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가 2011년 11월 출범한 이후 2년이 다 돼가고 있습니다. IBS 설립 당시 연구자들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과 혜택으로 기초과학 발전에 도움이 될 거라는 기대감이 높았지만 기초연구사업 예산이 축소되는 거 아니냐는 주변의 우려 섞인 시선도 존재했습니다. 연구단에 지원되는 연구비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습니다. 현재까지도 IBS와 연구단 운영에 대한 궁금증이 수그러들고 있지 않습니다. IBS에서는 IBS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자주 하는 질문들을 모아 정리해봤습니다.

1. IBS 출범이후 전체 기초연구사업 예산이 줄어들지 않을까하는 걱정이 있었습니다. 실제 현황은 어떤가요?
: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IBS 출범이후 기초연구사업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습니다.

o 기초연구사업 총 예산은 ‘11년 9,139억원, ’12년 9,750억원, ‘13년 9,931억원으로 매년 증가했고, ‘12년 대비 ’13년 연구예산은 개인연구지원 125억원, 집단연구육성 25억원, 기초연구기반구축이 약 31억 원 증액됐습니다.

o 특히 풀뿌리연구로 대변되는 일반연구자 지원사업은 126억 원이 올랐으며, 중견연구자 지원사업도 60억 원이 늘어났습니다.


2. IBS 연구단장, 너무 짧은 기간에 선정 되는 것 아닌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IBS 연구단장은 신청마감 후부터 약 8개월에 걸쳐 수월성을 기준으로 심층적이고 다채널적인 평가를 통해 선정됩니다.

o 후보자 개개인에 대해 각각의 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공개심포지엄, 비공개토론 등 심층평가를 통해 후보자의 적격여부를 결정합니다.
- 후보자별 평가위원회는 과반수를 외국인으로 구성함으로써 학연과 지연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세계적 수준에서 평가가 이뤄지도록 추진하고 있습니다.
- 후보자별 평가위원회의 평가결과와 함께 세계석학들로부터 추천서 (Reference Letter)를 받아 이를 평가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o 연구단장 선정 평가는 선정평가위원회 (SEC, Selection & Evaluation Committee)가 주관하며, 총 16명(국내과학자 7명, 국외과학자 9명)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o 연구단장 선정평가는 접수완료 시점부터 선정 완료까지 약 8개월에 거쳐 다단계, 다채널의 심층적 평가가 진행됩니다.

3.IBS 연구단은 매년 100억원의 연구비를 받는다면서요?
: 그렇지 않습니다. 초창기 고가 장비를 사용하는 연구단의 경우만 그러하고 이후 장비 구성이 완료되면 그에 따라 예산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수학, 이론물리등의 연구단의 경우 수십억원 수준이며 연구단 규모에 따라 각기 다릅니다.

o IBS 연구단은 대형, 융합, 장기적인 연구를 수행합니다. 연구단은 연구단장, 그룹리더(4명 내외), 연구위원, 연구원, Post-doc 등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동일한 장소에서 연구를 수행해야 합니다.
- 따라서 연구단장 또는 그룹리더로 선정되면 연구단 설치 장소(본원, 과학기술특화대학 등)로 이동해야 합니다.

o 그룹리더는 연구단장과 협력하면서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하는데 연구단장이 추천하고, SEC(선정평가위원회)의 자격검증 절차를 걸쳐 그룹리더로 임명됩니다.

o 기본적으로 연구단장은 30억 내외(인건비 포함, 이론연구는 15억), 그룹리더에게는 15억 내외(인건비 포함, 이론연구는 7.5억)로 예산을 배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단장과 그룹리더(3-4인)등의 연구단이 구성되면 연구단 전체 연구비는 100억 내외에 도달합니다.

o 연구단의 예산은 3년(연구단 구성을 위한 초기 2년은 제외)마다 이루어지는 평가결과에 따라 계속여부가 결정됩니다. 단 초기 10년간은 연구지원을 보장합니다.

4. 원장과 연구단장의 연봉은 얼마입니까?

o IBS의 원장의 연봉은 2012년 기준으로 2.5억입니다.

o 연구단장의 연봉은 연구단장의 기존 소득의 10%가량 인상된 수준에서 결정됩니다.

5. IBS 도 젊은 과학자를 육성해야 되지 않나요?
: IBS 연구단에서는 연구를 수행할 IBS-Young Scientist / IBS-Senior Scientist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o IBS가 기초과학 분야의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을 위해 모집하는 IBS-YS / IBS-SS 제도는 소규모 연구그룹 구성 및 운영의 독립성을 보장합니다.

o 선발된 IBS-YS는 5년(3+2)이내, 연간 3억 원, IBS-SS는 3년(2+1)이내 연간 5억 원 내외의 연구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연구에 전념하도록 합니다.
- 연구비에는 인건비가 포함되며, 인건비는 IBS기준에 따라 지급됩니다.

o 모집분야는 ▲ 수학 기하학 수리물리 연구단(포스텍·캠퍼스) ▲ 물리 강상관계 물질 기능성 계면 연구단(서울대·외부),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GIST·캠퍼스),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성균관대·외부) ▲ 화학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이상 KAIST·캠퍼스),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포스텍·캠퍼스), 나노입자연구단(서울대·외부) ▲ 생명과학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본원),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KAIST·캠퍼스),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POSTECH·캠퍼스),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DGIST·캠퍼스), RNA 연구단(서울대·외부) 등입니다.


담당자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