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내 기억이 맞을까?

인간(人間)이 겪는 괴로움은 한자 뜻대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대부분 생긴다. 그 원인은 다양하나 근본에는 오해가 존재한다. 아내 생일에 장미꽃 100송이를 사 들고 집에 온 남편은 아이의 학원비 걱정 때문에 시큰둥한 아내의 반응에 실망한다. 의도는 좋았지만 상대방의 마음을 잘못 이해했다. 보이지 않는 사람의 마음을 제대로 읽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눈에 보이는 사물의 실체를 파악한다는 것도 사실은 착각일 뿐이다.

멋진 글라스에 담긴 고급 포도주 한 잔을 표현한다고 가정해보자. 장담하건대, 사람마다 각기 다른 의견을 낼 것이다. 이는 오감을 통해 형성한 이미지일 뿐, 실체와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오래전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이러한 인식의 한계에 대해 갈파했다. 우리가 대상의 실체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고, 인식이 대상에 대한 관념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대학교 첫 학기 철학 강의에서 칸트를 처음 접하면서 충격 받았던 기억이 난다(사실 교수님은 ‘눈으로 보이는 것은 실체가 아니다’라는 모호한 표현을 사용하셔서 혼란을 주었지만...). 이보다 훨씬 전에 불교에서는 “모든 것은 마음이 짓는 것(一切唯心造)”이라 가르쳤다. 뜬구름 잡는 것 같은 이러한 철학적 논의가 오늘날 당연한 이치가 된 것은 뇌과학 덕분이다.

다섯 가지 감각(색깔, 소리, 냄새, 맛, 감촉)을 통해 포도주를 즐김에 대한 인식이 이루어지는 곳이 바로 뇌이다. 이때 오감을 통해 우리가 받아들이는 것은 와인의 실체, 예컨대 와인을 구성하는 화학적 성분이 아니다. 사람에 따라서 오감 기관의 작용도, 뇌에서의 감각 정보 처리 양상도 서로 다르다. 똑같은 포도주 한잔에 대한 인식이 각자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그러므로 동일한 상황에 대한 인식과 기억이 사람마다 다른 것은 당연하다. 세상사에는 사람과 사람 사이, 사람과 사물 사이의 상호작용들이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결혼식 행사를 촬영한 영상을 볼 때 기억에 없는 손님이 등장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이는 우리 기억이 카메라처럼 시야에 들어오는 모든 대상을 객관적으로 기록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사람이 특정 대상을 기억하는 정도는 주관적 관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즉, 대상과 관련된 과거의 경험, 현재의 필요, 미래의 기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기억의 정도를 좌우한다.

특히 강한 정서적 경험을 동반한 기억은 아주 오랫동안 유지된다. 조건화 학습에 의해 형성된 공포기억이 대표적 예다. 마우스에게 특정 환경에서 발바닥에 전기충격을 주면, 이후 같은 환경에 처했을 때에 공포가 되살아나는 것(동작이 얼어붙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공포기억은 오래 지속된다. 소방관이나 전쟁 귀환 군인에게서 간혹 생기는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은 조건화 학습의 결과가 병적으로 오래 가는 예이다.

1950년대 다수의 국제영화상을 수상한 영화 ‘라쇼몽’은 사람의 인식과 기억이 쉽게 왜곡됨을 잘 보여준다. 사무라이가 아내와 함께 산길을 가다가 산적을 만난다. 아내는 겁탈당하고 사무라이는 칼에 찔려 사망한다. 이 사건을 목격한 나무꾼이 관가에 신고하여 재판이 열리는데, 나무꾼, 사무라이, 아내, 산적의 진술이 각기 다르다.(사무라이는 굿을 주관하는 무당의 입을 통하여 말한다) 이기심, 자존감, 두려움 등이 개입된 기억은 일단 형성되면 자기 확신을 유도한다. 상상이나 암시에 의하여 기억이 왜곡되거나 새로 생겨나기도 한다. 요즘 우리 사회에 넘쳐나는 갈등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각자가 가진 왜곡된 기억이 사실에 대한 혼란을 키우고, 상대방을 적대시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기억의 생성과 왜곡을 뇌 속 해마(Hippocampus)에서 관찰한 마우스 실험 결과가 있다. 특정 기억의 형성 과정에서 해마의 신경세포 일부가 기억세포로 전환된다. 따라서 기억세포를 활성화하면 특정 기억이 되살아난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기억세포를 조작해 기억을 변조할 수도 있고, 경험을 통하지 않고서 새로운 기억세포 생성을 유도하면 없던 기억을 심어줄 수도 있다. 마음상태가 기억세포의 형성을 왜곡시킬 수도 있으리라 예상된다. 뇌과학은 이제 기억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에까지 이른 것이다. 그 학문적 가능성이 기대되지만, 한편으로 걱정되기도 한다. 예컨대 영화 ‘인셉션’이 보여준 기억 조작이 현실이 될지도 모른다. 나의 기억을 너무 확신하지 말아야 할까?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홍보팀 : 임지엽   042-878-8173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