| 회사명 | KAIST 생의학연구센터 |
| 재직기간 | 2005.01.01 ~ 2006.12.31 |
| 담당업무 | KAIST 생의학연구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단백질 의약 개발 관련 초기 연구에 참여하여 실용적 연구 경험을 쌓았습니다. |
| 연구 1 | 구조생물학 기반 질병 단백질 복합체 연구 |
| 내용 | 김호민 연구자는 X선 결정학 및 극저온 전자현미경(Cryo-EM)과 같은 최첨단 구조생물학 기법을 핵심적으로 활용하여, 인체 병태생리학에 중요한 단백질 복합체의 분자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생화학적, 세포 생물학적 접근 방식을 통합하여 면역 반응, 시냅스 형성 등 다양한 생체 과정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들의 3차원 구조를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질병 발생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TLR4, LRR 단백질과 같은 질병 관련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생체 내 신호 전달 경로를 밝혀내고, 이를 통해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단순히 구조를 밝히는 것을 넘어, 생체 내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과 기능적 연결성을 이해하여 복잡한 질병의 원인을 다각도로 해석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생명 현상의 기초적인 이해를 넘어 질병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 연구 2 | 구조 기반 단백질 공학 및 혁신 신약 개발 |
| 내용 | 본 연구는 질병 관련 단백질 복합체의 정밀한 구조 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치료용 융합 단백질을 설계하고 혁신적인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특히 암 치료를 위한 Anti-VEGF 계열의 신약 후보 물질(예: VEGF-Grab, Cet-VEGF-Grab, Tras-VEGF-Grab) 개발에 집중하며, 타겟 특이성을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단백질 공학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며,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TLR4를 활용한 차세대 면역증강제 개발 및 B형 간염바이러스,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개발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치료 및 예방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인공 단백질 디자인 연구를 통해 플라스틱 분해 단백질, 석유 생산 단백질 등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높은 합성 단백질의 잠재력도 탐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단순히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을 넘어, 생체분자의 기능을 조절하고 활용하는 단백질 공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의학 및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3 | 생체 분자 통신 원리 규명 및 정밀 의학 응용 |
| 내용 | 김호민 연구자는 생체 내 단백질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신호를 전달하는지, 즉 '단백질 커뮤니케이션'의 근본 원리를 규명하는 데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LRR(Leucine-Rich Repeat) 함유 단백질과 같은 특정 단백질군이 면역 반응, 시냅스 형성 등 중요한 생체 과정에서 어떤 분자적 통신 메커니즘을 통해 기능을 조절하는지 밝히고 있습니다. MDGA1/Neuroligin-2 복합체와 같은 시냅스 접착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구조적 이해를 통해 신경계 질환의 발생 메커니즘을 탐구하고, TLR4-MD-2 복합체 연구를 통해 면역 반응 조절의 핵심 경로를 규명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러한 생체 분자 통신 원리 규명은 질병의 분자적 기반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정밀 의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생체 분자 수준에서의 정확한 이해는 부작용이 적고 효과적인 맞춤형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이바지할 것입니다. |
| 활동 내용 | [수상 내역] - Young Scientist Award,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ublic of Korea, 2007 - Agarwal Award, BMRC, KAIST, Republic of Korea, 2009 - Ewon Assistant Professor, KAIST, Republic of Korea, 2015 - Award for Academic Excellence, KAIST, Republic of Korea, 2017 - KAIST Top 10 Representative Researches Award, KAIST, 2017 - Asan Award in Medicine for Young Medical Scientists, Asan Foundation, 2018 - National R&D Excellence 100, Minister of Science and ICT, Republic of Korea, 2018 |
| 학력 사항 | 박사 KAIST 생물과학과 (2005) 석사 KAIST 생물과학과 (2001) 학사 KAIST 생물과학과 (1999)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