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 밝혔다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 밝혔다
보도일 2020-01-14 12:00 조회 974
연구단명 기후물리 연구단
보도자료 hwp 파일명 : 200114_[IBS_보도자료]_IBS 기후물리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 밝혔다 (기후물리__Nat Climate C.hwp 200114_[IBS_보도자료]_IBS 기후물리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 밝혔다 (기후물리__Nat Climate C.hwp
첨부 zip 파일명 : 200114_[IBS] 그림 및 사진.zip 200114_[IBS] 그림 및 사진.zip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 밝혔다

- 아열대 지역 온실기체가 열대 지역 해수면 온도와 일사량 증가시켜 -

열대1) 지역 온도가 지구 평균에 비해 빠르게 상승하는 원리가 밝혀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기후물리 연구단 악셀 팀머만 단장 연구진은 아열대2) 지역에서 발생한 온실기체가 열대 지역 온도 상승을 부채질하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했다. 지구 온난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지역들이 주고받는 영향을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 온난화의 지역 불균형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대기 중에 배출된 온실기체3)로 지구의 평균 온도가 증가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지역마다 상승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지난 50년간 전지구 평균 해수면온도가 0.55도 상승할 동안 동태평양을 제외한 열대지역 온도는 0.71도 상승했다. 그러나 열대 지역이 지구 나머지 부분과 다른 온도 상승을 보이는 이유는 베일에 싸여 있었다. 열대 해수면 온도 상승은 엘니뇨4) 현상 촉진을 비롯해 날씨와 강우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기후과학자들의 주요 관심사였다.

열대 지역은 해들리(hadley)5)이라는 대규모 대기 순환을 통해 아열대 지역과 영향을 주고받는다. 먼저 열대 지역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수렴·상승해 남북으로 이동하다가, 에너지를 잃고 아열대에 하강하면서 상층부의 차가운 공기를 지표면으로 나른다. 이후 무역풍6)이 차가운 아열대 공기를 다시 열대 지역으로 수송한다. 이 과정에서 열대 바다 깊은 곳에 있던 차가운 해수를 위로 끌어올리는 용승7)이 일어난다.

연구진은 열대 온도 상승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열대와 아열대에서 발생한 온실기체가 온도상승에 기여하는 정도를 분리해서 접근했다. 기후모형8)으로 열대/아열대 지역에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발생했을 경우를 각각 실험하고 대기 및 해양순환 과정을 면밀히 분석했다.

기후모형 실험결과 아열대 지역 이산화탄소는 같은 양의 열대 지역 이산화탄소보다 열대 해수면 온도를 40% 더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아열대 지역이 온실기체 증가로 온도가 상승하면, 적도-아열대 간 온도차가 감소해 해들리 순환이 약화됨을 관찰했다. 이에 따라 무역풍과 용승 현상이 줄어들어 열대 해수면 온도가 증가했다. 동시에 무역풍이 열대 지역으로 수송하던 수증기량 또한 감소해, 열대 지역 구름 양이 줄어들고 도달하는 일사량이 증가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로 인해 열대 지역의 온도가 크게 상승했다.

교신저자인 말테 스터커 하와이대 조교수(前 IBS 연구위원)는 “기존 모형들은 전지구에 동일한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가정했었다”며 “서로 다른 지역들을 구분해 지구온난화가 어떤 식으로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공동저자인 악셀 팀머만 단장은 “이번 연구는 향후 아열대 지역인 중·남부 아시아, 미국 남부 등의 온실기체 감소가 열대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앞으로 온실기체 외에 대기 질이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연구해 이같은 상관관계를 보다 명확히 밝힐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 하와이 대 페이페이 진 교수를 비롯한 국제 연구진과 함께 수행한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학술지 ‘네이처 클라이밋 체인지(Nature Climate Change, IF=21.722)’에 1월 14일 새벽 1시(한국시간) 게재됐다.

