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 Research Publications IBS Research
Research News
정확도·효율성 높인 생명과학 데이터 분석 도구 'scICE' 개발

세포 분류(클러스터링) 결과의 안정성을 수학적으로 평가해 불안정한 결과를 걸러내는 새로운 분석 도구인 ‘scICE(single-cell Inconsistency Clustering Estimator)’를 개발했다.

의생명 수학 그룹
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았다

억제성 신경세포가 뇌 혈류를 조절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 공포 기억 사라지지 않는 이유 찾았다

뇌 속 비신경세포인 별세포(Astrocyte)가 만드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가바(Gamma-Aminobutyric Acid, GABA)를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제시했다.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IBS Art in Science
생명체의 지방조직은 혈관 밀도가 높다. 모든 지방세포(빨간색)는 위 이미지처럼 혈관(파란색)과 맞닿아 있다. 우리 몸속에 있는 갈색지방은 지방을 연소하는데 특히 혈관이 발달하고 밀접한 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갈색지방에는 에너지 공장인 미토콘드리아가 매우 많아 에너지 연소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지방세포 조직의 이미지가 라즈베리 과육을 연상케 한다. 흥미롭게도 라즈베리도 지방세포를 태우는데 효과적이다. 라즈베리 열매가 줄기로부터 자양분을 얻듯 군집을 이룬 갈색지방을 혈관이 줄기처럼 지탱해주고 있다. 강렬한 붉은색과 푸른색의 대비가 화면을 역동적으로 구성한다.

혈관의 라즈베리 농장

생명체의 지방조직은 혈관 밀도가 높다. 모든 지방세포(빨간색)는 위 이미지처럼 혈관(파란색)과 맞닿아 있다. 우리 몸속에 있는 갈색지방은 지방을 연소하는데 특히 혈관이 발달하고 밀접한 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갈색지방에는 에너지 공장인 미토콘드리아가 매우 많아 에너지 연소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지방세포 조직의 이미지가 라즈베리 과육을 연상케 한다. 흥미롭게도 라즈베리도 지방세포를 태우는데 효과적이다. 라즈베리 열매가 줄기로부터 자양분을 얻듯 군집을 이룬 갈색지방을 혈관이 줄기처럼 지탱해주고 있다. 강렬한 붉은색과 푸른색의 대비가 화면을 역동적으로 구성한다.

News & Events
IBS 구본경 단장, 유럽분자생물학기구(EMBO) 회원 선출
더보기
강봉균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단장,
대한민국학술원 신임 회원 선출
더보기
악셀 팀머만 IBS 기후물리
연구단장,
‘부산시 명예시민’ 선정
더보기
10th 새로운 발전을 향한 10년 Ibs 기초과학연구원

Copyright(C) IBS. All Rights Reserved.

34126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55 (도룡동 3-1) 기초과학연구원

TEL : 042-878-8114 / FAX : 042-878-8079 / E-mail : webmaster@ibs.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