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김태영 선임연구원은 뇌교종(Glioblastoma) 내 콜레스테롤 대사 기전을 규명하고, BioID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 관련 단백질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약물 개발에도 주력하며 팬데믹 대응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라지 추출물인 플라티코딘D(Platycodin D)가 코로나19 감염을 억제하는 기전을 밝혀내어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질병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심도 깊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뇌교종 및 감염병 등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혁신적인 전략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태영 |
| 직책 | 선임연구원 |
| 이메일 | taik@ibs.re.kr |
| 재직 상태 | 퇴직 |
| 부서 학과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 사무실 번호 | 0428653500 |
| 연구실 | 인지및교세포과학연구그룹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centers.ibs.re.kr/html/glia_en/ |
| 홈페이지 | https://centers.ibs.re.kr/_prog/_personnel/?posi_dvs_cd=1441&site_dvs_cd=glia_en&menu_dvs_cd=0202&site_dvs_cd=glia_en&menu_dvs_cd=020101&site_dvs_cd=glia_en&menu_dvs_cd=020101 |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
| 회사명 | Institute for Basic Science |
| 재직기간 | 2020.06.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인지 및 교세포 과학 분야의 선임 연구원으로서 관련 연구 수행 및 연구 프로젝트 관리 |
| 회사명 | Institute for Basic Science |
| 재직기간 | 2019.01.01 ~ 2020.05.31 |
| 담당업무 | 인지 교세포 과학 분야 연구 펠로우로서 연구 수행 및 기여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 재직기간 | 2015.11.01 ~ 2018.12.31 |
| 담당업무 | 연구 교수로서 관련 연구 및 교육 활동 수행 |
| 회사명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연구소 |
| 재직기간 | 2014.01.01 ~ 2015.10.31 |
| 담당업무 | 주요 연구 과학자로서 제약 과학 분야 연구 수행 |
| 회사명 | 울산과학기술원 나노생명화학공학부 |
| 재직기간 | 2013.08.01 ~ 2013.12.31 |
| 담당업무 | 연구 부교수로서 나노-바이오과학 및 화학 공학 분야 연구 수행 |
| 회사명 |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
| 재직기간 | 2009.01.01 ~ 2013.07.31 |
| 담당업무 |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Lineberger Comprehensive Cancer Center 박사후 연구원으로서 종양 연구 수행 |
| 회사명 |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
| 재직기간 | 2004.01.01 ~ 2008.12.31 |
| 담당업무 |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Department of Pharmacology 박사후 연구원으로서 약리학 연구 수행 |
| 회사명 | 서울대학교 암연구소 |
| 재직기간 | 2002.08.01 ~ 2003.12.31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으로서 암 연구 수행 |
| 회사명 | 서울대학교 암연구소 |
| 재직기간 | 1998.07.01 ~ 1999.03.31 |
| 담당업무 | 석사 과정 연구원으로서 암 연구 수행 |
| 연구 1 | 뇌교종 및 암 분자 기전 연구 |
| 내용 | 김태영 선임연구원은 뇌교종(Glioblastoma)을 포함한 다양한 암의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교종 내 콜레스테롤 대사 기전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BioID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 관련 핵심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세포의 성장, 생존, 전이에 필수적인 신호 전달 경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또한, 종양 억제 유전자인 DLC1의 기능 상실 메커니즘(유비퀴틴화 및 분해)을 밝히고, TM4SF5와 같은 막 단백질의 상호작용이 암세포의 침윤 및 약물 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암 극복을 위한 새로운 표적을 제시합니다. 연구실은 후성유전학적 조절(DNA 메틸화, 히스톤 변형)이 암 발생 및 종양 억제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도 광범위하게 탐색하여 암의 복합적인 분자 병리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연구 2 | 감염병 치료제 및 천연물 기반 약물 개발 |
| 내용 | 본 연구는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주요 감염병에 대한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 및 팬데믹 대응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라지 추출물인 플라티코딘D(Platycodin D)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분자 기전을 명확히 밝혀내어 새로운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플라티코딘D는 세포막 융합을 방해함으로써 리소좀 및 TMPRSS2 매개 SARS-CoV-2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연구팀은 안전하고 저비용으로 SARS-CoV-2를 검출할 수 있는 실험실 진단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감염병 진단 역량 강화에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감염병 연구는 천연물 유래 물질의 잠재적 약물 후보로서의 가치를 탐색하고, 분자적 수준에서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을 이해하여 보다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연구를 통해 발굴된 약물 후보 물질들은 난치성 감염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공중 보건 위기에 대한 과학적 해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3 | 세포 신호 전달 및 약물 반응 연구 |
| 내용 | 김태영 선임연구원은 세포 내 복잡한 신호 전달 경로가 질병 발생 및 약물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DLC1, TM4SF5 등 다양한 단백질이 세포의 형태, 이동, 증식 및 사멸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탐구하며, 이를 통해 세포 생명 현상의 기본 원리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RhoGAP 활성을 가진 DLC1이 세포 골격 재편성 및 세포 이동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TM4SF5가 CD44, IGF1R 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암세포의 자가 재생 및 약물 내성을 유도하는 기전은 질병 치료를 위한 핵심 표적 발굴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또한, 플라티코딘D와 같은 천연물 또는 합성 화합물이 LDLR 발현, 자가포식 조절, 세포 사멸 유도 등 특정 세포 신호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약물의 효능 및 작용 기전을 다각도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세포 수준에서의 약물 반응을 예측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특정 질환에 최적화된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정밀 의학 시대에 환자 맞춤형 치료법을 설계하는 데 기여하며, 세포 신호 전달 조절을 통한 질병 극복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
| 활동 내용 | [수상 및 펠로우십] 강하게 요청한 부분에 대해 추가합니다. (대외활동 규정을 따름) - 2016-2019 대한민국 교육부 연구 펠로우십 - 2013–2016 대한민국 교육부 연구 펠로우십 - 2009-2011 수잔 G. 코멘 연구 지원금 - 2003 서울대학교 암연구소 젊은 연구자상 |
| 학력 사항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종양생물학 박사 (2002) 서울대학교 미생물학 석사 (1996) 한국외국어대학교 미생물학 학사 (1993)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