그림설명


그림 1. 열대와 아열대 사이의 해들리 순환
▲ [그림 1] 열대와 아열대 사이의 해들리 순환(왼쪽) 현재 기후 조건에서의 해들리 순환 모식도. 양옆의 고리는 열대에서 상승하여 아열대에서 하강하는 공기를 나타내고, 적도로 향하는 화살표는 무역풍을 나타낸다.
(오른쪽) 아열대 지역의 온도가 높아지면 해들리 순환이 약화되고(점선), 열대 지역에서 구름 양이 감소하며, 차가운 해수의 용승이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열대 지역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1) 열대 : 북위 15도- 남위 15도에 이르는 적도 부근 지역

2) 아열대 : 열대 부근의 지역으로 북위 16-32도 사이, 남위 16도-32도 사이를 통칭한다.

3) 온실기체 : 지표에서 복사되는 에너지를 흡수해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대표적이다.

4) 엘니뇨 : 페루와 에콰도르 해안을 따라 동적도 태평양 지역에서 때때로 발생하는 해수면 온도 증가를 말한다. 4∼5년 순환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종종 12∼18달 동안 지속된다고 알려져 있다.

5) 해들리 순환(hadley circulation) : 적도에서 북위 또는 남위 30° 부근 사이, 전지구 규모의 남-북 방향 대기 순환.

6) 무역풍 : 아열대지방의 바람으로 중위도 고압대에서 적도저압대로 부는 바람이다. 자전 때문에 동쪽으로 방향이 쏠린다. 대륙보다 해상에서 뚜렷하게 볼 수 있다. 비교적 일정한 바람이 불며, 아열대 해상에서 불기 때문에 고온다습하다.

7) 용승 : 표층에서의 해수의 발산. 적도에서는 무역풍이 해수를 밀면서 용승이 일어난다. 용승 현상이 뚜렷할 때는 중앙 대서양과 태평양 적도 상의 해수면 온도가 적도에서 160 km 떨어진 지점보다 약 2 ℃ 까지 낮아진다.

8) 기후모형 : 전지구 대륙과 해양을 격자로 분할하여 각 기후를 대표하는 기온, 수증기, 바람 등의 시간변화를 산출하고, 대기순환과 해양순환을 결합시킨 모형. 수십 년 동안의 대기·해양 간 상호작용, 구름과 방사 등을 계산해 기후를 재현한다.

  • [브레이크뉴스]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 메커니즘 밝혀
  • [이웃집과학자] 열대 지역의 온도는 왜 더 상승했나
  • [일간리더스경제]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 밝혔다
  • [헬로디디]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 밝혔다
  • [동아사이언스] 아열대 지역 온실기체, 열대지역 온도 40% 더 상승시킨다
  • [디지털타임스] "아열대 이산화탄소가 열대지역 온도 높여"
  • [전자신문] IBS, 열대 지역 온도 증가 메커니즘 밝혔다
  • [CNB뉴스]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 메커니즘 밝혀
  • [매일경제] 열대 지역 온도, 유독 빠르게 상승하는 원인은 `아열대 온실기체`
  • [국제신문] 부산대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 밝혔다
  • [SBS] IBS "아열대 지역 온실가스 증가가 엘니뇨 등 기상이변 촉발"
  • [조선비즈] 열대 바다 온도 상승하는 이유는…
  • [이데일리] 아열대 온실기체가 열대 해수면 온도·일사량 증가
  • [서울신문] 아열대 지역 온실가스가 열대지역 용광로 만든다
  • [아시아경제] 아열대 '온실가스' 열대를 달군다
  • [연합뉴스] IBS "아열대지역 온실가스 증가가 엘니뇨 등 기상이변 촉발"
  • [뉴스웍스] 열대 지역 온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 밝혔다
  • [녹색경제신문] 열대지역 빠르게 온도 상승하는 이유 알아냈다
  • [news1] IBS 연구팀, 열대지역 온도 증가 메커니즘 규명
  • [머니투데이] 전지구 평균 넘어선 열대지역 해수면온도, 왜?
  • [대전일보] IBS 연구단, 열대 지역 온도 증가 메커니즘 밝혔다
  • [대전MBC] IBS "아열대 온실가스가 열대 지구 온난화 영향"
  • [YTN사이언스] IBS "아열대 온실가스 증가가 기상이변 촉발"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커뮤니케이션팀 : 권예슬   042-878-8237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