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효소

- 수술 없이도 뇌에 LED 비추면 특정 유전자 발현 유도…생쥐 탐색능력 증가 -

IBS 연구진이 빛으로 활성화되는 Flp 유전자 재조합 효소(PA-Flp 단백질)를 개발했다. PA-Flp 단백질은 서로 떨어져 있다가도 매우 약한 빛만 있어도 활성화될 만큼 민감도가 크다. 수술이 아닌 LED 빛을 쏘는 비침습성(non-invasive) 방식만으로도 원하는 위치와 타이밍에 유전자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 많은 시간과 재원이 소요되는 유전자 변형 실험 모델을 만들지 않아도 되고, 물리적•화학적 손상이 의한 부작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2.353)에 1월 18일 오후 7시에 게재됐다.

Flp 유전자 재조합 효소는 유전자를 자르고 재조합하는 기능을 지녀 유전자 형질 전환 실험모델을 만드는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광유전학 기술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빛 없이도 스스로 조립(auto-assembly)되어버려 제어가 어려웠다. 뇌 속으로 빛을 직접 전달하려면 광섬유를 집어넣는 수술 과정도 필요했다. 기존에 개발된 광유전학 유전자 발현 조절 시스템은 세포 배양 수준에 머물러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우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허원도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PA-Flp 단백질은 비활성화 상태에서도 빛을 받으면 결합되면서 활성화된다. 연구진은 단백질 공학을 통해 기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Flp 재조합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위치를 찾는 힌트를 얻어 PA-Flp 단백질을 설계했다. PA-Flp 단백질의 발현정도는 적색 형광단백질을 붙여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들었다.

IBS 연구진은 그림 a처럼 비활성 상태에서 분리되어 있다가 빛에 의해 결합되고 활성화되는 광활성 Flp 단백질(PA-Flp 단백질)을 설계했다. 연구진은 PA-Flp 단백질을 전달체인 AAV 바이러스를 이용해 8주된 생쥐의 뇌 해마에 주입하고 그림 b처럼 청색광 LED를 직접 생쥐 머리에 비추었다. 그 결과 해마에 발현된 PA-Flp 단백질이(그림c 붉은색) 활성화되고 빛으로 활성화된 PA-Flp 단백질에 의해 발현된 유전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빛의 세기와 노출되는 시간에 따라 발현되는 유전자를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 IBS 연구진은 그림 a처럼 비활성 상태에서 분리되어 있다가 빛에 의해 결합되고 활성화되는 광활성 Flp 단백질(PA-Flp 단백질)을 설계했다. 연구진은 PA-Flp 단백질을 전달체인 AAV 바이러스를 이용해 8주된 생쥐의 뇌 해마에 주입하고 그림 b처럼 청색광 LED를 직접 생쥐 머리에 비추었다. 그 결과 해마에 발현된 PA-Flp 단백질이(그림c 붉은색) 활성화되고 빛으로 활성화된 PA-Flp 단백질에 의해 발현된 유전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빛의 세기와 노출되는 시간에 따라 발현되는 유전자를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기억을 관장하는 쥐의 뇌 해마 부위에 PA-Flp 단백질을 넣은 뒤 약 30초 동안 LED를 머리 부분에 비추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생쥐의 깊은 조직 영역에 도달하는 매우 적은 양의 빛으로도 PA-Flp 단백질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했다. 생쥐에게 쏜 빛은 1-2mW/mm2로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휴대폰의 손전등 혹은 발표 시 이용하는 레이저 포인터 정도의 세기다. 연구진은 물리적 손상을 전혀 일으키지 않는 비침습성 방식으로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또한 연구진은 신희섭 단장이 이끄는 사회성 뇌과학 그룹과 공동 연구를 통해 행동을 재현하고 검증하는 실험에 나섰다. 해마보다 더 깊숙한 곳에 위치하면서 기억의 중추 역할을 하는 내측 중격(~3.5mm) 존재하는 칼슘 채널의 발현이 억제되면 물체를 탐색하는 능력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에 착안하여 실험을 설계했다. 연구진은 내측 중격에 PA-Flp 단백질을 도입하고 LED 빛을 쏘자 칼슘 채널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했다. 실제 PA-Flp 단백질이 활성화된 실험군은 물체를 탐색하는 능력이 대조군에 비해 훨씬 커져 물체 주변으로 더 많은 움직임을 기록했다.

연구진은 사회성 뇌과학 그룹과 공동 연구를 통해 LED 빛을 비추자 광활성 Flp 단백질의 발현이 활성화되면서 유전자 조절이 이뤄졌고, 이후 실체 물체 탐색 능력이 증가하는 행동까지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 연구진은 사회성 뇌과학 그룹과 공동 연구를 통해 LED 빛을 비추자 광활성 Flp 단백질의 발현이 활성화되면서 유전자 조절이 이뤄졌고, 이후 실체 물체 탐색 능력이 증가하는 행동까지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빛으로 원하는 타이밍에 유전자를 자르고 재조합하는 효소를 개발한 이번 연구는 향후 광유전학에 응용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특정 유전자가 변형된 실험모델을 제작하는데 오랜 시일과 연구비가 투입되는데 반해 이 기술을 활용하면 빛만 쏘는 방식으로도 원하는 유전자를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섬유를 심는 별도의 수술 없이도 연구자가 사용하기 간편하고 비용도 저렴하다.

이번 연구는 지난 5년간 독자적으로 광유전학 기술을 개발하며 바이오이미징 분야를 선도하는 허원도 교 수 연구팀의 연구 노하우가 빛을 발한 결과다. 교신저자인 허원도 교수는 "실험쥐의 생리학적 현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 거의 없이 LED로 원하는 특정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라며 "향후 다양한 뇌 영역을 탐구하는데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IBS 커뮤니케이션팀
고은경

Won Do
Won Do(Heo, Won Do) 이메일 보내기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Publications
  • [뉴시스] "수술 없이 빛으로 뇌 유전자 제어 효소 찾았다"
  • [중도일보]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허원도 교수 연구팀 성과
  • [아시아뉴스통신] IBS, 수술 없는 ‘뇌 유전자 발현 기술’ 개발
  • [금강일보] [사이언스톡톡]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 [대전일보]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 [헬로디디] 수술없이 빛 비춰 유전자 발현 제어한다···뇌연구 활용
  • [메디컬투데이] 관련도순 국내 연구진,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 [파퓰러사이언스]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수술 없이도 뇌에 LED를 쏘는 방식
  • [뉴스1] 수술 없이 뇌에 LED 빛을 비춰 유전자 발현 조절한다
  • [이뉴스투데이] LED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 [헤럴드경제] LED 빛으로 유전자 발현 조절 가능…뇌 영역 탐구 활용 기대
  • [이데일리] 국내 연구진,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 [동아사이언스] 빛으로 뇌 유전자 조절한다
  • [뉴시스] "수술 없이 빛으로 뇌 유전자 제어 효소 찾았다"
  • [노컷뉴스]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광유전학 응용 기대
  • [서울신문] 국내연구진, 빛만 비춰 유전자 조절 가능한 광유전학 기술 개발
  • [파이낸셜뉴스]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 [연합뉴스] 살아 있는 뇌에 LED 쐈더니 특정 유전자 발현했다
  • [뉴시스] '빛만 비춰 유전자 발현 조절 가능'…기초硏, 수술없이 뇌에 LED 통해 구현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홍보팀 : 임지엽   042-878-8173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