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 Research Publications IBS Research
Research News
DNA 복제 재개 조절하는 ‘스위치 단백질’ 찾았다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은 선행 연구에서 암 억제 단백질로 알려진 ATAD5가 탈유비퀴틴화의 핵심 역할을 함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 과정이 어떻게 적절한 정도로 정교하게 조절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했다.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리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의 새로운 열쇠 될까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로 쓰이는 리튬(Lithium)은 의학 분야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돼 온 양극성 장애 치료제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리튬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에도 효과적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 단백질 공학에서 해법 찾았다

단백질 공학은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바꾸거나 최적화해 여러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으며, 특히 질병 치료제 개발의 혁신을 이끌 열쇠로 떠오르고 있다.

바이오분자 및 세포 구조 연구단
IBS Art in Science
만남 - 축 단결정 X-선 산란(SC-XRD)은 물질의 구조와 결정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실험방법이다. x-선 산란 실험을 수행하면 역격자 공간에서의 물질 구조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만남

4축 단결정 X-선 산란(SC-XRD)은 물질의 구조와 결정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실험방법이다. x-선 산란 실험을 수행하면 역격자 공간에서의 물질 구조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News & Events
IBS, 신규 CI 연구그룹
2개 출범
더보기
IBS 고교생 뇌과학캠프로
뇌과학자의 꿈 키웠죠
더보기
IBS 2025년도
시무식 개최
더보기
10th 새로운 발전을 향한 10년 Ibs 기초과학연구원

Copyright(C) IBS. All Rights Reserved.

34126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55 (도룡동 3-1) 기초과학연구원

TEL : 042-878-8114 / FAX : 042-878-8079 / E-mail : webmaster@ibs.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